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도안의 교수법 적용>
◉ Review & Warm-up : 전신반응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 Activity1 : 의사소통 언어교육 (CLT) 中,
과제 해결형 교수법 (Task-based Approach)
◉ 정보차 활동(Information gap activity)
◉ 노래/챈트 (Song/Chant)
◉ Activity2 : 놀이/게임 (Game)
◉ Homework : 공동체 언어 학습 (Community Language Learning)
◉ Review & Warm-up : 전신반응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se)
◉ Activity1 : 의사소통 언어교육 (CLT) 中,
과제 해결형 교수법 (Task-based Approach)
◉ 정보차 활동(Information gap activity)
◉ 노래/챈트 (Song/Chant)
◉ Activity2 : 놀이/게임 (Game)
◉ Homework : 공동체 언어 학습 (Community Language Learning)
본문내용
은 언어의 실제 사용의 측면과 더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을 하면서 다른 학생과 영어로 상호 활동을 해 본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 학급의 전체 학생을 여러 개의 조나 소집단으로 나누어 팀별로 활동을 시킬 필요가 있다. 사실, 매우 얌전한 학생도 한 시간 내내 가만히 앉아서 교사의 지시나 설명을 듣고 수업 받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러나 팀별로 활동을 하게 하면, 진정한 의미의 언어 사용을 할 수 있는 동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어 연습의 경우에도 학생들이 같은 형태의 질문이나 대답을 반복하는 데 대한 이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교사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것보다, 학생들이 팀별로 질문하고 대답하게 하면 학생 개개인의 언어 연습의 기회가 훨씬 많아진다. 또, 학생들이 팀별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이 사용하는 전체 영어의 양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많아지게 된다. 이것은 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보다 크게 반영하는 방식이며, 학생들의 학습 활동 참여 강도를 높여 언어 연습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다. 팀별 활동을 하면 학생들 자신이 그 학습 과정에 참여하게 되므로 그 학습에 대하여 자신이 책임을 지는 셈이고, 자신이 그 학습 과정에 책임감을 가질수록 학습한 내용은 그만큼 학생들 자신의 것이 된다. 처음에는 이러한 활동을 계속하다 보면,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훨씬 효과적이다.
정보차 활동(Information gap activity)
위의 과제해결형 교수법과 더불어 정보차 활동을 적용하였다. 한 아이가 정보의 일부분만을 가지고 있고 동료 학생에게 물어봄으로써 ‘전체 그림’을 얻을 수 있는 활동을 ‘정보차 활동’이라고 한다. 정보차 활동은 준비하기 쉽게 여러 형태로 변형하기 쉬우며, 아이들에게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정보차 활동은 처음 할 때에는 짝 활동으로 진행하기 전에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 학급을 A와 B 두 그룹으로 나눈다. A 그룹의 한 학생이 자신의 그림을 보고 이것을 B 그룹 아이들에게 묘사해 주어 그리게 한다. 차례를 바꾸어 같은 활동을 한다.
노래/챈트 (Song/Chant)
두 번째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분위기를 전환시키기 위해서 챈트를 사용했다. 학생들은 함께 노래부르기를 좋아하며, 노래를 스스로 만들어 부르기도 한다. 학생들은 노래나 챈트 등의 소리나 리듬 자체를 좋아한다. 또, 스스로 노래나 챈트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속도를 조절하기도 한다.
노래와 챈트는 학생 개개인이 전체 학생 중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학생의 개인적 반응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별로 자신감이 없는 학생들에게도 자신감을 심어주고, 학습의 초기에 성취감을 줄 수 있다. 특히, 노래는 실제로 사용되는 영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영어의 억양, 리듬, 발음 등을 자연스럽게 연습할 수 있게 해 준다.
노래나 챈트는 수업 중 적절한 때에 도입해서, 수업의 흐름이나 초점을 교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고, 학생들에게는
교사가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것보다, 학생들이 팀별로 질문하고 대답하게 하면 학생 개개인의 언어 연습의 기회가 훨씬 많아진다. 또, 학생들이 팀별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 개개인이 사용하는 전체 영어의 양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많아지게 된다. 이것은 언어 사용의 실제성을 보다 크게 반영하는 방식이며, 학생들의 학습 활동 참여 강도를 높여 언어 연습의 질을 높이는 방법이다. 팀별 활동을 하면 학생들 자신이 그 학습 과정에 참여하게 되므로 그 학습에 대하여 자신이 책임을 지는 셈이고, 자신이 그 학습 과정에 책임감을 가질수록 학습한 내용은 그만큼 학생들 자신의 것이 된다. 처음에는 이러한 활동을 계속하다 보면, 의사 소통 능력을 기르는 데 훨씬 효과적이다.
정보차 활동(Information gap activity)
위의 과제해결형 교수법과 더불어 정보차 활동을 적용하였다. 한 아이가 정보의 일부분만을 가지고 있고 동료 학생에게 물어봄으로써 ‘전체 그림’을 얻을 수 있는 활동을 ‘정보차 활동’이라고 한다. 정보차 활동은 준비하기 쉽게 여러 형태로 변형하기 쉬우며, 아이들에게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정보차 활동은 처음 할 때에는 짝 활동으로 진행하기 전에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 학급을 A와 B 두 그룹으로 나눈다. A 그룹의 한 학생이 자신의 그림을 보고 이것을 B 그룹 아이들에게 묘사해 주어 그리게 한다. 차례를 바꾸어 같은 활동을 한다.
노래/챈트 (Song/Chant)
두 번째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분위기를 전환시키기 위해서 챈트를 사용했다. 학생들은 함께 노래부르기를 좋아하며, 노래를 스스로 만들어 부르기도 한다. 학생들은 노래나 챈트 등의 소리나 리듬 자체를 좋아한다. 또, 스스로 노래나 챈트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속도를 조절하기도 한다.
노래와 챈트는 학생 개개인이 전체 학생 중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학생의 개인적 반응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별로 자신감이 없는 학생들에게도 자신감을 심어주고, 학습의 초기에 성취감을 줄 수 있다. 특히, 노래는 실제로 사용되는 영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영어의 억양, 리듬, 발음 등을 자연스럽게 연습할 수 있게 해 준다.
노래나 챈트는 수업 중 적절한 때에 도입해서, 수업의 흐름이나 초점을 교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꿀 수 있고, 학생들에게는
추천자료
교수.학습이론 분석과 바람직한 수업모형
과학과 일반 교수 학습 모형, 경험학습모형
사회과 탐구학습모형과 학습지도안
가설검증학습모형(가설검증수업)의 정의와 특징, 가설검증학습모형(가설검증수업)의 전개, 가...
[CIRC]CIRC(읽기쓰기통합모형)협동학습모형의 정의, CIRC(읽기쓰기통합모형)협동학습모형의 ...
PBL(프로젝트수업, 프로젝트학습) 이론적 기초와 역사적 배경, PBL(프로젝트수업, 프로젝트학...
직소우(과제분담학습, JIGSAW)협동학습모형의 내용, 직소우(과제분담학습, JIGSAW)협동학습모...
ICT활용 교수학습자료(지도자료)의 개념과 필요성, ICT활용 교수학습자료(지도자료)의 적용 ...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정의와 원리, 구성주의교육(구성주의학습이론)의 교과적용...
오수벨교수학습이론(유의미학습이론), 가네교수학습이론(목표별수업이론), 브루너교수학습이...
한국어 교수학습법 적용 사례 발표[청각 구두식 교수법]
청각구두식 교수법 교수학습지도안
[교육심리학] 교수이론의 이해 - 글레이저(R. Glaser)의 교수이론, 브루너(Bruner)의 교수이...
[수학 교수-학습과정안] 물건의 개수 세어보기 학습지도안-수업지도안 (단원명 : 7. 50 까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