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학과 일반교수학습모형
(1) 과학 교수학습의 일반 모형
(2) 과학 학습 모형
2. 경험학습모형
(1) 경험학습모형의 배경과 특성
(2) 경험학습모형의 절차
1) 학습지도단계 4단계
2) 필요한 과학 과정
◆ 관찰
◆ 분류
(3) 경험학습모형의 변형
-초등학교에서의 실제 적용
(4) 경험 학습 모형의 적용
-경험학습모형 적용 수업의 예
(5) 연구 문제
(1) 과학 교수학습의 일반 모형
(2) 과학 학습 모형
2. 경험학습모형
(1) 경험학습모형의 배경과 특성
(2) 경험학습모형의 절차
1) 학습지도단계 4단계
2) 필요한 과학 과정
◆ 관찰
◆ 분류
(3) 경험학습모형의 변형
-초등학교에서의 실제 적용
(4) 경험 학습 모형의 적용
-경험학습모형 적용 수업의 예
(5) 연구 문제
본문내용
해 얻은 결과를 발표, 토의하며, 교사는 질문을 통하여 학생들의 관찰 결과에 대하여 미숙했거나 미처 생각지 못했던 부분 등을 보완하여 줍니다.
절차 (5)는 정리 단계이며, 지금까지 관찰하고 알게 된 사실을 바탕으로 곤충을 분류해 봄으로써 수업을 마무리 짓고 있습니다. 그리고 곤충의 학습에서 더 나아가 관찰한 곤충을 풀어줌으로써 생명의 존엄성과 같은 내용도 학습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 6-2>>
다음 학습 주제를 경험 학습 모형의 단계에 맞추어 수업을 계획하여 보시오.
[학습 주제] 여러 가지 나뭇잎, 여러 가지 흙(3학년)
☞ 경험 학습 모형 1
[학습 주제] 3학년 2학기, 단원 1. 식물의 잎과 줄기
[선택 근거]
경험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물체를 직접 조작하고 실제 감각 경험을 맛보며 그들 자신의 탐구 능력을 연마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또 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과학 경험을 하게 되고 자신의 탐구 능력을 실제로 연마함으로써, 학생들은 개념의 형태로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할 기회도 갖게 된다.
[수업 목표]
잎의 개념을 새롭게 인식하고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잎자루, 침엽수 등의 개념에 친숙치 못한 학생들도 새로운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다.
[자 료]
여러 가지 잎, 확대경
(여기서 잎의 수집은 학생들 스스로가 하는 것이 좋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들이나 집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잎을 될수록 많이 모아 오라고 한다. 그리고 잎이 마르는 것을 막기 위해 잎을 플라스틱 봉지에 넣고 봉해 두도록, 학생들에게 일러두는 것도 좋다.
[수업 절차]
단계
학습활동
자유탐색
단계
학생들을 둥그렇게 모아 놓고, 모아온 잎을 꺼내도록 한다.
처음 5~10분 동안 모아온 잎 관찰하도록 한다.
학생들이 관찰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교사는 확대경을 사용하여 잎을 관찰하도록 한다.
다음 여러 사항에 대해 관찰하도록 한다.
-잎의 모양은 어떠한가?
-잎의 색깔은 어떠한가?
-잎의 촉감은 어떠한가? (부드러운가, 쭈글쭈글한가?)
탐색결과
발표단계
관찰한 결과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자유롭게 토의할 시간을 준다.
서로가 관찰한 잎의 모양, 색깔, 촉감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인도에 따른
탐색단계
잎의 모양을 비교한다.
침엽수의 개념을 알게 한다.
-소나무처럼 끝이 뾰족한 잎의 나무를 무엇이라고 부를까?
잎의 색깔이 왜 다른지를 알아보도록 한다.
-어떤 잎은 갈색이고, 어떤 잎은 녹색인데, 왜 그런지 누가 말해 볼래요?
잎자루의 개념에 대해 알게 한다.
-이 모든 잎들은 어떻게 식물에 붙어 있을까요?
어느 쪽이 식물에 붙어 있던 끝인지 말할 수 있나요?
-나무와 연결되는 잎의 끝을 무엇이라 부르는지 아는 사람?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나무의 잎은 사진을 통해 보여준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보아온 나뭇잎과, 교사가 보여준 사진을 통해 거의 모든 지역의 나뭇잎을 거의 다 접한 셈이다.)
정리
침엽수라는 말은 잎이 바늘처럼 뾰족하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땅에 떨어져 있던 잎은 갈색이고, 나무에서 따온 잎은 녹색이다.
나무와 연결되는 잎의 끝부분을 잎자루라고 부른다.
잎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끝이 뾰족한 것끼리 모을 수 있다.
-잎에 줄기가 뻗어 있는 것(잎맥이 있는 것)과 잎에 줄기가 없는 것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잎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서도 분류할 수 있다.
[관련 내용]
나뭇잎은 모양에 따라 바늘잎, 가장자리가 톱날같은 잎,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잎, 작은 가지잎, 큰 가지잎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경험 학습 모형 2
[학습 주제] 3학년 2학기, 단원 5. 여러가지 돌과 흙
[수업 목표]
흙의 색깔, 종류, 축축한 정도, 흙 속의 물질 등을 관찰함으로써 흙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모든 장소의 흙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자 료]
흙, 확대경, 작은 체
(여기서 자료를 준비하는 방법으로 각 학생에게 흙을 가져오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학습 소재인 흙이 처음 지도되는 것이며, 학생들에게 익숙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시키기 보다는 교사가 재료(흙)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수업 절차]
단계
학습활동
자유탐색
단계
서로 다른 네 장소에서 파온 흙을 관찰한다.
작은 체에 담고 체질을 한 다음, 체에 남은 물질을 확대경으로 조사한다.
-어떤 흙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모래, 진흙 등...)
-흙의 색깔은??
-흙이 축축한가, 건조한가?
-흙 속에 어떤 물질이 들어 있는가??(나뭇잎, 부스러기, 식물, 조개껍데기 등...)
탐색결과
발표단계
서로가 관찰한 결과를 교환한다.
각각의 흙에 들어있는 물질들을 조사하고 의견을 교환, 보충한다.
교사인도에 따른
탐색단계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흙이 어떤 장소에서 파온 것인지 짐작해 본다.
이 흙들을 두 종류로 분류하게 한다.
-흙들을 두 종류로 분류한다면 어떻게 묶으면 될까요? 그 기준은?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흙 속에서 발견한 물질들을 다시 또 분류하게 한다.
-흙 속에서 발견한 물질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것들은 어떤 것끼리 묶을 수 있을까요?
흙마다 왜 축축한 정도가 다른지 알게 한다.
-왜 어떤 흙은 건조한데, 다른 흙은 더 축축할까요?
정리
흙의 색깔, 축축한 정도, 흙 속에 들어 있는 물질을 바탕으로 어떤 장소의 흙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거의 모래로 되어 있고, 그 속에 조개 부스러기가 있는 흙은 해변가에서 퍼 왔을 것이다.
-쓰레기가 많이 들어 있는 흙은 쓰레기 더미나 도시의 더러운 곳에서 퍼왔을 것이다.
-자갈과 작은 암석이 많으며, 식물 조각이 거의 없는 흙은 바위가 많은 장소에서 퍼 왔을 것이다.
흙 속에서 발견한 물질들을 다시 또 분류할 수 있다.
-(나뭇가지, 나뭇잎, 뼈조각), (깨진 유리조각, 종이조각, 병뚜껑)
생물로부터 생긴 것 공장에서 만들어진 것
-흙마다 물을 간직하는 정도가 다르며, 따라서 보수력이 좋은 흙은 더 축축하다.
[관련 내용]
바닷가의 흙인 모래는 보수력이 좋지 않아 물이 금방 빠져 버리고, 산 속이나 식물 주위의 흙은 보수력이 좋아 물을 부어도 금방 빠져 버리지 않고 흙 속에 오래도록 남아 있다.
절차 (5)는 정리 단계이며, 지금까지 관찰하고 알게 된 사실을 바탕으로 곤충을 분류해 봄으로써 수업을 마무리 짓고 있습니다. 그리고 곤충의 학습에서 더 나아가 관찰한 곤충을 풀어줌으로써 생명의 존엄성과 같은 내용도 학습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연구 6-2>>
다음 학습 주제를 경험 학습 모형의 단계에 맞추어 수업을 계획하여 보시오.
[학습 주제] 여러 가지 나뭇잎, 여러 가지 흙(3학년)
☞ 경험 학습 모형 1
[학습 주제] 3학년 2학기, 단원 1. 식물의 잎과 줄기
[선택 근거]
경험 학습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물체를 직접 조작하고 실제 감각 경험을 맛보며 그들 자신의 탐구 능력을 연마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또 환경과 직접 접촉하는 과학 경험을 하게 되고 자신의 탐구 능력을 실제로 연마함으로써, 학생들은 개념의 형태로서 새로운 내용을 학습할 기회도 갖게 된다.
[수업 목표]
잎의 개념을 새롭게 인식하고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잎자루, 침엽수 등의 개념에 친숙치 못한 학생들도 새로운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다.
[자 료]
여러 가지 잎, 확대경
(여기서 잎의 수집은 학생들 스스로가 하는 것이 좋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들이나 집 주위에서 구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잎을 될수록 많이 모아 오라고 한다. 그리고 잎이 마르는 것을 막기 위해 잎을 플라스틱 봉지에 넣고 봉해 두도록, 학생들에게 일러두는 것도 좋다.
[수업 절차]
단계
학습활동
자유탐색
단계
학생들을 둥그렇게 모아 놓고, 모아온 잎을 꺼내도록 한다.
처음 5~10분 동안 모아온 잎 관찰하도록 한다.
학생들이 관찰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교사는 확대경을 사용하여 잎을 관찰하도록 한다.
다음 여러 사항에 대해 관찰하도록 한다.
-잎의 모양은 어떠한가?
-잎의 색깔은 어떠한가?
-잎의 촉감은 어떠한가? (부드러운가, 쭈글쭈글한가?)
탐색결과
발표단계
관찰한 결과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자유롭게 토의할 시간을 준다.
서로가 관찰한 잎의 모양, 색깔, 촉감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교사인도에 따른
탐색단계
잎의 모양을 비교한다.
침엽수의 개념을 알게 한다.
-소나무처럼 끝이 뾰족한 잎의 나무를 무엇이라고 부를까?
잎의 색깔이 왜 다른지를 알아보도록 한다.
-어떤 잎은 갈색이고, 어떤 잎은 녹색인데, 왜 그런지 누가 말해 볼래요?
잎자루의 개념에 대해 알게 한다.
-이 모든 잎들은 어떻게 식물에 붙어 있을까요?
어느 쪽이 식물에 붙어 있던 끝인지 말할 수 있나요?
-나무와 연결되는 잎의 끝을 무엇이라 부르는지 아는 사람?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나무의 잎은 사진을 통해 보여준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보아온 나뭇잎과, 교사가 보여준 사진을 통해 거의 모든 지역의 나뭇잎을 거의 다 접한 셈이다.)
정리
침엽수라는 말은 잎이 바늘처럼 뾰족하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땅에 떨어져 있던 잎은 갈색이고, 나무에서 따온 잎은 녹색이다.
나무와 연결되는 잎의 끝부분을 잎자루라고 부른다.
잎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끝이 뾰족한 것끼리 모을 수 있다.
-잎에 줄기가 뻗어 있는 것(잎맥이 있는 것)과 잎에 줄기가 없는 것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잎의 크기와 모양에 의해서도 분류할 수 있다.
[관련 내용]
나뭇잎은 모양에 따라 바늘잎, 가장자리가 톱날같은 잎, 가장자리가 매끄러운 잎, 작은 가지잎, 큰 가지잎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경험 학습 모형 2
[학습 주제] 3학년 2학기, 단원 5. 여러가지 돌과 흙
[수업 목표]
흙의 색깔, 종류, 축축한 정도, 흙 속의 물질 등을 관찰함으로써 흙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모든 장소의 흙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자 료]
흙, 확대경, 작은 체
(여기서 자료를 준비하는 방법으로 각 학생에게 흙을 가져오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학습 소재인 흙이 처음 지도되는 것이며, 학생들에게 익숙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시키기 보다는 교사가 재료(흙)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수업 절차]
단계
학습활동
자유탐색
단계
서로 다른 네 장소에서 파온 흙을 관찰한다.
작은 체에 담고 체질을 한 다음, 체에 남은 물질을 확대경으로 조사한다.
-어떤 흙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모래, 진흙 등...)
-흙의 색깔은??
-흙이 축축한가, 건조한가?
-흙 속에 어떤 물질이 들어 있는가??(나뭇잎, 부스러기, 식물, 조개껍데기 등...)
탐색결과
발표단계
서로가 관찰한 결과를 교환한다.
각각의 흙에 들어있는 물질들을 조사하고 의견을 교환, 보충한다.
교사인도에 따른
탐색단계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흙이 어떤 장소에서 파온 것인지 짐작해 본다.
이 흙들을 두 종류로 분류하게 한다.
-흙들을 두 종류로 분류한다면 어떻게 묶으면 될까요? 그 기준은?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흙 속에서 발견한 물질들을 다시 또 분류하게 한다.
-흙 속에서 발견한 물질들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것들은 어떤 것끼리 묶을 수 있을까요?
흙마다 왜 축축한 정도가 다른지 알게 한다.
-왜 어떤 흙은 건조한데, 다른 흙은 더 축축할까요?
정리
흙의 색깔, 축축한 정도, 흙 속에 들어 있는 물질을 바탕으로 어떤 장소의 흙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거의 모래로 되어 있고, 그 속에 조개 부스러기가 있는 흙은 해변가에서 퍼 왔을 것이다.
-쓰레기가 많이 들어 있는 흙은 쓰레기 더미나 도시의 더러운 곳에서 퍼왔을 것이다.
-자갈과 작은 암석이 많으며, 식물 조각이 거의 없는 흙은 바위가 많은 장소에서 퍼 왔을 것이다.
흙 속에서 발견한 물질들을 다시 또 분류할 수 있다.
-(나뭇가지, 나뭇잎, 뼈조각), (깨진 유리조각, 종이조각, 병뚜껑)
생물로부터 생긴 것 공장에서 만들어진 것
-흙마다 물을 간직하는 정도가 다르며, 따라서 보수력이 좋은 흙은 더 축축하다.
[관련 내용]
바닷가의 흙인 모래는 보수력이 좋지 않아 물이 금방 빠져 버리고, 산 속이나 식물 주위의 흙은 보수력이 좋아 물을 부어도 금방 빠져 버리지 않고 흙 속에 오래도록 남아 있다.
추천자료
실과에서 5가지 교수-학습법
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 국악(전통음악) 관련 학술행사, 초...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의 개념, 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ICT)의 도입배경, 정보통신기술활...
[역할극][롤플레이]역할놀이(롤플레이, 역할극) 환경조성과 역할분담, 역할놀이(롤플레이, 역...
[초등사회과교육]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사회과교육) 실태와 내용체계, 초등학교 3학년 사회...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 도덕성개념,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 교육과정변천, 초등학교 ...
[스포츠교육]스포츠교육(스포츠지도)의 정의, 스포츠교육(스포츠지도)의 의의, 스포츠교육(스...
도덕과(도덕교육, 도덕수업)의 특성과 목적, 도덕과(도덕교육, 도덕수업)의 공동체주의, 도덕...
초등학교 영어교육(초등영어)의 목표와 필요성, 초등학교 영어교육(초등영어)의 학습모형, 초...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교과용도서활용과 발문활용, 초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계산...
[영재교육과정][영재교육]영재의 정의, 영재의 판별, 영재교육과정의 의의, 영재교육과정의 ...
유아교과교육의 역사) 서양의 교과교육과 교수법과 동양의 교수학습
통일대비교육의 개념, 통일대비교육의 필요성, 통일대비교육의 실태, 통일대비교육과 국어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