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가니를 읽고
‘우아한 거짓말’을 읽고
이경화 <나>를 읽고
레디메이드 인생을 읽고
자전거 도둑을 읽고
발이 닿지 않는 아이
밤의 피크닉을 읽고
빵과 장미를 읽고
노예 12년
내 젊은 날의 숲
스프링 벅을 읽고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를 읽고
열아홉의 프리킥
큰발 중국 아가씨를 읽고
‘우아한 거짓말’을 읽고
이경화 <나>를 읽고
레디메이드 인생을 읽고
자전거 도둑을 읽고
발이 닿지 않는 아이
밤의 피크닉을 읽고
빵과 장미를 읽고
노예 12년
내 젊은 날의 숲
스프링 벅을 읽고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를 읽고
열아홉의 프리킥
큰발 중국 아가씨를 읽고
본문내용
목 차
도가니를 읽고
‘우아한 거짓말’을 읽고
이경화 <나>를 읽고
레디메이드 인생을 읽고
자전거 도둑을 읽고
발이 닿지 않는 아이
밤의 피크닉을 읽고
빵과 장미를 읽고
노예 12년
내 젊은 날의 숲
스프링 벅을 읽고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를 읽고
열아홉의 프리킥
큰발 중국 아가씨를 읽고
도가니를 읽고
\'도가니\' 라는 작품은 영화로 개봉하여 사람들의 이목을 끌면서 다시 책도 유명해진 유형이다. 그래서 나도 \'도가니\'의 원작의 내용이 궁금하여 읽게 되었다. 도가니의 무대는 \'무진\' 이라는 도시 이다. 한때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었던 이곳은 그 말이 무색하게 한 청각장애인 학교인 \'자애학원\'에서 잔혹한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 사건을 밝히려는 자와 은폐하려는 기존의 기득권과의 싸움을 다뤘다. 나는 이책을 읽고 나서 이번 세월호 사건과 굉장히 유사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세월호 사건은 분명 청해진 해운과 유병언에 의해서 1차적인 책임과 잘못이 있고 2차적 책임은 정부에게 있다. 하지만 정부는 자신들의 잘못과 책임을 다하지 못한것을 최대한 은폐하려고 하고 또한 똑같은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 예방해야 하는 책임이 있지만 그들은 사건이 일어나고 수많은 사람들을 슬픔에 잠기게 했지만 아직도 그들은 이와중에 자신들이 이권만을 챙기기 위해서 세월호 특별법에서 가장 중요한 수사권과 기소권을 반대하고 있다. 이는 속이 빈 껍데기 이다. 기득권층은 언제쯤 자신들의 권력과 부를 조금씩 내려놓을 준비가 될까? 우리가 직접 나서지 않는다면 이들은 영원히 바뀌지 않을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엔 가장 큰 문제는 앞으로의 20년 30년을 이끌어갈 청년층과 학생층의 무지와 특정언론의 기사나 발언을 자신의 주관이 없이 받아들이는 것 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그동안 사회구조를 바라봤던 시각은 기득권층은 자신들의 힘을 이용해 약자들을 밟아 온 것 이라고 욕한다 하지만 막대한 권력과 부를 가지고 있으니 부러워서 우리도 저들처럼 되고 싶다 라고 생각했을 것 이다. 하지만 그 생각은 틀렸다. 우리가 이러한 사회구조를 바꾸지 않는 한 이러한 일들은 수백 수천 번이 반복될 것 이다. 그러니 내가 바라는 것은 최소한 학생들이 자신들이 살 미래가 어떻게 돌아갈 것인가 그리고 좋은 사회를 만들려면 앞으로 사회구조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고 바꾸기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노력은 뭐가 있을까 정도만 이라도 생각해 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 \'도가니\'라는 책은 앞서 말한 내용에 대하여 한번쯤은 생각하게 해 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우아한 거짓말’을 읽고
내가 읽은 책은 김려령 작가의 우아한 거짓말이다. 책을 읽으려고 하던 차에 이 책을 바탕으로 한 영화 ‘우아한 거짓말’이 개봉되어 책도 읽고 영화도 보았다. 내가 읽은 책이 많지는 않지만 그 중에서도 이 책은 나에게 깊은 충격을 주었고 성찰을 불러일으켰다.
책의 주인공은 천지이다 천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천지는 나이에 맞지 않게 조용하고 성숙하고 속이 깊다. 14살 소녀의 자살로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뜨개질을 좋아하는 주인공 천지는 항상 친구들이 자신을 따라야 직성이 풀리는 화연이의 은따(은근한 왕따)따돌림을 받는다. 하지만 눈 코 뜰 새 없이 바쁜 만지 언니와 엄마의 무관심 아닌 무관심으로 자살을 선택하게 된다. 나는 자살이란 단어를 보고 무서웠다. 그 이유는 내 나이가 많지 않지만 지금까지 살면서 아무리 힘들어도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은 해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쩌면 내가 걱정들을 시간이 지나면 금방 잊어버려서 그런 것 같다. 나는 엄마가 나에게 매우 큰 관심을 주셔서 때로는 힘들 때도 많았지만 책을 읽고 나니 고맙고 감사하게 느껴졌다.
중학교 때 내 반에 왕따는 아니지만 은근한 따돌림을 당하는 여자애가 있었다.
그 친구를 놀리진 않았지만 같이 어울리기 위해 노력하지도 않았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중학교 때 그 친구를 위해 노력 하나 하지 않았던 행동을 반성하게 되었다. 어쩌면 나도 그 친구에게 우아한 거짓말을 하여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주진 않았는지 생각하게 되었다.
학교에서 많은 사건 사고들이 일어나는 만큼 이 책을 많은 사람들이 읽고 나서 반성하게 되고 마음 따뜻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이경화 <나>를 읽고
이 책은 동성애자인권연대 사무실에서 목을 매어 자살한 19살의 청년 故 육우당을 기리기 위해 소설이다. 책의 줄거리는 게이인 주인공이 어려운 환경과 동성애자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회에서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살아가다 결국은 자신의 정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사는 그런 내용이다.
책을 읽기 전 나는 동성애자에 관하여 약간은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아마 이건 대부분의 사람들도 비슷할거라 생각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동성애자를 좋은 시선으로 보지 않는다. 만약에 지금 우리반에 동성애자가 있다고 가정하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그 아이는 왕따를 당하면 놀림 받으면서 괴롭힐 당할 것이다. 단지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말이다. 나는 동성애자들을 혐오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들의 인격을 무시하며 차별하는건 부당하다는 생각이 읽는 도중에 들었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난 후에 내 생각은 바뀌었다. 책 내용중에서 주인공의 친구인 상요는 자살을 하는데 이 아이는 동성애자였다. 이 인물의 비극적인 죽음보다 더 안타까웠던건 이 소설의 사회적 상황이나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적 상황이나 다를게 없다는 것이었다. 동성애자들은 단순한 한 순간의 욕구가 아닌 사랑하는 ‘성’이 다를뿐 그들도 똑같은 사랑응ㄹ 한다. 하지만 그들은 동성을 사랑하는 이유로 사회에서 당당하지 못하고 숨어서 지내야만 한다. 혹시라도 그런 사실이 알려지면 그들은 사회에서 무시당하고 버려진다. 이들이 단지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이런 대우를 받는건 정당하지 않고 분명히 잘못
도가니를 읽고
‘우아한 거짓말’을 읽고
이경화 <나>를 읽고
레디메이드 인생을 읽고
자전거 도둑을 읽고
발이 닿지 않는 아이
밤의 피크닉을 읽고
빵과 장미를 읽고
노예 12년
내 젊은 날의 숲
스프링 벅을 읽고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를 읽고
열아홉의 프리킥
큰발 중국 아가씨를 읽고
도가니를 읽고
\'도가니\' 라는 작품은 영화로 개봉하여 사람들의 이목을 끌면서 다시 책도 유명해진 유형이다. 그래서 나도 \'도가니\'의 원작의 내용이 궁금하여 읽게 되었다. 도가니의 무대는 \'무진\' 이라는 도시 이다. 한때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었던 이곳은 그 말이 무색하게 한 청각장애인 학교인 \'자애학원\'에서 잔혹한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 사건을 밝히려는 자와 은폐하려는 기존의 기득권과의 싸움을 다뤘다. 나는 이책을 읽고 나서 이번 세월호 사건과 굉장히 유사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세월호 사건은 분명 청해진 해운과 유병언에 의해서 1차적인 책임과 잘못이 있고 2차적 책임은 정부에게 있다. 하지만 정부는 자신들의 잘못과 책임을 다하지 못한것을 최대한 은폐하려고 하고 또한 똑같은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 예방해야 하는 책임이 있지만 그들은 사건이 일어나고 수많은 사람들을 슬픔에 잠기게 했지만 아직도 그들은 이와중에 자신들이 이권만을 챙기기 위해서 세월호 특별법에서 가장 중요한 수사권과 기소권을 반대하고 있다. 이는 속이 빈 껍데기 이다. 기득권층은 언제쯤 자신들의 권력과 부를 조금씩 내려놓을 준비가 될까? 우리가 직접 나서지 않는다면 이들은 영원히 바뀌지 않을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엔 가장 큰 문제는 앞으로의 20년 30년을 이끌어갈 청년층과 학생층의 무지와 특정언론의 기사나 발언을 자신의 주관이 없이 받아들이는 것 이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그동안 사회구조를 바라봤던 시각은 기득권층은 자신들의 힘을 이용해 약자들을 밟아 온 것 이라고 욕한다 하지만 막대한 권력과 부를 가지고 있으니 부러워서 우리도 저들처럼 되고 싶다 라고 생각했을 것 이다. 하지만 그 생각은 틀렸다. 우리가 이러한 사회구조를 바꾸지 않는 한 이러한 일들은 수백 수천 번이 반복될 것 이다. 그러니 내가 바라는 것은 최소한 학생들이 자신들이 살 미래가 어떻게 돌아갈 것인가 그리고 좋은 사회를 만들려면 앞으로 사회구조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고 바꾸기 위해서 내가 할 수 있는 노력은 뭐가 있을까 정도만 이라도 생각해 주면 좋겠다. 그런 의미에서 \'도가니\'라는 책은 앞서 말한 내용에 대하여 한번쯤은 생각하게 해 줄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우아한 거짓말’을 읽고
내가 읽은 책은 김려령 작가의 우아한 거짓말이다. 책을 읽으려고 하던 차에 이 책을 바탕으로 한 영화 ‘우아한 거짓말’이 개봉되어 책도 읽고 영화도 보았다. 내가 읽은 책이 많지는 않지만 그 중에서도 이 책은 나에게 깊은 충격을 주었고 성찰을 불러일으켰다.
책의 주인공은 천지이다 천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천지는 나이에 맞지 않게 조용하고 성숙하고 속이 깊다. 14살 소녀의 자살로 이야기가 시작되었다 뜨개질을 좋아하는 주인공 천지는 항상 친구들이 자신을 따라야 직성이 풀리는 화연이의 은따(은근한 왕따)따돌림을 받는다. 하지만 눈 코 뜰 새 없이 바쁜 만지 언니와 엄마의 무관심 아닌 무관심으로 자살을 선택하게 된다. 나는 자살이란 단어를 보고 무서웠다. 그 이유는 내 나이가 많지 않지만 지금까지 살면서 아무리 힘들어도 자살하고 싶다는 생각은 해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쩌면 내가 걱정들을 시간이 지나면 금방 잊어버려서 그런 것 같다. 나는 엄마가 나에게 매우 큰 관심을 주셔서 때로는 힘들 때도 많았지만 책을 읽고 나니 고맙고 감사하게 느껴졌다.
중학교 때 내 반에 왕따는 아니지만 은근한 따돌림을 당하는 여자애가 있었다.
그 친구를 놀리진 않았지만 같이 어울리기 위해 노력하지도 않았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중학교 때 그 친구를 위해 노력 하나 하지 않았던 행동을 반성하게 되었다. 어쩌면 나도 그 친구에게 우아한 거짓말을 하여 지울 수 없는 상처를 주진 않았는지 생각하게 되었다.
학교에서 많은 사건 사고들이 일어나는 만큼 이 책을 많은 사람들이 읽고 나서 반성하게 되고 마음 따뜻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이경화 <나>를 읽고
이 책은 동성애자인권연대 사무실에서 목을 매어 자살한 19살의 청년 故 육우당을 기리기 위해 소설이다. 책의 줄거리는 게이인 주인공이 어려운 환경과 동성애자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사회에서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살아가다 결국은 자신의 정체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사는 그런 내용이다.
책을 읽기 전 나는 동성애자에 관하여 약간은 부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아마 이건 대부분의 사람들도 비슷할거라 생각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동성애자를 좋은 시선으로 보지 않는다. 만약에 지금 우리반에 동성애자가 있다고 가정하면 어떻게 될까? 당연히 그 아이는 왕따를 당하면 놀림 받으면서 괴롭힐 당할 것이다. 단지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말이다. 나는 동성애자들을 혐오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들의 인격을 무시하며 차별하는건 부당하다는 생각이 읽는 도중에 들었다. 하지만 책을 읽고 난 후에 내 생각은 바뀌었다. 책 내용중에서 주인공의 친구인 상요는 자살을 하는데 이 아이는 동성애자였다. 이 인물의 비극적인 죽음보다 더 안타까웠던건 이 소설의 사회적 상황이나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적 상황이나 다를게 없다는 것이었다. 동성애자들은 단순한 한 순간의 욕구가 아닌 사랑하는 ‘성’이 다를뿐 그들도 똑같은 사랑응ㄹ 한다. 하지만 그들은 동성을 사랑하는 이유로 사회에서 당당하지 못하고 숨어서 지내야만 한다. 혹시라도 그런 사실이 알려지면 그들은 사회에서 무시당하고 버려진다. 이들이 단지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이런 대우를 받는건 정당하지 않고 분명히 잘못
추천자료
역학분야오개념
[청소년 문제] 청소년 동성애자의 정의, 원인, 이론적 접근, 현황, 특징, 사회적 문제 및 대...
[사회복지]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현황과 정책
한국의 조기유학에 대한 모든것(최신통합 27페이지)
의사소통중심교육 수업자료(지도자료), 예절교육 수업자료(지도자료), 의생활교육 수업자료(...
[학교 성교육][학교 성교육 모둠활동][학교 성교육 활성화 방안]학교 성교육 의의, 학교 성교...
남녀혼성학급 VS 동성학급
대인관계능력 증진 프로그램
[그림자 탐구활동, 그림자놀이, 탐구활동]그림자 탐구활동의 목적, 그림자 탐구활동의 자료, ...
[현대문화론] <축제 인류학>을 읽은 후 나의 과거와 미래의 축제를 생각한다.
[진로탐색]진로탐색(직업탐색)의 개념, 중요성, 진로탐색(직업탐색)의 방법, 진로탐색(직업탐...
청소년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성사랑사회 E형] 여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억압적인만큼, 남성을 여성보다 우월한 존재로 여...
[사회문제론 A형] 한국 교육의 현재 문제점은 무엇이며 왜 사회문제로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