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첫 왕도 -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제의 첫 왕도 -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들어가는 말
Ⅱ.본론
1.풍납토성
1)개관
2)경당지구 및 관련 유적
3)출토유물
4)성곽
2.몽촌토성
1)개관
2)성벽 및 관련 유적
3)역사적 성격
3.풍납토성과 몽촌토성과의 비교
Ⅲ.나오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견해도 있다.
3.풍납토성과 몽촌토성과의 비교
풍납토성이 한강변에 축조된 평지토성임에 반해, 몽촌토성은 잔구상의 자연구릉상에 부분적으로 축조된 산성이다. 성곽의 내부 면적과 관련하여 평지에 축조된 풍납토성과 구릉지에 축조된 몽촌토성의 공간 활용도를 추정해 보면 양자간의 차이를 쉽게 알 수 있다. 풍납토성의 발굴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토성의 중앙부를 왕궁 또는 종묘와 사진 등과 관련된 중요 건물이 자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몽촌토성은 비록 발굴조사 지점이 부분 고지대에 국한되어 뚜렷한 성과가 제시된 것은 없으나 성 내부의 면적이 협소한 데다 평탄한 곳 역시 많지 않아 상대적으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진다. 몽촌토성은 소형 집자리와 수형 저장공 등이나 풍납토성에서 발견된 것은 대형 건물지와 제사유구·수십 기의 대형 집자리이다. 이로써 풍납토성이 왕을 중심으로 한 일상적인 거주 기능에 초점을 맞춘 거성이라면 몽촌토성은 방어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몽촌토성에서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 3세기 중반 대에 출현하는 토기류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풍납토성은 기원전 1~2세기 대에 출현하는 풍납동식 무문토기를 비롯하여 2·3세기 경의 연질토기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이른 시기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이들 풍납토성에서 출토되는 토기들은 몽촌토성보다 빠른 것으로 밝혀졌고, 풍납토성에서 출토된 유물의 양과 종류도 몽촌토성보다 훨씬 다양하고 많다.
몽촌토성의 축조연대는 대략 3세기 말~5세기 말경으로 편년되고 있다. 풍납토성에는 늦어도 기원전 1세기부터 한성백제의 마지막 시점인 5세기 후반까지의 유물이 고르게 출토된 것으로 밝혀져 풍납토성의 연대는 대체로 문헌 기록상의 한성백제 존속 기간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Ⅲ.나오는 말
발굴로 이루어진 고고학적 성과로 살펴볼 때, 출토유물이나 유구의 성격으로 보아 풍납토성이 왕이 평상시에 거주하던 왕성으로 보이며, 몽촌토성은 군사적인 방어성으로 사용한 산성으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하남위례성의 위치를 풍납토성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몽촌토성의 발굴조사가 아직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왔다고도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미완성된 몽촌토성과 풍납토성의 발굴조사가 다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한종섭, 『위례성백제사』, 집문당, 1994.
이형구, 『백제의 도성』, 주류성, 2004.
김태식, 『풍납토성, 500년 백제를 깨우다』, 김영사, 2001.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3.26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8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