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에 대한 에티켓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에 대한 에티켓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다.
시각장애인 주인의 허락 없이 안내견을 만지거나 음식을 주어서는 안 된다
시각장애인과 동행하는 안내견은 어디든지 동반출입이 가능하다.
언어장애는 청각장애와는 다른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장애이다.
언어장애인의 대화하는 중간에 서두르거나 끼어들면 위촉시킬 수 있으므로 서두르거나 재촉하지 않는다.
언어장애인이 느리게 쉬어가면서 말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고게를 끄덕이거나 몇 마디 말을 하여 여전히 경청하고 있음을 알린다.
지적 장애인에게 연령에 맞는 존칭어를 사용한다.
지적 장애인이 식당에서 메뉴를 선택하기 어려울 때 음식그림 등을 설명하여 자신이 먹고 싶은 것을 선택하게 한다.
지적 장애인에게 위험을 대처할 상황이 발생할 때에는 말과 함께 반드시 행동으로 알려준다.
다운증후군은 생김새가 비슷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누구랑 똑같이 생겼네" 라고 말하지 않는다.
자폐성 장애인은 동일한 패턴을 반복하는 행동을 할 경우 너무 의식하지 말아야 한다.
자폐성 장애인은 소음과 자극적인 냄새로 인해 여러 가지 행동 특성을 보일 수도 있다.
자폐성 장애인이 언어적 표현이 잘 안 될 때 그림, 행동 등 비언어적 의사표현을 찾아내도록 한다.
정신장애는 기능수행에 제한을 받을 뿐 지능이 낮다고 추측해서는 안 된다.
정신장애인의 정신과 치료약물 중에는 심한 갈증을 유발하는 것이 있으므로, 식음료의 반입이 금지되어 있는 곳이라도 요청이 있을 때는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한다.
장애여성이 외모에 관심을 두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므로 멋에 대한 장애인의 관심과 치장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준다.
장애여성을 도와주며 성적인 농담을 하지 않는다.
장애여성이 출산과 육아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은 편견이다.
장애여성을 도와줄 때 신체적 접촉은 가급적 줄이고 피치 못할 신체적 접촉 시에는 미리 양해를 구한다.
* 참고문헌
장애인복지 - 유동철 저, 학지사/2017
장애인복지의 이해 - 강영실 저, 신정/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장애인복지 이론과 실천 - 문선화 이상호 외 2명 저, 양서원 저/2013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장애인복지정책과 실천 - 이준우 저, 나남/2012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한국사회와 장애인 정책 - 전광석 저, 인간과복지/2011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6.28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7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