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험적 가족치료 모델

I. 주요 개념
1. 대화체계
2. 자존감
3. 개인의 성장

III. 치료목표 및 기법
1. 가족조각
2. 은유
3. 개인의 빙산
4. 원가족 삼인군 치료
5. 재정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l iceberg)방법을 활용하였다. 대부분의 치료 모델에서는 문제행동(1차)의 변화에 초점을 둔다. 그러나 이러한 1차 수준의 변화만으로는 개인 빙산의 '수면 아래'에서 경험되고 있는 감정이나 지각, 기대나 열망, 또는 자기(self)에 대한 경험은 다루지 못하는 오류를 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티어는 개인의 빙산 '수면 아래'를 탐색하여 부적응적인 내담자의 경험을 표면화하고 변형하도록 함으로써 2차(감정, 지각, 기대, 열망), 3차(자기(self)수준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
(4) 원가족 삼인군 치료
원가족 삼인군 치료(primary triad therapy)는 내담자가 원가족 삼인군(아버지, 어머니, 아동)에서 배운 역기능적 대처방법에 집착하지 않고 가족규칙과 부모의 규제에서 벗어나 개별성을 갖도록 돕는 것이다.
원가족 삼인군 치료의 과정은 스타의 원가족 도표 그리기 및 설명, 가족의 성격 특성, 대처유형, 관계양상 작성, 스타의 아버지, 어머니의 원가족 도표 작성, 스타 역할자를 선정, 가족조각을 통해 원가족을 치료, 스타와의 상호작용, 스타의 역할 벗기, 스타는 참여자와 경험을 나누기로 진행된다. 사티어는 치료대상을 내담자 또는 주요 대상자로 부르지 않고 스타(star)로 이름하였다.
(5) 재정의
재정의(reframing)는 부정적인 의미를 긍정적인 것으로 바꾸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법으로 행동, 감정, 사고에 내재한 긍정적 의미를 제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내담자의 문제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내담자가 긍정적인 측면에서 자신이나 상대방의 행위를 볼 수 있도록 의미를 재정의하는 것이다. 힘들고 어려운 상황 때문에 자포자기하려는 내담자에게 현재의 고통은 미래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된다는 새로운 시야를 가질 수 있도록 도우면 내담자는 긍정적인 기대감과 희망을 갖게 된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6.18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71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