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식도장애와 간호 [식도열공탈장 이완불능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식도장애와 간호 [식도열공탈장 이완불능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식도열공탈장
1) 원인 및 위험요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치료
6) 간호

2. 이완불능증
1) 병태생리
2) 임상증상
3) 치료와 간호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악화되면 수술을 시행함
- 우선 하부 식도괄약근을 이완시키고 식도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anticholinergic drugs, nitrates, 위장호르몬, 칼슘차단제를 처방함
- 통증감소를 위해 비마약성 진통제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함
보툴리늄 독소(botulinum toxin) 주사
- 내시경을 이용해 하부 식도괄약근에 보튤리늄 독소를 직접 주사 하면 2/3d의 대상자에서 하부 식도 괄약근의 압력이 감소하고 6 ~24개월간 증상이 완화될 수 있음
- 침습적인 방법을 사용하기에 어려운 노인이나 내과적 문제가 많 은 대상자에게 적합함
공기 풍선 확장술
(air ballooning dilatation)
- 하부 식도괄약근의 풍선 확장술을 1회 또는 2회 정도 시행하면 2/3의 대상자에서 연하곤란이 효과적으로 완화됨
- X-선 투시 유도 하에 직경이 3~4cm 되는 풍선을 위-식도 접합부에서 팽창시켜 영구적으로 괄약근을 파괴할 수 있음
식도근 절개술
- 내과적 치료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 때 식도근 절개술을 시행 할 수 있음
- 복부나 흉부를 절개하여 하부식도근을 종축으로 절개하는 수술로 음식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나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할 수 있음
② 간호
- 식도압력과 음식역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식사는 소량씩 자주 하며 따뜻한 유동식을 공급함
-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 양념이 많은 음식, 술, 담배는 피하도록 함
- 식사하는 동안 등을 구부리는 등 여러자세를 취해서 연하가 잘되는 자세를 찾아내도록 함
- 수면을 취할 때는 머리를 상승시켜 음식이 역류하여 기도에 흡인되는 것을 막아야함
- 연하곤란으로 인해 정상체중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매일 대상자의 식이를 관찰하여 삼키기 쉬운 식사를 섭취하도록 함
- 구강섭취가 계속 어려우면 위루술이나 비위관을 통해 음식을 주입함
Ⅲ. 결 론
우리는 간호학 2-2-1 package part1에서 소화기내과에 입원하게 된 이상진님과 같이 소화기계에 장애가 생기는 경우 중 식도장애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로 식도열공탈장은 분문조임근이 커져 위가 흉곽내로 들어온 상태를 말한다. 두 종류가 있는데 Sliding 탈장은 식후 30~60분에 가슴앓이를 경험하며 역류로 인해 흉골하부 통증이 생길 수 있고, Rolling 탈장은 역류 증상은 없고 음식을 먹은 후 가득한 느낌과 호흡 곤란이 나타날수 있으며, 어떤 환자들은 협심증과 비슷한 흉통을 호소하기도 하고, 통증은 대개 환자가 누운 자세를 취할 때 심해진다. 간호는 위식도역류질환 환자와 같으며, 통증완화를 위해 처방된 식이에 대해 교육하며 치료에 대한 환자의 이해 정도와 효과에 대해서 평가하고, 처방된 진통제 투여 후 그 효과를 기록하고, 퇴원 후 간호로 적절한 식이교정, 약물치료 및 체위에 대해 교육하는 등의 간호를 해준다. 두 번째로 이완불능증은 특징적으로 식도의 하부 평활근 2/3의 연동운동이 소실되고 하부 식도 괄약근의 이완에 장애가 생기는 특발성 식도운동질환이다. 간호는 식도압력과 음식역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식사는 소량씩 자주 하며 따뜻한 유동식을 공급하고 너무 뜨겁거나 찬 음식, 양념이 많은 음식, 술, 담배는 피하도록 하는 등의 간호를 해줄 수 있다.
이상준님은 위식도 역류질환을 겪고 있기 때문에 식도열공 탈장과 같은 간호를 해 줄 수 있다. 통증완화를 위해 처방된 식이에 대해 교육하며 치료에 대한 환자의 이해 정도와 효과에 대해서 평가하고, 처방된 진통제 투여 후 그 효과를 기록하고, 퇴원 후 간호로 적절한 식이교정, 약물치료 및 체위에 대해 교육하는 등의 간호를 해줄 수 있다.
Ⅳ. 참고 문헌
1)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426-429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8.03.23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5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