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의 약물적 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통증의 약물적 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약물요법
1) 비마약성 진통제(Non-opioid analgesics)
2) 마약성 진통제(Opioid analgesics)
3) 보조 진통제(Adjuvant analgesics)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않은 피부에서 45분간 유지되며 피부 반응 부작용은 드묾.
국소적, 속효성인 젤과 크림: 근육통과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요법을 할 때 사용됨.
Bio-Freeze(젤) : 물리치료 후에 그 부위를 식히기 위해 사용함.
Ⅲ. 결론
우리는 HIVD 진단을 받고 수술을 위해 입원한 배영호님(M/56)이 pain을 호소함에 따라 통증 관리를 위하여 그 중 통증의 약물적 관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증조절을 위한 약물은 비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보조 진통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약물들은 통증조절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약에 따라 정확한 투여방법과 정확한 용량을 지켜서 복용해야만 부작용을 줄이고 통증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통증완화를 위한 1차적인 치료제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acetylsalicylic acid(Aspirin), acetaminophen(Tylenol)이 가장 흔하다. acetaminophen은 위장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궤양이 있는 대상자들이 선호하지만 장기간 사용 시 간 독성과 신장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는 최고의 비마약성 진통제이면서 강력한 항염증제제로, 여러 가지 통증완화에 효과적이나 항염증 작용이 강력한 만큼 그로 인해 감염의 징후가 가려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환자의 상태 관찰 필요하다.
마약성 진통제는 가장 강력한 진통제로서 천장효과가 없기 때문에 용량이 증가할수록 진통효과가 증가한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변비, 오심, 구토, 요 정체, 가려움증, 진정, 호흡억제 등이 유발될 수 있고, 경구투여가 가장 선호되지만 만성통증완화를 위해 영구적인 경막 외 카테터를 삽입하고 약물을 간헐적 또는 계속적으로 주입하기도 하는데 이때 약물을 주입하거나 튜브를 교환하는 등의 처치 시에 감염의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보조 진통제는 만성통증이나 복합적인 통증 증후군 시 단독으로 복용하거나 진통제와 혼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통증 완화뿐만 아니라 불안, 우울, 오심, 불면증을 조절하는 효과도 있어 만성 통증에 동반될 수 있는 우울증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보조 진통제 중 계속되는 통증에 유용하여 사용되는 국소마취제제는 말초신경과 중추신경계 뉴런의 전기적인 활동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심장전도장애, 부정맥, 항부정맥제 복용 대상자는 복용을 금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김수경 외(2012).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서울, pp. 598~599
2.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 1, 정담미디어: 서울, pp.404~417
3. 유해영 외(2011).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서울, pp 127~137
---------------------------------------------------------------------------------------------------------
<부록 - 마약성 진통제의 투여 경로>
투여경로
장점
단점
경구
(Oral)
가장 우선하는 투여경로
값이 싸며, 활동하기에 편리함.
약의 최고 수준은 1~2시간 내
금식, 비위관 삽입한 경우에도 가능함.
작용시작 시간이 느림.
연하장애 시 투여할 수 없음.
위장관계의 기능이 좋아야 함.
장기형 마약성 진통제
: 깨뜨리거나 씹을 수 없음.
직장 (Rectal)
금식, 오심, 가정에 있는 대상자
자가 투여하거나 노인에게 편리
작용 기간은 4~6시간
경구투여보다 비싸고 구하기 어려움.
혈소판 감소증 대상자
: 직장출혈을 유발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삽입함.
근육주사 (Intramuscular)
급성 단기간 통증에 사용
최고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나,
작용 시간이 짧음.
일정한 혈중 농도 유지가 어려움.
투여 시 통증 유발과 자가 투여 힘듦.
만성의 암성 통증, 근육 감소 대상자 에는 권장하지 않음.
경피적 투여 (Transdermal)
비침습적이며 편리함.
처음 적용한 후 첫 12~24시간 동안 속효성 진통제로 보충함.
: 혈장 농도를 증가시키기 때문
고비용, 용량조절이 어려움.
발열 시 빨리 흡수됨.
OTFC
(Oral Transmucosal Fentanyl Citrate, 볼점막 내 펜타닐 구연산염)
생체 내 이용효율이 좋고,
효과가 빠름.
속효성, 반감기 짧음.
완전히 용해시키려면 10분 동안은
입 안에 바르고 있어야 함.
도포 (Topical)
사용하기 편리함.
전신에 영향을 줄 만큼
흡수되지 않음.
피부반응 야기
Capsaicin: 초기에 화끈거릴 수 있음.
설하 (Sublingual)
연하곤란, 정맥주입로가 없는 대상자에게 적합함.
점막 자극, 흡수되지 않을 수 있음.
비강 내 (Intranasal)
투여가 편리하고 외래환자에
적합함.
피하 (Subcutaneous)
다량 주입 or PCA로 계속적
주입 할 때 유용함.
정맥 주입 부위를 피해 투여할 수 있으며 저렴함.
⇒ 구강섭취가 불가능한 암환자, 정맥주입이 바람직하지 않은 대상자에게 권장함.
반복적인 주사가 필요 없고,
덜 아픔.
항상 일정한 혈액 수준 유지
가정에서 쉽게 관리할 수 있음.
정맥으로 1회 용량을 주사할 때보다
효과가 느림.
이동식 주입 펌프 필요함.
정맥 (Intravenous)
IV Bolus, 계속적인 주입 시
(계속적인 정맥투여경로는 혈액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함.)
구강, 직장으로 고농도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할 수 없을 때 권장함.
투여 시 소요되는 시간이 짧고 효과가 5~15분 내에 나타남.
경보 장치가 있는 주입펌프 필요함.
자가통증조절기 (PCA)
스스로 약물을 조절하므로
불안 감소됨.
반복적으로 주사할 필요 없음.
수술 후 통증 같은 급성통증에 유용함.
펌프필요
최대 효과를 위해 대상자 교육이
필요함.
경막 외와
척수 내 투여
수술 후 통증, 만성 통증에
유용함.
비싸고 부작용이 생길 수 있음.
(오심·구토, 소양증, 진정작용, 요정체,
호흡 억제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음.
(혈종과 감염, 뇌막염 등)
  • 가격1,4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04.01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6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