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성인발달의 이론
I. 굴드의 이론
II. 레빈슨의 이론
1. 남성에 관한 연구
2. 여성에 관한 연구
III. 베이런트의 이론
IV. SOC이론 혹은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최적화 이론
1. 선택
2. 최적화
3. 보상
* 참고문헌
I. 굴드의 이론
II. 레빈슨의 이론
1. 남성에 관한 연구
2. 여성에 관한 연구
III. 베이런트의 이론
IV. SOC이론 혹은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최적화 이론
1. 선택
2. 최적화
3. 보상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그들의 직업세계를 공고하게 하는 작업에 몰두하였다. 그들은 청소년기의 이상보다는 직업세계에서의 성공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바람직한 역할모델이나 후견인을 찾을 수 있었다.
그들은 직업세계에서 열심히 노력한 결과로 40세(j:10년)경에 이르면 자신의 내적 탐색에 몰입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었다. 성인중기 동안 그들은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고 직업적으로 성공하며 행복한 결혼생활과 풍부한 우정을 즐길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는 위기의 시기가 아니라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기라고 베이런트는 주장하였다.
요약하면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확인하려고 했던 베이런트는 굴드나 레빈슨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연령단계를 연구하였다. 성인초기는 친근감 확립과 직업 공고화의 시기이다. 그러나 40세경에 이르면 변화의 욕구가 나타나고 50세경에 이르러서는 내면적으로 가벼운 후회의 느낌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평온함을 얻고 안정된 생활을 확립할 수 있다. 물론 변화의 시기는 개인에 따라 10년 정도 일찍 혹은 더 늦게 경험될 수도 있다.
그림. 발달궤도의 다양성
IV. SOC 이론 혹은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최적화 이론
독일의 발테스(Baltes & Baltes 1990)에 의해 제안 된 이 이론은 사람들이 개인적 발달과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삶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역점두어 다룬다. 전생애 발달심리학자인 발테스에 의하면, 전생애 동안발달은 성장과 유지 그리고 상실의 역동적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
위의 그림은 상이한 발달궤도를 그리는 몇 가지 가설적 발달과정을 보여 준다. 노화에 의한 생물학적 자원들의 감소와 활용 가능한 사회적 자원들의 효율성 감소 및 노인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의 부족이 현저할 때 발달적 감퇴가 불가피하므로 계속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 SOC 이론 혹은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최적화(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이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SOC이론(SOC 전략이라고도 불린다)은 선택(Selection: S), 최적화(Optimization: O) 보상(Compensation: C)을 의미하는 영어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붙여진 명칭이다. 노화심리학(Psychology of aging)과 전생애 심리학(life-span psychology) 내에서 발달된 이 이론은 성공적 발달 혹은 적응적 발달을 설명하는 일반이론으로 획득의 최대화와 상실의 최소화를 적응적 발달로 가정하고 이를 위해 선택, 최적화 그리고 보상의 발달적 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여기서 발달적 조절이란 실제적 발달을 이루려고 하는 개인의 노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맥락에 심리적으로 적응하려는 개인의 시도, 양자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선택, 최적화, 보상을 차례로 설명한다.
1) 선택
선택이란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의 위계를 구성하며 설정한 목표에 어느 정도로 헌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의도적 선택(elective selection)과 상실에 기초한 선택(loss-based selec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는 순수하게 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것이라면, 후자는 목표관련적 수단을 상실할 때 이루어지는 선택으로 개인의 목표체계를 재구성하는 것을 수반한다.
우리의 삶에는 항상 내적 혹은 외적 자원들의 제한이나 구속이 있을 뿐 아니라 개인적 능력과 스태미나, 시간, 돈, 사회적 지지 등에서 제한을 받기 때문에 우리는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선택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우리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때는 목표는 재조정되어야 한다. 그 예로서 축구 선수가 되기를 원하였지만, 발목관절의 부상으로 더 이상 축구를 할 수 없을 때 학업에 전념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2) 최적화
최적화란 선택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목표관련 수단이나 자원을 획득하고 통합하고 그리고 적용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개인이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목표관련적 기술을 획득하고 훈련하며 계속해서 목표를 추구할 수 있는 인내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개인의 목표 달성은 목표의 종류와 개인적 특성(연령, 성격 등) 및 기회구조와 같은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받는다.
3) 보상
보상이란 목표관련적 수단에서 상실이나 감퇴가 일어나 개인의 기능수준을 위협할 때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가적 자원이나 수단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자원들의 변화와환경조건의 특성 때문에 목표달성이 어려워져서 새로운 수단이 요구될 때 혹은 생물학적 노화의 결과로 다양한 수단들이 상실될 때 보상이 활성화된다.
발달은 항상 성장과 감퇴 혹은 상실이나 실패 양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SOC이론은 보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감퇴와 상실에 직면하여 개인의 기능수준을 어떻게 유지하는지를 역점 두어 다룬다. 보상의 예는 수단을 대치하거나 외부적 도움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보상적 노력이 실패할 때는 목표-위계를 재조정하거나 개인의 표준을 낮추기 혹은 새로운 목표를 찾기 등 여러 가지 방안이 동원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생관리전략(life-management strategy)이라고도 불리는 SOC 이론 혹은 보상을 수반하는 선택적인 최적화 이론은 선택, 최적화, 보상의 발달적 조절을 통하여 살을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 증거로서 SOC 전략을 사용한다고 보고한 개인들이 성공적 노화의 주관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고 더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므로(Freund & Baltes, 1998, 2002) SOC 전략은 성공적 노화의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그들은 직업세계에서 열심히 노력한 결과로 40세(j:10년)경에 이르면 자신의 내적 탐색에 몰입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었다. 성인중기 동안 그들은 풍요로운 삶을 누릴 수 있고 직업적으로 성공하며 행복한 결혼생활과 풍부한 우정을 즐길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는 위기의 시기가 아니라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기라고 베이런트는 주장하였다.
요약하면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를 확인하려고 했던 베이런트는 굴드나 레빈슨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연령단계를 연구하였다. 성인초기는 친근감 확립과 직업 공고화의 시기이다. 그러나 40세경에 이르면 변화의 욕구가 나타나고 50세경에 이르러서는 내면적으로 가벼운 후회의 느낌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평온함을 얻고 안정된 생활을 확립할 수 있다. 물론 변화의 시기는 개인에 따라 10년 정도 일찍 혹은 더 늦게 경험될 수도 있다.
그림. 발달궤도의 다양성
IV. SOC 이론 혹은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최적화 이론
독일의 발테스(Baltes & Baltes 1990)에 의해 제안 된 이 이론은 사람들이 개인적 발달과 안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삶을 어떻게 관리하는지를 역점두어 다룬다. 전생애 발달심리학자인 발테스에 의하면, 전생애 동안발달은 성장과 유지 그리고 상실의 역동적 상호작용으로 구성된다.
위의 그림은 상이한 발달궤도를 그리는 몇 가지 가설적 발달과정을 보여 준다. 노화에 의한 생물학적 자원들의 감소와 활용 가능한 사회적 자원들의 효율성 감소 및 노인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의 부족이 현저할 때 발달적 감퇴가 불가피하므로 계속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 SOC 이론 혹은 보상을 수반한 선택적 최적화(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이론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SOC이론(SOC 전략이라고도 불린다)은 선택(Selection: S), 최적화(Optimization: O) 보상(Compensation: C)을 의미하는 영어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붙여진 명칭이다. 노화심리학(Psychology of aging)과 전생애 심리학(life-span psychology) 내에서 발달된 이 이론은 성공적 발달 혹은 적응적 발달을 설명하는 일반이론으로 획득의 최대화와 상실의 최소화를 적응적 발달로 가정하고 이를 위해 선택, 최적화 그리고 보상의 발달적 조절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여기서 발달적 조절이란 실제적 발달을 이루려고 하는 개인의 노력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맥락에 심리적으로 적응하려는 개인의 시도, 양자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선택, 최적화, 보상을 차례로 설명한다.
1) 선택
선택이란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의 위계를 구성하며 설정한 목표에 어느 정도로 헌신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의도적 선택(elective selection)과 상실에 기초한 선택(loss-based selection)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는 순수하게 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 것이라면, 후자는 목표관련적 수단을 상실할 때 이루어지는 선택으로 개인의 목표체계를 재구성하는 것을 수반한다.
우리의 삶에는 항상 내적 혹은 외적 자원들의 제한이나 구속이 있을 뿐 아니라 개인적 능력과 스태미나, 시간, 돈, 사회적 지지 등에서 제한을 받기 때문에 우리는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선택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우리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때는 목표는 재조정되어야 한다. 그 예로서 축구 선수가 되기를 원하였지만, 발목관절의 부상으로 더 이상 축구를 할 수 없을 때 학업에 전념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2) 최적화
최적화란 선택한 목표를 수행하기 위하여 목표관련 수단이나 자원을 획득하고 통합하고 그리고 적용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개인이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목표관련적 기술을 획득하고 훈련하며 계속해서 목표를 추구할 수 있는 인내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개인의 목표 달성은 목표의 종류와 개인적 특성(연령, 성격 등) 및 기회구조와 같은 사회문화적 맥락의 영향을 받는다.
3) 보상
보상이란 목표관련적 수단에서 상실이나 감퇴가 일어나 개인의 기능수준을 위협할 때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부가적 자원이나 수단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자원들의 변화와환경조건의 특성 때문에 목표달성이 어려워져서 새로운 수단이 요구될 때 혹은 생물학적 노화의 결과로 다양한 수단들이 상실될 때 보상이 활성화된다.
발달은 항상 성장과 감퇴 혹은 상실이나 실패 양자를 포함하기 때문에 SOC이론은 보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감퇴와 상실에 직면하여 개인의 기능수준을 어떻게 유지하는지를 역점 두어 다룬다. 보상의 예는 수단을 대치하거나 외부적 도움을 사용하는 것이지만, 보상적 노력이 실패할 때는 목표-위계를 재조정하거나 개인의 표준을 낮추기 혹은 새로운 목표를 찾기 등 여러 가지 방안이 동원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인생관리전략(life-management strategy)이라고도 불리는 SOC 이론 혹은 보상을 수반하는 선택적인 최적화 이론은 선택, 최적화, 보상의 발달적 조절을 통하여 살을 성공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 증거로서 SOC 전략을 사용한다고 보고한 개인들이 성공적 노화의 주관적 지표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고 더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므로(Freund & Baltes, 1998, 2002) SOC 전략은 성공적 노화의 지표로 활용되기도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여행상품의 개념] 여행상품의 정의, 특성, 구성요소, 구분, 해외여행상품의 속성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노인보건] 노인보건의 개념과 특성(노인보건의 정의와 중요성, 신체적 노화현상, 치매), 노...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집단의 정의] 집단의 개념과 유형 집단의 특성 집단의 형성과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