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연구의 의의
2-2 연구 방법
2-3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3. 결론 - 경험과 반성
2. 본론
2-1 연구의 의의
2-2 연구 방법
2-3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3. 결론 - 경험과 반성
본문내용
다.
- 우리 친구들 마라카스를 다르게 흔들어 볼 수는 없을까?
- 그럼 마라카스를 흔들어 보기도 하고 바닥에 쿵쿵 쳐보기도 해 볼 까요?(마라카스를 다양한 방법으로 흔들어 본다.)
동요에 맞추어 다시 마라카스를 흔들어 본다.
- 그럼 다시 한번 동요에 맞춰서 마라카스를 흔들어 볼까요?
- 다들 잘 했어요.
동요를 개사 해본다.
- 자 그럼 우리 각자 동생이 있다고 생각하고 별명을 지어볼까요?
- 선생님은 강아지, 고릴라, 흰둥이라고 지어 봤어요. 잘 들어 봐요.
(내 동생 곱슬머리 개구쟁이 내 동생 그 이름 하나인데 별명은 서너 개 아빠가 부를 때는 강아지 엄마가 부를 때는 고릴라 누나가 부를때는 흰둥이 (몰라 몰라 몰라 라) 어떤게 진짜인지 몰라 몰라 몰라)
- 별명을 한번 정했으면 어떤 별명을 지었는지 들어 볼까요?
- 그럼 이제 각자 정한 별명으로 노래를 불러 볼까요?
개사를 한 동요에 맞추어 마라카스를 흔들어본다.
- 자 그럼 이제 동요에 맞춰서 마라카스를 흔들어 볼까요?
-실제 사례 2-
주의 집중을 위해 손유희를 한다.(제목: 안녕)
- 반가워요 안녕 친구 안녕(양손을 흔든다.)
- 반가워요 친구 안~녕(양손을 흔든다.)
- 예쁜 손 어깨위에(박수 2번 친 후 어깨위에)
동화책 ‘우리는 친구’를 읽어준다.
- 우리 옆에 있는 친구들을 한번 볼까요?
- 우린 모두 친구들이죠? (동화책 표지를 가리키며)
- 이 고릴라는 어때요?
- 이 고양이는 어때요?
- 이 커다란 고릴라가 어떻게 이런 작은 고양이와 친구가 되었는지 한번 알아 볼 까요?
- 고릴라는 덩치가 크고 무서울 것 같았는데 예쁜이에게는 어땠나요?
- 고릴라와 예쁜이(고양이)는 겉모습이 달라도 친구가 되었죠?
- 여러분은 친구와 겉모습이 같아요? 아니면 다른가요? 어때요?
- 다른 점도 있고 같은 점도 있죠? 나하고 달라도 우린 모두 친구가 될 수 있을까요? 이 고릴라와 예쁜이 처럼요~
- 이제 우리 친구 얼굴을 보면서 재미있게 노래를 불러 볼까요?
교사가 ‘신기한 내 친구’ 노래를 피아노를 치며 한번 들려준다.
아이들과 다함께 노래를 부르며 활동을 한다.
1절:
- 우리 친구는요. 정말 신기해요.
[설명: 두리번거리며 친구들을 쳐다본다.]
- 눈은 동글~(똥글똥글!)
코도 동글~(똥글똥글!)
입도 동글~(똥글똥글!)
[설명: 엄지와 검지를 동그랗게 말아서 눈앞, 코앞, 입에 대고 왔다 갔다 한다.]
- 얼굴도 동~글~
[설명: 주먹을 쥔 양손을 뺨에 갖다 댄다.]
- 정~. 말~. 신기해요~~~
- 우와 우와 나랑 달라.
[설명: 신기한 표정을 지으면서 노래를 부른다.]
2절:
- 우리 친구는요. 정말 신기해요.
[설명: 찬찬히 친구들을 살펴본다.]
- 하얀 얼굴~ 까만 얼굴~ 키 큰 친구~ 작은 키 친구도
[얼굴이 하얀 친구, 까만 친구, 키가 크고 작은 친구를 찾아본다.]
- 우와 우와 신기해요~~~
- 우와 우와 나랑 달라.
[설명: 재미있게 노래를 부른다.]
3절:
- 우리 친구는요. 정말 신기해요.
[설명: 친구들을 웃으면서 바라본다.]
- 사랑하는 내 친구 OO
- 사랑하는 내 친구 OO도
[설명: 친구 이름을 넣어서 불러본다.]
- 우와 우와 나랑 달라~
- 우와 우와 나는 참 좋아요~~~
- 우와 우와 우리는 달라도 친~구~
[설명: 친구들과 손을 잡고 포옹을 하는 등 신체 접촉을 한다.]
- 예쁜 내 친구야.
[설명: 친구를 바라보며 말하듯이 노래를 부른다.]
노래가 끝나고 나면 짝을 지어서 거울놀이를 한다.
- 여러분, 노래 어땠나요? 그럼 이제 아까 해봤던 거울놀이를 해볼까요?
- 거울 모자를 쓰고 ‘말하는 거울’이 되어보고 바꿔서 해보기도 한다.
- 거울이 된 아이는 친구의 얼굴, 키, 옷, 손, 머리카락, 목소리에 대해보고, 듣고, 만져본다.
동화책을 다 들려준 후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
- 선생님이 읽어준 동화책 어땠어요?
성인이 유아에게 알려주는 지식 및 경험보다 또래 간에 공유한 것들을 유아는 더 빠르게 흡수하는 것을 보았을 때 논문의 내용처럼 성인의 관점에서 유아를 가르치는 음악교수 보다 유아들의 관저에서 이루어지는 또래 간 음악 교수가 유아의 발달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 되었다. 하지만 일부 소수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기간의 경험이었기에 충분한 공간 제공, 다양한 자료 구비 등 철저하게 환경을 구성하고 다양한 성별과 연령대의 유아를 대상으로 악기 만들기, 악기 표현하기 등 다양한 교육을 시도해볼 계획이다.
- 우리 친구들 마라카스를 다르게 흔들어 볼 수는 없을까?
- 그럼 마라카스를 흔들어 보기도 하고 바닥에 쿵쿵 쳐보기도 해 볼 까요?(마라카스를 다양한 방법으로 흔들어 본다.)
동요에 맞추어 다시 마라카스를 흔들어 본다.
- 그럼 다시 한번 동요에 맞춰서 마라카스를 흔들어 볼까요?
- 다들 잘 했어요.
동요를 개사 해본다.
- 자 그럼 우리 각자 동생이 있다고 생각하고 별명을 지어볼까요?
- 선생님은 강아지, 고릴라, 흰둥이라고 지어 봤어요. 잘 들어 봐요.
(내 동생 곱슬머리 개구쟁이 내 동생 그 이름 하나인데 별명은 서너 개 아빠가 부를 때는 강아지 엄마가 부를 때는 고릴라 누나가 부를때는 흰둥이 (몰라 몰라 몰라 라) 어떤게 진짜인지 몰라 몰라 몰라)
- 별명을 한번 정했으면 어떤 별명을 지었는지 들어 볼까요?
- 그럼 이제 각자 정한 별명으로 노래를 불러 볼까요?
개사를 한 동요에 맞추어 마라카스를 흔들어본다.
- 자 그럼 이제 동요에 맞춰서 마라카스를 흔들어 볼까요?
-실제 사례 2-
주의 집중을 위해 손유희를 한다.(제목: 안녕)
- 반가워요 안녕 친구 안녕(양손을 흔든다.)
- 반가워요 친구 안~녕(양손을 흔든다.)
- 예쁜 손 어깨위에(박수 2번 친 후 어깨위에)
동화책 ‘우리는 친구’를 읽어준다.
- 우리 옆에 있는 친구들을 한번 볼까요?
- 우린 모두 친구들이죠? (동화책 표지를 가리키며)
- 이 고릴라는 어때요?
- 이 고양이는 어때요?
- 이 커다란 고릴라가 어떻게 이런 작은 고양이와 친구가 되었는지 한번 알아 볼 까요?
- 고릴라는 덩치가 크고 무서울 것 같았는데 예쁜이에게는 어땠나요?
- 고릴라와 예쁜이(고양이)는 겉모습이 달라도 친구가 되었죠?
- 여러분은 친구와 겉모습이 같아요? 아니면 다른가요? 어때요?
- 다른 점도 있고 같은 점도 있죠? 나하고 달라도 우린 모두 친구가 될 수 있을까요? 이 고릴라와 예쁜이 처럼요~
- 이제 우리 친구 얼굴을 보면서 재미있게 노래를 불러 볼까요?
교사가 ‘신기한 내 친구’ 노래를 피아노를 치며 한번 들려준다.
아이들과 다함께 노래를 부르며 활동을 한다.
1절:
- 우리 친구는요. 정말 신기해요.
[설명: 두리번거리며 친구들을 쳐다본다.]
- 눈은 동글~(똥글똥글!)
코도 동글~(똥글똥글!)
입도 동글~(똥글똥글!)
[설명: 엄지와 검지를 동그랗게 말아서 눈앞, 코앞, 입에 대고 왔다 갔다 한다.]
- 얼굴도 동~글~
[설명: 주먹을 쥔 양손을 뺨에 갖다 댄다.]
- 정~. 말~. 신기해요~~~
- 우와 우와 나랑 달라.
[설명: 신기한 표정을 지으면서 노래를 부른다.]
2절:
- 우리 친구는요. 정말 신기해요.
[설명: 찬찬히 친구들을 살펴본다.]
- 하얀 얼굴~ 까만 얼굴~ 키 큰 친구~ 작은 키 친구도
[얼굴이 하얀 친구, 까만 친구, 키가 크고 작은 친구를 찾아본다.]
- 우와 우와 신기해요~~~
- 우와 우와 나랑 달라.
[설명: 재미있게 노래를 부른다.]
3절:
- 우리 친구는요. 정말 신기해요.
[설명: 친구들을 웃으면서 바라본다.]
- 사랑하는 내 친구 OO
- 사랑하는 내 친구 OO도
[설명: 친구 이름을 넣어서 불러본다.]
- 우와 우와 나랑 달라~
- 우와 우와 나는 참 좋아요~~~
- 우와 우와 우리는 달라도 친~구~
[설명: 친구들과 손을 잡고 포옹을 하는 등 신체 접촉을 한다.]
- 예쁜 내 친구야.
[설명: 친구를 바라보며 말하듯이 노래를 부른다.]
노래가 끝나고 나면 짝을 지어서 거울놀이를 한다.
- 여러분, 노래 어땠나요? 그럼 이제 아까 해봤던 거울놀이를 해볼까요?
- 거울 모자를 쓰고 ‘말하는 거울’이 되어보고 바꿔서 해보기도 한다.
- 거울이 된 아이는 친구의 얼굴, 키, 옷, 손, 머리카락, 목소리에 대해보고, 듣고, 만져본다.
동화책을 다 들려준 후 이야기를 나누어 본다.
- 선생님이 읽어준 동화책 어땠어요?
성인이 유아에게 알려주는 지식 및 경험보다 또래 간에 공유한 것들을 유아는 더 빠르게 흡수하는 것을 보았을 때 논문의 내용처럼 성인의 관점에서 유아를 가르치는 음악교수 보다 유아들의 관저에서 이루어지는 또래 간 음악 교수가 유아의 발달에 더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 되었다. 하지만 일부 소수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기간의 경험이었기에 충분한 공간 제공, 다양한 자료 구비 등 철저하게 환경을 구성하고 다양한 성별과 연령대의 유아를 대상으로 악기 만들기, 악기 표현하기 등 다양한 교육을 시도해볼 계획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유선택활동 유아 관찰 일화기록
5세) 올데이 수업 계획안 (일일수업계획안) - 여름 : 자연을 아끼고 보호해야겠어요
유아 수과학 교육, 게임 활동 모의수업 활동계획안
보육실습일지
만 3세, 4세,5세 운영계획안
[언어지도] 자유선택 활동을 통한 언어교육 - 언어 영역, 극놀이 영역, 미술 영역, 수과학 영...
<어린이집 보육일지> 만 2,3세 혼합반 - 주제 : 많이 컸어요, 형님이 되었어요 / 소주제 : 형...
<어린이집 보육일지> 만 2,3세 혼합반 - 주제 : 많이 컸어요, 형님이 되었어요 / 소주제 : 즐...
<어린이집 보육일지> 만 2,3세 혼합반 12월 3주 - 주제 : 교통기관 / 소주제 : 즐거운 교통생...
4,5세 7월 일지
[보육학개론] 유아를 위한 보육과정 계획과 유아를 위한 일과 운영
보육실습일지, 만4세 보육실습일지 1-4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