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히 참여하고 있다. 지금은 모든 일에 있어 자신감이 생겨 부대에서도 인정하는 직업군인상을 확립하여 부대장으로부터 표창을 수상하고 집에서는 헌신적인 가장으로서 아내와 자식들에게 사랑과 은총을 받는 아빠가 되었다. 그로 인하여 아내, 두 자녀가 지금은 하나님의 은혜에 감사하며 가족 모두가 주일을 기다리며 행복하게 하루하루를 충실하게 살아가고 있다. 끝으로 사회복지실천의 궁극적인 가치는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는 데 있으며,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삶에 개입하면서 클라이언트에게보다 나은 삶을 살아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가 받는 목적 외에도 서비스를 받을 것인지, 말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의 권리이자 중대 관심사다. 그러므로 이 문제는 사회복지사에게도 중요한 전문적 관심이다. 사회복지사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문제에 대해 결정할 권리를 갖는다고 믿으며 동시에 클라이언트의 권리와 욕구를 성취를 극대화하도록 도와야 하는 전문적인 의무를 지닌다. 사회복지사의 갈등은 사회에 대한 책임과 클라이언트에게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책임이 서로 조화되기 어려운 경우에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특히,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이 사회의 이익과 상반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선택하는 행동이 사회 규범에 위배될 때 클라이언트의 선택의 자유를 극대화시켜 줄 수 없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가 여러 가지 시설을 이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혼자서 사생아를 키우겠다고 고집하거나, 복지 사업에만 전적으로 의존하겠다고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자기 결정 개념에 따라 클라이언트 스스로 행동을 선택하였으나, 그 선택이 클라이언트에게 부정적 결과를 가져온다면, 문제는 더 커질 수 있다. 이런 경우의 갈등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와 사회의 이익에 모두 전문적 관심을 갖고 있으나 그 중 하나만 받아들여야하기 때문에 나오는 양자 간의 갈등이 아니라 오히려 클라이언트의 자기 결정과 그의 복지 사이의 갈등이다. Felix P. Biestek는 사회복지사의 갈등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고, 그 입장을 사회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책임과 연결시켰는데, 즉 "사회복지사는 인간의 자유에 대한 믿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에 대한 책임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자기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롭거나 해로울 수 있는 결정을 내리지 않도록 보호해 주어야한다."고 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제중심모델의 등장배경, 주요개념, 모델 개념, 특징 및 사례
[사회복지실천]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 사례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래마 해결 방안, 사회복지 실천의 사례 분석, 윤리적 갈등, 윤리적 결...
매슬로우가 말한 욕구 5단계를 정리하고 매슬로우의 욕구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용하였을 ...
사회복지 윤리적 갈등
프리드랜드의 사회복지기본가치는 인간존엄성, 자기결정, 평등 및 기회균등, 사회적 연대로 ...
1. 윤리적 딜레마에 대하여 논하시오, 2. 사정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다음 ...
매슬로우가 말한 욕구 5단계를 정리하시오 그리고 매슬로우의 욕구이론을 사회복지실천에 적...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 해결 방안, 사례 분석, 윤리적 갈등, 사회복지...
[사회복지] 윤리적 갈등상황의 원인과 사례
안락사 [安樂死 / euthanasia] 반대 측 주장 : 안락사를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 (용어 설명, ...
안락사 [安樂死 /Euthanasia] 안락사의 정의,안락사의 분류,대법원의 판례,타국의 입법례,안...
미성년자의 성범죄 건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미성년자는 범죄에 대해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