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간성 뇌병증의 병태생리
2. 간성 뇌병증을 유발하는 요인
3. 간성 뇌병증의 단계
4. 간성 뇌병증의 진단검사
5. 간성 뇌병증의 치료
6. 간성 뇌병증의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예상문제
Ⅱ. 본론
1. 간성 뇌병증의 병태생리
2. 간성 뇌병증을 유발하는 요인
3. 간성 뇌병증의 단계
4. 간성 뇌병증의 진단검사
5. 간성 뇌병증의 치료
6. 간성 뇌병증의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예상문제
본문내용
침대에서 안정할 때 침대에 올려놓은 팔을 배굴시켜 봄으로써 가벼운 떨림이 있는지 등을 관찰한다. 식이에는 단백질을 제한시키고, 과일주스만 섭취하며 정맥수액만 공급한다. 또한 대변에 선홍색 또는 검은색의 출혈이 있는지 관찰하고, 변비를 예방한다. 그리고 간성 혼수에 빠진 환자는 저산소증이 간세포를 손상시킴으로써 간성 뇌병증을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저산소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간호사는 기도유지와 같은 호흡기계에 대한 중재를 한다.
우리는 학습한 위의 내용을 토대로 오연수 님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간성 뇌병증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면담 및 사정 기술을 통해서 알아보고, 만약 오연수 님에게서 간성 뇌병증의 증상이 나타나면, 가장 먼저 혈액 내의 암모니아의 독성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단백질의 섭취 제한, neomycin 구강 투여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간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Ⅵ.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 상, 2013, 조경숙 외 9명, 현문사, p445~461
성인 간호학 1, 2012, 김금순 외 7명, 수문사, p536~547
성인 간호학 2, 2011, 이영휘 외, 정담미디어, p1273~1277
Ⅴ. 예상문제
1. 간성 뇌병증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성 악취
2) 글씨 쓰는 능력의 저하
3) 자세교정 못함
4) 뇌파검사에서 세타파 발현
5) 낮에 자고 밤에 깨는 수면 장애
2. 심한 간 손상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자가 집중력이 감소하고 손이 떨리며, 졸음이 오는 등의 간성 뇌병증의 징후를 보였다. 환자를 간호할 때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할 임상검사 항목은?
1) 혈청 알부민
2) 혈중 빌리루빈
3) 혈중 암모니아
4) 소변 내 적혈구
5) 소변 내 유로빌리노겐
3. 간암으로 진단을 받은 대상자에게 지남력 상실과 호흡 시간성 구취가 심하게 나타났다. 이 대상자의 간호중재방법은?
1) 진정제를 투여한다.
2)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3) Lasix를 경구 투여한다.
4) lactulose를 경구 투여한다.
5) 고탄수화물, 고단백, 고비타민 식이를 투여한다.
4. 간성뇌병증의 간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단백 식이를 투여한다.
2) 기도유지와 같은 호흡기계에 대한 중재를 한다.
3) 복수 조절을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다.
4) 부동환자를 위해 자주 체위변경을 한다.
5) 신체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침대를 낮춘다.
5. 간성 뇌병증을 유발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마약, 진정제, 마취제, 이뇨제
2) 저칼륨혈증
3) 심부전
4) 변비
5) 위장관 출혈
1. 4)
간성혼수의 특징적인 증상 및 임상검사의 특성을 묻는 질문이다
2. 3)
간성 뇌병증은 중추신경계의 장애로서 그 원인은 혈중 암모니아에 있다. 단백질 대사의 분해산물인 암모니아를 간에서 글루타민으로 전환하여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요소로 전환하여 소변으로 배설되어야 하는데 간세포의 손상 등으로 이러한 전환작용을 하지 못하면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것이 중추신경계의 독성물질로 작용한다.
3. 4)
이뇨제 사용으로 인한 저칼륨증은 신장에서 암모니아 생성을 증가시켜 간성뇌병증을 악화시킨다. 간성혼수가 의심되는 간질환자는 진정제를 엄격히 제한해야 하며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하기 위하여 저단백 식이를 제공해야 한다. lactulose는 장내로 암모니아 이온을 끌어들여 혈중 암모니아 수치를 감소시킨다.
4. 3)
이뇨제 사용은 저칼륨혈증을 유발하여 신장에서 암모니아 생성을 증가시킴
5. 3)
간성 뇌병증을 유발하는 요인은 간손상, 문맥전신우회술, 위장관출혈, 고단백식이, 신부전, 변비. alkalosis, hypokalemia, 뇌의 대사를 저하시키는 약물 등이 있다.
우리는 학습한 위의 내용을 토대로 오연수 님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간성 뇌병증의 증상이 나타나는지 면담 및 사정 기술을 통해서 알아보고, 만약 오연수 님에게서 간성 뇌병증의 증상이 나타나면, 가장 먼저 혈액 내의 암모니아의 독성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단백질의 섭취 제한, neomycin 구강 투여 등 다양한 방법으로 관리·간호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Ⅵ. 참고문헌
성인 간호학 상, 2013, 조경숙 외 9명, 현문사, p445~461
성인 간호학 1, 2012, 김금순 외 7명, 수문사, p536~547
성인 간호학 2, 2011, 이영휘 외, 정담미디어, p1273~1277
Ⅴ. 예상문제
1. 간성 뇌병증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간성 악취
2) 글씨 쓰는 능력의 저하
3) 자세교정 못함
4) 뇌파검사에서 세타파 발현
5) 낮에 자고 밤에 깨는 수면 장애
2. 심한 간 손상을 경험하고 있는 대상자가 집중력이 감소하고 손이 떨리며, 졸음이 오는 등의 간성 뇌병증의 징후를 보였다. 환자를 간호할 때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할 임상검사 항목은?
1) 혈청 알부민
2) 혈중 빌리루빈
3) 혈중 암모니아
4) 소변 내 적혈구
5) 소변 내 유로빌리노겐
3. 간암으로 진단을 받은 대상자에게 지남력 상실과 호흡 시간성 구취가 심하게 나타났다. 이 대상자의 간호중재방법은?
1) 진정제를 투여한다.
2)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3) Lasix를 경구 투여한다.
4) lactulose를 경구 투여한다.
5) 고탄수화물, 고단백, 고비타민 식이를 투여한다.
4. 간성뇌병증의 간호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단백 식이를 투여한다.
2) 기도유지와 같은 호흡기계에 대한 중재를 한다.
3) 복수 조절을 위해 이뇨제를 사용한다.
4) 부동환자를 위해 자주 체위변경을 한다.
5) 신체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침대를 낮춘다.
5. 간성 뇌병증을 유발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1) 마약, 진정제, 마취제, 이뇨제
2) 저칼륨혈증
3) 심부전
4) 변비
5) 위장관 출혈
1. 4)
간성혼수의 특징적인 증상 및 임상검사의 특성을 묻는 질문이다
2. 3)
간성 뇌병증은 중추신경계의 장애로서 그 원인은 혈중 암모니아에 있다. 단백질 대사의 분해산물인 암모니아를 간에서 글루타민으로 전환하여 저장하였다가 나중에 요소로 전환하여 소변으로 배설되어야 하는데 간세포의 손상 등으로 이러한 전환작용을 하지 못하면 혈중 암모니아 농도가 증가하게 되고 이것이 중추신경계의 독성물질로 작용한다.
3. 4)
이뇨제 사용으로 인한 저칼륨증은 신장에서 암모니아 생성을 증가시켜 간성뇌병증을 악화시킨다. 간성혼수가 의심되는 간질환자는 진정제를 엄격히 제한해야 하며 암모니아 수준을 감소하기 위하여 저단백 식이를 제공해야 한다. lactulose는 장내로 암모니아 이온을 끌어들여 혈중 암모니아 수치를 감소시킨다.
4. 3)
이뇨제 사용은 저칼륨혈증을 유발하여 신장에서 암모니아 생성을 증가시킴
5. 3)
간성 뇌병증을 유발하는 요인은 간손상, 문맥전신우회술, 위장관출혈, 고단백식이, 신부전, 변비. alkalosis, hypokalemia, 뇌의 대사를 저하시키는 약물 등이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뇌출혈 사례보고
뇌경색( 문헌고찰-그림포함)
뇌경색에 관한 케이스 레포트
뇌종양 케이스(간호과정)
뇌경색 case study
뇌경색 case study
뇌 동맥류 (Cerebral Aneurysm)
뇌경색 케이스(Cerebral Infarction Case Study)
뇌경색 케이스
뇌출혈케이스 한장요약자료
뇌경색 case
뇌의구조와 기능
뇌출혈, ICH, Intracranial, hemorrhage, 간호과정,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SOAPIE, 간호...
뇌경색 환자 사례 보고서/case study/cerebral infaction/피부통합성장애/피부손상/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