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1. 다국적기업과 글로벌기업의 정의
2. 공통점 및 차이점
Ⅱ. 사례
1. 다국적기업의 사례
1) 월마트
2. 글로벌기업의 사례
1) 자라(ZARA)
Ⅲ. 두 기업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1. 결정요인과 시사점
Ⅳ. 참고문헌
1. 다국적기업과 글로벌기업의 정의
2. 공통점 및 차이점
Ⅱ. 사례
1. 다국적기업의 사례
1) 월마트
2. 글로벌기업의 사례
1) 자라(ZARA)
Ⅲ. 두 기업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1. 결정요인과 시사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파견된 매니저들에 의해 수행된다. 이들의 목표는 두 가지로, (1) 매장을 안정적으로 오픈하고 운영하는 것, (2) 향후 지역 매장의 지속적 확장을 위하여 운영과 책임을 도맡을 지역의 매니저들을 발굴하고 견고한 매니저 팀을 구성하였다.
B) 진출방향
- Zara가 1988년 Tokyo에 첫 매장을 오픈한 이후, Inditex는 300개 이상의 매장을 아시아의 주요 도시, 쇼핑몰, 번화가에 입점 시키며 성장해왔다. 주요 경쟁 업체들과 비교할 때 Zara는 적시에 아시아에서의 사업 확장에 매진하여 시장을 선점하였고, 자체적으로 시장성을 확인한 Inditex 보유의 여타 브랜드들을 연이어 진출시키는 등, 효과적인 포지셔닝을 이루어냈다.
Zara가 국내에 처음 소개된 2008년 이후, 국내 패션 업계의 매출 성장은 4.7%에 머무른데 반해, 글로벌 패스트 패션 브랜드인 Uniqlo, Zara, H&M 3사의 매출 성 장은 77%에 달했으며 이에 거대 자본과 유통 구조, 생산 라인까지 겸비한 국내 패션 대기업들은 적극적인 벤치마킹을 통해 패스트 패션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다
< 빅3 글로벌SPA, 얼마나 벌었어? - 글로벌 패션비즈니스 전문매거진
그림3 자라ZARA 매출추이 >
< 글로벌 SPA패션 강자 스웨덴 H&M 직원들 - 동아신문
그림4 세계 SPA 업체 매출 순위 >
Ⅲ
두 기업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1. 결정요인과 시사점
기업들의 주된 글로벌 활동이 무역에서 해외직접투자(FDI)로 바뀌게 되었다.
완제품이 국경을 넘는 무역과 달리 해외직접투자를 통해서는 생산요소 그리고 노하우가 국경을 넘어 현지에서 생산과 판매가 이뤄진다. 이는 기업 활동이 현지에서 이뤄지는 만큼 현지화(localization)가 글로벌 경영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다.
해외직접투자의 활성화는 기업들의 글로벌 경영을 근본적으로 바꿔 놓았으며 그 결과 다국적 기업이라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기업들이 등장했다.
특히 해외직접투자의 역할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으며 해외직접투자가 개도국이나 후진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시각과 함께, 해외직접투자를 제국주의와 식민지 개척의 새로운 형태로 폄하하는 시각이 공존했다.
하지만 이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는 꾸준히 늘었고, 이와 더불어 다국적 기업도 계속 생겨났다. 예시로 P&G 회사나 GE, 필립스 등 여러 다국적 및 글로벌 기업의 복합 형태인 국제적 기업들이 대량 늘어났으며 이들은 핵심자산은 본사에 집중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자산은 해외에 분산 배치하여 핵심역량을 활용하여 사업을 전개하고는 하였다.
그러나 다국적 기업들은 국제 경영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글로벌 효율성이나 현지 적응력, 범세계적 학습 능력을 모두 갖추기 어렵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저자들은 새로운 다국적 기업의 형태로 제4의 모델인 ‘초국적(transnational) 기업’이 나타나게 되었다.
초국적 기업은 본사와 해외 자회사의 관계도 종속적이지도 독립적이지도 않고, 상호의존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비전을 공유한 거대한 글로벌 네트워크 하에서 본사와 해외 자회사들이 동등한 위치에서 각자의 전문성을 통해 기여하는 셈이다.
현대의 기업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현지화 중심의 다국적 기업과 범세계화 표준화 중심인 글로벌 기업의 장점만을 합친 초국적기업이 향후 더욱 증대 될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 「초국적 기업, 글로벌화의 종착역」 - 동아비즈니스
● 월마트로 살펴보는 중국 대형마트 전략 변화 / 그림1 발췌 - KOTRA
● 할인점 점포 수 변화 / 그림2 발췌 - 신세계 백화점 통계
● 월마트의 재도전..‘미국스타일’ 버리고 ‘현지화’ 채택 - 이데일리 경제
● [이정재의 시시각각] 마트 전쟁의 끝 - 중앙일보 칼럼
● [BIZ] 월마트 까르푸, 왜 한국에서 실패했나 - 매경이코노미 경제
● 동아시아 기업의 글로벌화 (사례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 연세경영연구
● 자라ZARA의 마케팅 성공요인 - 개인 마케팅분석 블로그
● 패스트 패션의 비즈니스 전략(자라의 사례 연구) - 한국의류학회지
● Baigorri, 2009; Hansen, 2012 - Keeley & Clark, 2008
● ‘자라’에 대응하는 토종 볼륨브랜드(벤치마케팅이냐 차별화냐 그것이 문제)
- 패션CHANNEL
● 빅3 글로벌SPA, 얼마나 벌었어? - 글로벌 패션비즈니스 전문매거진
● 글로벌 SPA패션 강자 스웨덴 H&M 직원들 - 동아신문
B) 진출방향
- Zara가 1988년 Tokyo에 첫 매장을 오픈한 이후, Inditex는 300개 이상의 매장을 아시아의 주요 도시, 쇼핑몰, 번화가에 입점 시키며 성장해왔다. 주요 경쟁 업체들과 비교할 때 Zara는 적시에 아시아에서의 사업 확장에 매진하여 시장을 선점하였고, 자체적으로 시장성을 확인한 Inditex 보유의 여타 브랜드들을 연이어 진출시키는 등, 효과적인 포지셔닝을 이루어냈다.
Zara가 국내에 처음 소개된 2008년 이후, 국내 패션 업계의 매출 성장은 4.7%에 머무른데 반해, 글로벌 패스트 패션 브랜드인 Uniqlo, Zara, H&M 3사의 매출 성 장은 77%에 달했으며 이에 거대 자본과 유통 구조, 생산 라인까지 겸비한 국내 패션 대기업들은 적극적인 벤치마킹을 통해 패스트 패션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하였다
< 빅3 글로벌SPA, 얼마나 벌었어? - 글로벌 패션비즈니스 전문매거진
그림3 자라ZARA 매출추이 >
< 글로벌 SPA패션 강자 스웨덴 H&M 직원들 - 동아신문
그림4 세계 SPA 업체 매출 순위 >
Ⅲ
두 기업의 결정요인과 시사점
1. 결정요인과 시사점
기업들의 주된 글로벌 활동이 무역에서 해외직접투자(FDI)로 바뀌게 되었다.
완제품이 국경을 넘는 무역과 달리 해외직접투자를 통해서는 생산요소 그리고 노하우가 국경을 넘어 현지에서 생산과 판매가 이뤄진다. 이는 기업 활동이 현지에서 이뤄지는 만큼 현지화(localization)가 글로벌 경영의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다.
해외직접투자의 활성화는 기업들의 글로벌 경영을 근본적으로 바꿔 놓았으며 그 결과 다국적 기업이라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기업들이 등장했다.
특히 해외직접투자의 역할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으며 해외직접투자가 개도국이나 후진국의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시각과 함께, 해외직접투자를 제국주의와 식민지 개척의 새로운 형태로 폄하하는 시각이 공존했다.
하지만 이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는 꾸준히 늘었고, 이와 더불어 다국적 기업도 계속 생겨났다. 예시로 P&G 회사나 GE, 필립스 등 여러 다국적 및 글로벌 기업의 복합 형태인 국제적 기업들이 대량 늘어났으며 이들은 핵심자산은 본사에 집중하는 반면, 그렇지 않은 자산은 해외에 분산 배치하여 핵심역량을 활용하여 사업을 전개하고는 하였다.
그러나 다국적 기업들은 국제 경영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글로벌 효율성이나 현지 적응력, 범세계적 학습 능력을 모두 갖추기 어렵게 되었고 이에 따라 저자들은 새로운 다국적 기업의 형태로 제4의 모델인 ‘초국적(transnational) 기업’이 나타나게 되었다.
초국적 기업은 본사와 해외 자회사의 관계도 종속적이지도 독립적이지도 않고, 상호의존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비전을 공유한 거대한 글로벌 네트워크 하에서 본사와 해외 자회사들이 동등한 위치에서 각자의 전문성을 통해 기여하는 셈이다.
현대의 기업의 형태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현지화 중심의 다국적 기업과 범세계화 표준화 중심인 글로벌 기업의 장점만을 합친 초국적기업이 향후 더욱 증대 될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 「초국적 기업, 글로벌화의 종착역」 - 동아비즈니스
● 월마트로 살펴보는 중국 대형마트 전략 변화 / 그림1 발췌 - KOTRA
● 할인점 점포 수 변화 / 그림2 발췌 - 신세계 백화점 통계
● 월마트의 재도전..‘미국스타일’ 버리고 ‘현지화’ 채택 - 이데일리 경제
● [이정재의 시시각각] 마트 전쟁의 끝 - 중앙일보 칼럼
● [BIZ] 월마트 까르푸, 왜 한국에서 실패했나 - 매경이코노미 경제
● 동아시아 기업의 글로벌화 (사례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 - 연세경영연구
● 자라ZARA의 마케팅 성공요인 - 개인 마케팅분석 블로그
● 패스트 패션의 비즈니스 전략(자라의 사례 연구) - 한국의류학회지
● Baigorri, 2009; Hansen, 2012 - Keeley & Clark, 2008
● ‘자라’에 대응하는 토종 볼륨브랜드(벤치마케팅이냐 차별화냐 그것이 문제)
- 패션CHANNEL
● 빅3 글로벌SPA, 얼마나 벌었어? - 글로벌 패션비즈니스 전문매거진
● 글로벌 SPA패션 강자 스웨덴 H&M 직원들 - 동아신문
추천자료
(인적자원관리)ABB의 글로벌과 매트릭스조직에 대하여 (세계화 기업경영 글로벌기업
[국제경영학]글로벌기업 혼다의 경영전략 및 해외마케팅 분석
[국제경영]CSR의 개념과 국내 글로벌기업의 사례분석
글로벌경영_대구중소기업중 아프리카나 남미에 진출한 기업 사례연구
글로벌기업의 의의 및 출현배경과 영향, 글로벌기업 활동과 전망
(기업의 글로벌화) 기업글로벌화의 의미와 글로벌 기업의 동기
기아자동차 (KIA Motors) 기업분석, 글로벌기업으로 도약하기위한 개선점, 기아자동차 위기극...
글로벌기업 도약을 위한 롯데쇼핑의 마케팅전략 - 롯데쇼핑(롯데백화점,롯데마트) 기업분석.P...
[국제기업의 통제와 보고] 통제의 개념과 의의 & 통제과정과 통제방법 & 국제기업(글...
[국제기업경영환경] 국제기업(글로벌기업)의 환경특성 (국경선상의 환경특성, 현지국내의 환...
[국제화기업]글로벌전략성공기업사례,기업의현지화전략사례,TESCO 홈플러스,코스트코사례,월...
진로- 일본시장 진출,진로일본진출,글로벌기업 해외진출성공전략,소주일본진출,일본소주시장
[경영] J&J. 존슨앤존슨. 글로벌경영/기업 사례 및 진입방식, 전략
M & A Mergers and Acquisitions - 기업인수합병 (M&A) 개념분석과 글로벌기업들의 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