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구성주의와 교수학습 - 구성주의 이론을 근거로 한 세 가지 학습모형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월취의 대화학습 (언어의 창조적 기능을 중시)

2) 러고프의 도제학습 (근접발달영역을 원용하여 교사의 안내자로서의 역할의 중시)

3) 말라구찌의 소집단 프로젝트 학습 (인간의 상호협동을 중시)
(1) 레지오 에밀리아의 기본원리
(2) 소집단 프로젝트 학습사례

< 맺음말 >

본문내용

설명한다. 즉 한 인간의 지식의 내면화 과정은 먼저 사람들 사이에서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개인 내에서 나타난다. 그러면서 그는 지식의 구성과정에서 개인보다 사회적 상호작용의 우위성을 주장하고 있다.
(8) 비고츠키는 사람들의 삶 속에서 성인들의 안내나 또래집단의 도움 없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제적 발달 수준과 타인의 도움으로 해결이 가능한 잠재적 발달수준으로 나누고, 잠재적 발달수준에서 실제적 발달수준을 뺀 거리를 근접발달영역이라고 칭하면서, 이 영역 내에서 지식의 사회적 구성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9) 오늘날 사회적 구성주의는 실제 학습이론으로 도입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학습모형으로 월취의 대화학습모형, 러고프의 도제학습모형 그리고 소집단 프로젝트 학습모형을 들 수 있다.
  • 가격1,2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5.08.23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