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골관절염 (osteoarthriti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골관절염 (osteoarthriti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용어정리

본문내용

원하게 된 앙성자님을 만났다. 이에 양성자님이 과거에 앓았던 OA에 대해 조사하였다.
골관절염은 관절염의 가장 흔한 형태이며 활막관절의 만성적인 진행성, 비염증성 관절질환을 말한다. 원인으론 연령, 외상, 골격기형 등이 있다. 종류로는 원발성 골관절염, 2차성 골관절염, 기타 원인별 골관절염이 있다. 원발성 골관절염은 유전성 경향이 있고 2차성 골관절염은 어느 연령층에서도 볼 수 있고 기타 원인별 골관절염은 내분비 장애, 대사성 관절염 등의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골관절염이다. 골관절염의 병태생리로는 연골부 마모현상, 골증식체, 헤베르덴 골성비대가 있다. 증상은 경미하고 좋아졌다 나빠졌다 하며 류마티스 관절염과 달리 피로, 열이 나타나지 않고 기관침범도 없다. 쑤시는 듯한 통증과 관절의 구축, 근육의 경직, 운동의 제한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로 X-선 촬영과 방사선 검사(CT, MRI 등)로 진단한다. 골관절염의 치료 목적은 통증 완화, 염증조절, 불구예방, 관절기능 유지 및 향상이고 약물, 비약물, 보완대처요법을 사용하여 치료하지만 관절 기능상실, 통증 경감 불가능, 독립적인 자가간호 수행이 어려울 땐 수술을 하기도 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양성자님이 골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조절이 잘 되지 않아 TKRA 수술을 받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만약 양성자님이 TKRA 수술 전 상황이라는 가정하에, 우리는 그녀에게 관절을 덜 움직이게 해 휴식과 보호를 할 수 있게 하고 휴식뿐만 아니라 운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교육한다. 또한 열, 냉요법을 실시해 관절의 통증과 강직증상을 완화시켜 주고 과체중은 관절에 좋지 않음을 설명해주어서 체중 감량 요법을 같이 참여하여 체중을 조절한다.
Ⅳ. 참고문헌
1. 조경숙 외(2013). 성인간호학(하). 서울: 현문사, PP.368~375
2.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하). 서울: 수문사, pp.1154~1157
3.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770
4. 한국간호과학회(2010). 성인간호학 문제집. 서울: 대한간호협회, pp.673~682
Ⅴ. 용어정리
미란(erosion): 피부, 점막의 표피가 박리되어 진피나 점막하조직이 노출된 것
골관절 구순(bony spur): 기계적 스트레스나 염증성 자극등에 의해 골 변연부에 신생하는 골성융기
내반족: 발이 안쪽으로 휘는 병
파제트병: 국소적으로 골흡수가 항진됨과 동시에 골의 새로운 생성이 모자이크상으로 일어나서 섬유화와 혈관신생을 동반하는 골질환
경피적 신경자극: 피부에 전극을 붙이고 전극을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치료법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 활막의 지속적인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염증성 전신질환
글루코사민: 대표적인 천연 아미노당 관절 및 연골 건강에 도움
인공관절치환술(total joint replacement): 관절을 관절와, 골두를 모두 절제하고 인공재료로 만든 관절로 치환하는 수술.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2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