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도와 행동] 태도와 행동의 일관성 행동에 의한 태도변화(인지부조화이론 자기지각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도와 행동] 태도와 행동의 일관성 행동에 의한 태도변화(인지부조화이론 자기지각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태도와 행동

I. 태도와 행동의 일관성

II. 행동에 의한 태도변화
1. 인지부조화이론
2. 자기지각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질을 걸러준다고 생각함으로써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키려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담배가 비록 건강에는 해롭지만 사회적 긴장을 줄이고 인생에 낭만을 더해 준다고 긍정적 인지요소들을 추가함으로써 부조화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자신의 행동에 따라서 기존의 신념이나 태도를 바꾸는 것이다.
Kassarjian과 Cohen(1965)은 1964년에 미국보건성이 흡연의 해로움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담배를 피우지 않는 이들 중 10%만이 담배가 암을 유발한다는 것이 아직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반면, 흡연자들 중 40%가 그 관계를 부정하였다.
일종의 자기정당화로 볼 수 있는 위의 현상은 보상과 관계되는 상황에서도 쉽게 일어난다. Festinger와 Carlsmith(1959)는 피험자들에게 30분 동안 지독히 재미없고 지루한 과제를 수행토록 하였다. 과제가 끝난 뒤 피험자들은 실험자로부터 조수가 나오지 않았으니 대신 실험을 도와달라는 부탁을 들었는데, 다음 피험자가 방에 들어오면 실험이 너무 재미있고 중요한 과제라고 거짓말을 하라는 것이었다. 그러한 부탁을 들어주는 조건으로 피험자 중 일부는 1달러를 받게 될 것이라고 들었고, 나머지는 20달러를 받게 될 것이라고 들었다(이때 피험자들은 보상이 두 가지로 지급된다는 것을 몰랐다). 부탁받은 피험자들은 그 다음 계속된 실험에서 실제로 거짓말을 하였다. 이때 그러한 거짓말을 해 달라는 부탁을 받지 않은 통제집단도 있었다. 실험이 끝난 후 이 세 가지 집단에 속한 피험자 모두에게 그 과제를 얼마나 즐겼는지, 앞으로 비슷한 실험에 참여할 의도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더니 그 결과는 아래의 표와 같았다.
표. 보수와 태도변화 : 인지부조화 이론의 작용
조건
과제를 즐김
비슷한 실험에 또 참여할 것
1달러 받음
+1.35
+1.20
20달러 받음
-0.05
-0.25
통제집단
-0.45
-0.62
매우 지루한 과제에 대해 재미있다고 거짓말을 하는 것은 인지부조화를 유발할 것이며, 자신의 태도와 불일치한 행동을 한 것은 20달러이라는 돈을 받기 위해서였다고 정당화 할 수 있던 이들에 비해 1달러이라는 적은 액수의 돈으로 정당화할 수 없던 이들이 과제에 대해 더 호의적인 태도를 갖게 된 것을 볼 수 있다.
2. 자기지각이론
"내가 어계, 오늘 계속 그녀를 생각하고 있네. 내가 그녀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이제 깨달았다네." 유행가 가사와 같은 이 진술문은 사람들이 자기가 미처 깨닫지 못했던 태도를 행동을 통해 알게 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Bem(1967)은 인지부조화이론이 너무 '인지'라든지 '심리적 긴장' 등 내적인 설명에 의존한다고 지적하고, 보다 단순한 논리인 자기지각이론을 발전시켰다. 자기지각이론은 태도-행동간 관계에 대한 이론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자신의 태도를 유추한다는 주장이다.
공부를 하다가 괜히 벌떡 벌떡 일어나 방안을 어슬렁거리는 자기모습을 문득 방안에 있는 거울에서 보았을 때 "내가 지금 공부하는 것을 지루하게 생각하고 있구나"하고 느낀다던지, 어느 날 생물학 공부를 세 시간 째 계속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곤 "아, 내가 생물공부에 흥미를 가지고 있구나."라고 느끼게 되는 것이 자기지각이론에 의해 설명되는 현상들이다. 이러한 현상은 태도가 애매하고 불분명할 때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반대로 태도가 명확하면 행동으로부터 단서를 구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그림. 태도-행동관계를 보는 두 가지 견해
: 인지부조화이론과 자기지각이론
위의 그림은 인지부조화 이론과 자기지각이론을 대비시켜 준다. 이상과 같이 태도의 본질, 태도-행동의 일관성 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태토란 어느 정도 항구성이 있는 반면 주변의 압력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되기도 한다. 사람들이 어떻게 태도변화를 일으키게 되는지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통찰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삶을 이해하는 심리학의 유용성을 한층 높혀 준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6.20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73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