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촌토성, 풍납토성 답사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적석유구, 생활면유구, 그리고 돌무덤, 널무덤, 독무덤 같은 여러 유형의 무덤 등, 초기 백제시대의 각종 유구를 많이 찾았다. 그 외에 조사과정에서 조선시대의 유구와 유물도 드러났다.
유물은 여러 개의 저장구덩이와 여러 기의 움집터 같은 생활 유구와 무덤에서 많이 나왔다. 출토유물을 유형별로 나누면 다양한 종류의 백제 토기류, 갑옷 파편과 철제 무기 및 마구류, 그물추, 낚시바늘, 가락바퀴, 거푸집, 돌절구, 신앙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이는 목제오리 조각품 같은 일상생활 유물류, 백제 기와가 대부분이며 그 외에 중국제의 유물이 몇 점 들어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유물을 백제 토기이다.
백제 토기 중에는 주로 백제 초기의 회백색에 연질계통의 토기가 많이 나왔는데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이 토기들은 대체로 3세기말 내지 4세기 초엽~4세기 중엽에 속하는 유형, 4세기 중엽 이후~5세기 중엽에 해당하는 유형, 그리고 몽촌토성의 폐기원인과 관련된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몽촌토성이 초기 백제시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곳임을 증명해 주는 것이다. 또 주목할 만한 도기 파편이 나왔다.
저장구덩이에서 나온 중국 서진(西晋, 265~316)시대의 회유전문도기편이 그것인데 이 유물은 몽촌토성의 축조연대를 추정할 수 있게 해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이 도기편은 층위 구성상 토성의 증축이 이루어진 이후의 유물인 것으로 밝혀져 몽촌토성의 축조연대는 늦어도 3세기말 이전일 것으로 추정된다.
몽촌토성은 오랫동안 방치된 채 있다가 이 일대가 올림픽경기장 건설부지로 지정되면서 본격적인 보호를 받게 되었다 역사적 공원으로 꾸며 토성을 보수하고 경역을 조경하는 한편, 성안에 몽촌역사관을 건립하여 출토된 백제 유물을 보존 전시하고 있다.
풍납토성과 몽촌토성을 돌아보고 다시 학교로 향하는 길은 조금 무거웠다. 장시간 걸어 다녀 몸도 지쳤고, 소중한 문화유산을 제대로 보존해내지 못하는 못난 후손의 한 사람으로써 마음도 지쳐있었다. 역사 기술은 언제나 승자의 몫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삼국통일 과정에서 패배자로 남은 고구려와 백제는 역사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져왔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이다. 특히 백제는 문화수준이나 국력이 뛰어났던 것으로 밝혀졌으나 여전히 자세한 역사가 실종된 ‘잃어버린 왕국’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백제의 유적지를, 소중한 우리의 기록을 우리 손으로 훼손시키고 방치하고 있다니.. 그래도 한 가지 다행스러운 점은 한 때 재건축 조합원들이 풍납토성 일대의 유적 발굴현상을 굴삭기로로 밀어버리는 사건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넓은 땅의 재건축 예정지들이 사적으로 지정되어 초기 한성 백제의 중요한 문화 유적지를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우리가 우리 손으로 우리의 문화를, 유적지를 지키고 가꿔가는 일. 그 것 만큼의 애국이 또 있을까. 풍납토성, 몽촌토성에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다 우연히 알게 된 ‘문화유산지킴이’들의 활동이 새삼 나를 숙연하게 만든다.
600여 년 동안 아름답게 꽃 피웠을 한성백제의 영광. 지금은 역사의 저편으로 물러나 우리에게 몇 가지의 유물만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 유물들 속에서 그들의 아름답고도 활기찬 숨결을 느낄 수 있다. 2천 년 전 백제인의 자부심을 말이다. 그리고 지금 내가 느낀, 현대의 사람들이 함께 느끼고 있는 과거의 숨결을 우리의 후손들에게도 고이 물려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선 정부와 민간단체, 그리고 우리들 개개인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은 자명한 일이다. 이제부터 나부터라도, 나의 작은 손길이라도 우리의 문화유산을 지키고 보전하는 데에 작은 보탬이 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는 다짐을 하며 나의 첫 답사 기행문을 마치려 한다.
** 참 고 문 헌 **
우리 문화유산을 찾아서. 김인균. 형설출판사. 1999
서울의 문화유산 탐방기. 서울학연구소. 숲과나무. 1997
1000원으로 시작하는 서울 역사문화기행. 윤돌. 황금부엉이. 2004
서울 도심에서 만나는 휴식-산책길. 장상용 글 이호형 사진. 넥서스 BOOKS
우리고장 문화유산 개마서원 전국 시장, 군수, 구청장 협의회 著
신동아 2000.07.01 통권 490호 (p524~537). 김태식 연합뉴스 기자.
동아일보 2003.12.03 . 홍찬식 / ‘백제 유물’
올림픽 공원 홈페이지 (www.sosfo.or.kr)
백제 그 역사의 향기 - 박현웅 개인 홈페이지 (http://myhome.naver.com/itsphw)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6.2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