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백혈구 장애 대상자 간호 (호중구감소증 & 백혈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백혈구 장애 대상자 간호 (호중구감소증 & 백혈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호중구감소증 (neutropenia)
2. 백혈병(leukemia)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발생하는 비장비대로 백혈구 감소증, 잦은감염이 특징적으로 나타남.
- 녹색종(chloromas) : 백혈병 세포집단인 단단한 덩어리
- methotrexate : 백혈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종양을 치료하는 데 쓰는 항종양제
- interferone : 인체 내의 바이러스 감염증식 억제 물질
- leukapheresis : 백혈구분리반출법, 백혈구제거혈수혈
- 관해(冠解) : 환자의 전신 상태 및 증상, 말초혈액 검사에서 정상 범주로 회복되고, 골수 검사에서 5% 미만의 모세포가 관찰되는 상태
- 관해유도 [冠解誘導, remission induction] : 백혈병 환자의 골수와 말초혈액에서 백혈병 세포의 수가 발견되지 않을 정도로 감소시켜 골수 기능을 정상화시키는 항암치료.
- 동요법 : 끊임없이 계속되는 동요에 의하여 내이(內耳)의 삼반규관(三半規管)의 임파액에 진탕을 일으켜 발생하는 질환. 항공병뱃멀미 등이 이에 속한다.
참고.
유형
급성 골수성
백혈병 (AML)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LL)
만성 골수성
백혈병 (CML)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CLL)
발병
시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발병율이 증가,
60-70세에서 호발
14세 이전에 발병,
2~9세 또는 고령자에서 호발
25~60세에 발병,
45세에서 호발
50~70세에 발병,
드물게 30세 이하,
남성이 우세
임상
증상
피로, 허약, 두통, 구강궤양, 빈혈, 출혈, 발열, 감염, 흉골압통, 치은 증식, 약간의 간비장 비대 및 림프절병증
발열, 창백, 출혈, 식욕부진, 피로, 허약, 뼈, 관절 및 복부통증, 전신림프절병증, 감염, 체중감소, 간 비장 비대, 두통, 구강궤양, 중추신경계 침범, 두개강압 증가(오심, 구토, 기면, 뇌신경기능부전) 등 신경경계증상, 이차적 뇌수막 침윤
초기에는 무증상, 피로, 허약, 발열, 흉골압통, 체중감소, 관절 통증, 뼈 통증, 비장 비대 발한 증가
무증상이어서 다른 증상 검진 시 질환이 진단된, 만성피로, 식욕부진, 비장비대, 림프절 병증, 간 비대, 발열, 야간발한, 체중감소, 피로 및 잦은 감염이 진행 될 수 있음.
진단
소견
RBC, Hb, Hct : 감소
Paletelet : 감소
골수아구를 가진 백혈구는 감소 또는 증가
골수검사 : 골수아구의 현저한 증가 상태
RBC, Hb, Hct : 감소
Platelet : 감소
WBC : 정상/증가/감소
X-ray : 장골의 골단부 횡선이 희미해짐
골수검사 : 림프아구로 과밀세포상태
CSF소견 : 림프아구 발견
RBC, Hb, Hct : 감소
Platelet : 초기에는 증가, 후기에는 감소
현저한 백혈구 증가증( 특히 다형핵호중구 증가)
림프구 : 증가
단핵구 : 정상 또는 감소
Leukocyte alkaline phosphate(LAP) 감소
골수검사 : 환자90%에서 필라델피아 염색체 존재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 경증의 빈혈, 혈소판 감소증
WBC >100,000/
말초 림프구 증가
골수내 림프구 존재
표1) 백혈병의 유형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