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협진과 CASE] ICH와 수두증이 발생한 환자 1례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서협진과 CASE] ICH와 수두증이 발생한 환자 1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증례
3. 양의학적 고찰
4. 한의학적 고찰

본문내용

경우 한의학적으로 病과 유사한 점이 많다. 病은 인체 생리적 기능이 저하되어 뇌로 영양공급이 저하된 상태에서 火, 痰, 瘀가 淸竅, 經絡의 정신기능을 손상시켜서 나타난다 정상압 수두증 환자 1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방울 외 6. 대한한방내과학회지. 제25권 2호(2004년 6월) : 314-319
.
본 환자는 가래가 들끓는 등의 痰이 성한 상태라 痰濁瘀閉症으로 보고 和痰息風, 宜鬱開竅하는 滌痰湯이나 蘇合香丸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가장 큰 문제점은 설사증으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으로 탈증의 상태가 더욱 급하므로 陰渴陽亡症으로 보고 回陽救陰, 益氣固脫하는 蔘附湯合生脈散 등의 처방으로 진액을 보충하고 음양을 보하는 방향으로 치료해야 할 것이다 한방 순환, 신경내과학.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2013 : 410
. 동일한 관점에서 침구치료도 임맥과 족삼음경의 교회혈이며 삼초의 원기가 나오는 곳이면서 眞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關元에 灸法을 사용하여 소모된 元陽을 회복시키고 임맥의 혈로 眞氣를 회복시키는 氣海와 神闕에 灸法을 사용하여 陽氣를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치료를 행해야 할 것이다 침구의학. 대한침구학회. 2012 : 684-700
.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8.05.25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56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