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구강장애와 간호 (구내염 침샘장애 종양 외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구강장애와 간호 (구내염 침샘장애 종양 외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구내염
2. 침샘장애
3. 구강 내 종양
4. 외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
(4) 간호
- 구강암수술 후 출혈, 감염, 부종으로 인한 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수술 후 지속적으로 혈액이 고이거나 목부위의 부종 때문에 혈종이 형성되는지 관찰

- 광범위한 구강 내 절제 시 갑작스러운 기도폐쇄를 예방하기 위해 미리 기관절개술을
시행할 수 있으므로 기관절개술 간호를 적용함
- 미세수술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이식조직의 혈전에 따른 순환장애로 이
식편이 괴사될 수 있음
- 방사선치료 시 부작용으로 입 안이 헐고 목 피부가 검게 그을리는 방사선피부염이 생
길 수 있음
- 입 안과 목 피부가 화끈거리는 심한 통증을 호소하므로 국소 또는 전신 진통제를 복
용 하거나 차가운 얼음으로 마사지하여 통증을 감소시킴
- 만성부작용으로 구강건조증, 충치, 하악골의 누공 등이 발생할 수 있음
-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으로 입 안이 허는 구내염, 전신쇠약, 백혈구 감소증, 탈모 등
이 발생하므로 이와 관련한 간호를 제공
4. 외상
1) 원인 : 천자로 인한 상처(Puncture wound), 찰과상, 열상 등
2) 증상 : 출혈, 부종, 홍반, 통증 등 (뺨에 상처가 났을 경우 이하선의 침범 의심)
3) 간호 : 혈액과 찌꺼기의 흡인과 호흡 유지를 위한 기도 삽입 필요, 열상과 이하선의 손
상이 치유될 때까지 배액관으로 타액을 배액
Ⅲ. 결론
우리는 간호학 2-2-1 package part1에서 서울 소재 대학병원의 11병동(소화기내과)에 근무하고 있는 임상경력 2년차 되는 간호사로서 이상진님의 입안의 통증과 상태가 호전되고 더불어 구강염이나 구강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구강장애와 간호에 대해 조사하게 되었다. 먼저 구내염은 감염이나 전신허약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으며 원인에 따라 원발성 구내염, 속발성 구내염으로 구분되며 아프타성 궤양, 단순포진, 궤양성 치은염, 칸디다증 등의 종류가 있다. 또한 침샘장애로는 침샘의 결석증, 침샘염, 침샘종양으로 구분할 수 있고 구강 내 종양으로는 섬유종(fibroma), 지방종(lipoma), 신경섬유종(neurofibroma), 혈관종(hemangioma) 등의 양성종양이 있으며 음주와 흡연을 많이 하는 40~50세 남성에게 주로 나타나는 악성종양의 종류로는 편평상피암, 기저세포암이 있다. 구강 외상의 원인으로는 천자로 인한 상처(Puncture wound), 찰과상, 열상 등이 있으며 혈액과 찌꺼기의 흡인과 호흡 유지를 위한 기도 삽입이 필요하고 열상과 이하선의 손상이 치유될 때까지 배액관으로 타액을 배액시켜야 한다. 우리는 조사한 자료를 통해서 이상진님의 구강 내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구강을 청결하게 해주고 전신허약으로 인한 구내염을 예방하기 위해 충분한 영양을 공급해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이상진님에게 구강의 청결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Ⅳ. 참고문헌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상권. 수문사. p.355~360
전시자 외. 2011. 성인간호학. 현문사. p.344~345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2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