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CASE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알츠하이머CAS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 p.3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의의
4. 연구방법

Ⅱ. 본론 ---------------- p.8
1. 간호정보조사지
2. 일상생활동작 능력(ADL; Barthel Index)
3. 낙상위험도 평가도구(MFS)
4. MMSE-K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5. 현재투약내용
6. 간호과정

Ⅲ. 결론 ---------------- p.17

Ⅳ. 참고문헌/참고사이트 ------ p.17

본문내용

호계획

이론적근거
1. 대상자의 목욕, 개인위생, 옷입기 수행을 매일 모니터한다.
- 대상자의 수행능력 향상 정도를 평가해서 대상자의 기능 수준 변화를 알 수 있다.
2. 대상자에게 목욕, 옷입기, 위생기술을 교육하고, 시범을 보여준다.
-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수행에 도움을 준다.
3. 매일 목욕, 위생활동, 옷입기를 수행하게 하고 어려움이 있을 때만 대상자를 돕는다.
- 반복적인 행동을 통해 자가 간호의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수행에 대한 독립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4. 일상생활을 계획하여 일관된 생활을 하도록 하고, 일을 완료하기까지의 시간을 충분히 제공한다.
일상생활 패턴을 정하여 반복적으로 되풀이함으로써 자가간호를 수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
5. 대상자가 수행한 모든 활동에 긍정적 강화를 제공한다.
-긍정적 강화는 지속적인 노력을 촉진시킨다.
수행
1. 대상자가 목욕과 위생활동, 옷입기를 수행 하는지 매일 모니터했다.
2. 대상자에게 목욕과 위생기술, 옷입기를 교육하고, 감독 하에 이를 시범해 보였다.
3. 매일 목욕과 위생활동, 옷입기를 수행하게 하고 어려움이 있을 때만 대상자를 도왔다.
4. 목욕과 위생활동, 옷입기를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였다.
5. 대상자가 수행한 모든 활동에 긍정적 강화를 제공했다.
평가
대상자는 도움을 요청하는 횟수가 줄었다.
대상자는 개인위생을 의존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대상자는 옷 입고 벋기를 의존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3.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4. 신체적 부동으로 인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자 료
수 집
주관적 자료
-“침대 올려줘.”라고 하심.
객관적 자료
-대상자는 82세로 고령이다.
-신체적 부동 상태로 대부분 침상에서 지내고, 휠체어에 앉아있다.
-대상자는 침상을 올리는 것을 반복하며 기계적 요인이 발생한다.
(응전력, 압력, 저항)
간호진단
#4. 신체적 부동으로 인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간호목표
단기: 대상자는 침대를 올리지 않는다.
장기: 대상자는 퇴원 일까지 대상자의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사정한다. 뼈가 돌출되는 부위의 피부를 특히 잘 관찰하도록 한다. (예: 천골, 전자, 견갑골, 팔꿈치, 발뒤꿈치, 복사뼈 안쪽과 바깥쪽, 무릎 안쪽과 바깥쪽, 머리 뒤쪽)
압력에 대한 감각이 있는지 사정한다.
습기를 유발하는 환경적 요소를 사정한다. (예: 상처배액, 높은 습도)
대상자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곳의 피부와 닿는 표면(예: 외상 대상자를 위한 매트리스, 휠체어 타는 사람들을 위한 쿠션)을 사정한다.
대상자나 돌봄 제공자가 침상머리를 반복적으로 올리지 않도록 교육한다.
수행
피부상태 관찰하는 것을 관찰함.
압력에 대한 감각이 있는지 사정함.
“느낌이 나.”라고 하심.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침상에 계시는 모습을 관찰함.
에어 매트리스를 사용하진 않으심. 휠체어에 에어쿠션 사용하심.
어르신께서 침상머리를 올릴 때마다 요양보호사 선생님께서 “어르신 침대 머리 올리지 마세요.”라고 하시는 것 관찰함.
이론적 근거
건강한 피부는 피부가 팽팽하고(피부의 수분 함량 정도: 탄력적이고 촉촉함을 나타냄), 만졌을 때 따뜻하고 건조하며, 피부손상(긁힌 자국, 멍, 찰과상, 발진)이 없고, 모세혈관 재충전 시간이 6초 이내이어야 한다. 나이든 대상자의 피부는 탄력이 줄어들고, 피부가 덜 촉촉하며, 표피가 얇아지기 때문에 피부손상 고위험군에 속한다. 뼈 돌출 부위의 욕창이 발생하기 쉬운데, 이는 표면이 단단한 부분(예: 매트리스, 의자, 테이블)과 뼈가 접촉하면서 피부 모세혈관이 압박받아, 국소적 빈혈이 초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피부색이 밝은 사람에게서는 압력을 받은 부위의 피부가 초기에는 붉은 상태로 나타난다. 피부색이 어두운 경우 붉은 색이나 푸른색 또는 보라색을 띠는 반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람들은 압력을 받는 부위에 체중을 싣지 않으려 자주 자세를 바꾼다, 이는 대부분 무의식적인 행동으로 수면 시에도 나타나는 반응이다. 감각이 저하된 대상자는 불편한 자극을 잘 느끼지 못하므로 자세를 바꾸지 않는다. 그 결과 피부 모세혈관이 지속적으로 압력을 받게 되고, 그 부위에 국소적 피부 빈혈이 초래된다.
습기는 피부손상의 위험요인이다.
대부분의 시간을 한 곳에서만 보내는 대상자는 특히 압력을 좀 더 고르게 분산시키고, 피부 손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압력을 완화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대상자의 침상머리를 높이면 대상자가 천골 쪽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응전력이 발생한다.
평가
대상자는 침상머리를 올리고 싶어하지만 내린상태로 유지한다.
현재 대상자의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Ⅲ. 결론
1) 결론 및 제언
대상자는 세의 으로 dementia, HTN, depressive disorder을 진단 하에 본원 입원하였다. 의사소통 단절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신체적인 움직임 장애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성, 신체적 부동으로 인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을 중심으로 간호중재를 받았다. 그 결과 대상자는 집단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보이지만 누군가의 도움 없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없다. 학생간호사와 함께 집단 프로그램에 주 2회 참여했다. 여전히 대상자는 타인과의 접촉을 원하고 있으며 외로움을 표현한다. 대상자는 도움을 요청하는 횟수가 줄었다. 대상자는 개인위생을 의존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대상자는 옷 입고 벗기를 의존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대상자는 도움이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였다. 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대상자는 침상머리를 올리고 싶어 하지만 내린 상태로 유지한다. 현재 대상자의 피부는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Ⅳ. 참고문헌/참고사이트
김조자 외(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p438-510
송경애 외(2015), 최신기본간호학(상), 수문사, p253-27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690&mobile&cid=51007&categoryId=51007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8.05.05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41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