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인지행동치료가 뇌경색질환자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조사론] 인지행동치료가 뇌경색질환자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우울증
2. 뇌경색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단일체계설계
2. 인지행동치료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가설
4. 개입내용
4. 측정도구 및 자료수집
5. 자료분석
6. 연구의 제한점
Ⅳ. 연구결과
1. 시각적 분석결과
2. 통계적 분석결과
3. 다각적 측정결과
4. 사전사후 검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동안 -0.4(=-2/5)이었으나 개입단계에 와서 0.2(1/5)으로 계산되며, 수면2의 추세지수도 기초선 단계 동안 -0.4(=-2/5)이었으나 개입단계에 와서 0.2(1/5)으로 계산된다. 이는 기초선 단계 동안 클라이언트의 수면에는 하강하는 것을 볼 수 있었건 것에 비해 개입단계 동안 클라이언트의 수면은 하루에 0.2씩 향상되었음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주고 있다.
<그래프 1> 시각적 분석결과: 수준, 통계, 추세
▲ 식욕1: 연구자 대리평가결과, 식욕2: 관찰자평가결과
<그래프2> 시각적 분석결과: 수준, 통계, 추세
▲ 수면1: 연구자 대리평가결과, 수면2: 관찰자평가결과
2. 통계적 분석결과
단일체계설계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위해 3표준편차 띠 접근(Three - Standard Deviation Band Approach)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2표준편차 띠 접근은 개별 자료점과 연이은 자료점들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단계 사이의 변화를 찾아내기 위해서도 사용된다(Bloom et al.2005).
3표준편차 띠 접근을 활용하는 절차는 기초선 단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고, 기초선 단계의 평균±3표준편차를 계산한 후 개입단계에 3표준편차 상한선과 2표준편차 하한선을 긋는다. 자료점이 상한선 또는 하한선 밖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표준편차 띠들 밖에 위치해 있는 자료점이 한 개라도 있을 때 이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결정한다(Wheeler and Chambers, 1992).
<그래프3>에서 보듯이 식욕1의 경우 기초선 단계의 평균 1.8과 표준편차 0.51을 계산한 후 평균선과 평균±3표준편차를 만들었다. 3표준편차 띠 접근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면 표준편차 띠들 밖에 위치해 있는 자료점이 한 개라도 있을 때 이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결정하는데, 이 기준을 <그래프 1>과 <그래프 2>에 적용하면 식욕1의 경우 기초선 단계의 평균 1.8과 표준편차 0.51를 계산한 후 평균선과 평균±표준편차를 만들었고, 식욕2의 경우 기초선 단계의 평균 3.6과 표준편차 0.63을 계산한 후 평균선과 평균±3 표준편차를 만들었다. 3표준편차 띠 접근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면 표준편차 띠들 밖에 위치해 있는 자료점이 한 개라도 있을 때 이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결정하는데, 이 기준을 적용하면 식욕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볼 수 없고, 식욕2는 개입단계에서 한 개 이상의 자료점이 상한선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수면1과 2에서 한 개 이상의 자료점이 상한선 밖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그래프 3> 통계적 분석결과: 3표준편차 띠 접근
식욕1, 수면1: 연구자 대리평가, 식욕2, 수면2: 관찰자측정결과
3. 다각적 측정결과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와 관찰자가 동시에 관찰한 다각적 측정방법의 결과이다. 다각적 측정결과 연구자가 클라이언트를 측정하고 동시에 관찰한 변화과정이 <그래프 1>, <그래프 2>와 같이 그래프 기울기가 다소 일관성 있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그래프 <그래프 1-1>, <그래프1-2>와 같이 표준편차 띠들밖에 위치해 있는 자료점이 한 개 이상 상한선 밖에 위치하고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4. 사전사후 검사결과
본 연구에서 내적타당도의 위협이 도출될 가능성이 높은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클라이언트에게는 자기보고검사인 Beck의 우울증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관찰자에게는 관찰자평정검사인 Hamilton의 우울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점수 우울수준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표 5>와 같인 BDI는 31점에서 17점, HRSD는 33점에서 17점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대상 클라이언트의 식욕과 수면의 향상에 따른 전반적 우울감의 감소는 인지행동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표5> 연구대상자의 우울증 사전사후검사 결과
Beck의 우울증 척도 점수(BDI)
Hamilton의 우울평정척도 점수(HRSD)
사전 검사점수
사후 검사점수
사전검사점수
사후검사점수
31
17
33
17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판정을 받은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우울증과 관련하여 인지행동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체계설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B단일설계방법으로 기초선 단계와 개입단계에서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비교하고 효과성을 평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1가설인 “인지행동치료 개입 후 개별화된 척도 식욕1,2와 수면1,2가 기초선 단계보다 개입단에에서 향상되었음l 나타났고, 3표준편차 띠 접근을 활용한 통계적 부넉에서는 통계적으로 상한선 밖에 위치하여 유의미한 벼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자와 관찰자(남편)가 동시에 관찰한 다각적 측정에서는 기울기가 다소 일관성 있게 증가하였다.
둘째, 2가설인 인지행동치료 개입 후 Beck의 우울증척도 점수와 Hailtondml 우울평정척도점수가 낮아질 것이다는 우울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는 33점에서 11점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2006년 11월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 총 12회에 걸쳐 기초선 단계와 개입단계를 측정하여 클라이언트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측정결과 인지행동치료 개입 후 우울증 및 식욕, 수면등 상태가 나아짐을 알 수 있었으며, 남편이 본 연구에 함께 참여함으로써 배우자의 건강과 질병상태를 이해하게 되어, 싸움의 횟수도 예전보다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다.
개입 후 처음에는 프로그램의 참여 관심도가 별로 없어 특이할 만한 변화가 없었으나 점차 의지를 갖고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 큰 변화는 아니지만 과거의 원망하던 모든 것들을 밖으로 표출하고 긍정적으로 사고하여 우는 횟수가 줄어드는 모습도 볼 수 있었고 감사해 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클라이언트가 앞으로 살아가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추천자료

  • 가격2,4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8.03.22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1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