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
I. 매슬로우의 생애
II. 욕구의 종류
1. 생리적 욕구
2. 안전의 욕구
3. 소속 및 사랑의 욕구
4. 자존의 욕구
5. 자아실현의 욕구
III. 결핍욕구와 성장욕구
IV. 자아실현인의 특성
* 참고문헌
I. 매슬로우의 생애
II. 욕구의 종류
1. 생리적 욕구
2. 안전의 욕구
3. 소속 및 사랑의 욕구
4. 자존의 욕구
5. 자아실현의 욕구
III. 결핍욕구와 성장욕구
IV. 자아실현인의 특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라 하여 deficiency, 혹은 D 동기라고 했다. 결핍욕구의 유일한 목적은 결손상태, 즉 배고픔, 추위, 불안 등으로부터 야기될 유기체의 긴장을 미리 막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D 동기는 행동결정에 있어서 긴급한 요인인 것이다. Maslow에 의하면 결핍욕구에는 다섯 가지 기준이 있는데, (1) 이것이 없으면 병을 일으킨다(배고픔을 예로 들면, 만약 사람이 먹지 않으면 그는 곧 앓게 된다) (2) 이것이 있으면 병을 막아준다(먹으면 그 때문에 앓지 않는다) (3) 이것의 회복은 병을 막아준다(굶주림에 있어서 음식보다 좋은 치료는 없다) (4) 일련의 자유로운 선택과 복잡한 여건 하에서, 이것은 부족한 사람이 더 선호성을 갖게 만든다(만약 그가 굶주린다면 그는 성(性)보다 음식을 택할 것이매. (5) 이것은 건강한 사람에게는 기능적으로 작용을 못하거나 사장되어 있다(건강한 사람들은 매우 다행스럽게도 그들의 행동이 음식에 대한 욱구에 의해 계속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D 동기와는 대조적으로, 성장욕구(metaneed, 또는 B 동기, being need)는 인간의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선천적 충동과 연관된 목표이다. 성장욕구의 목적은 경험을 넓힘으로써 삶을 풍요롭게 하고, 삶의 기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성장욕구는 주로 D 동기가 만족된 후에 작용한다.
IV. 자아실현인의 특성
매슬로우는 역사적 인물에 대한 고찰, 여러 가지 임상적 방법과 실험 등을 통해 자아를 실현한 사람들의 특성(whole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ing people)을 추려 보았다. 그는 다른 저서(1968)에서는 이것을 '심리적으로 건강한 인간(Psychologycally healthy people)'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두 표현이 같은 것을 뜻한다 할 때, 심리적으로 건강하면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는 뜻을 지닌다.
(1) 실재(reality)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지각을 하며, 이렇게 지각된 대상에 대해 부담이나 무리 없이 편안한 관계를 맺는다.
(2) 자신, 타인 및 본질(nature)에 대한 수용을 잘 한다.
(3) 자발적 행동을 하며, 행동이 소박하고 자연스럽다.
(4) 자기중심적이기보다는 문제 중심적이며 이들은 거의 습관적으로 인생에 대한 어떤 사명감을 갖고 있으며, 과업달성의 의욕을 갖고 있고, 자기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닌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5) 자신에게 해로움이나 불편함 없이 긍정적인 면에서 초연한 입장에 설 수 있으며, 사적인 자유(Privacy)를 갖고자 한다.
(6) 자율적이어서 문화 및 환경에 독립적이며, 자신의 성장에 대한 동기에 의해 의지적인 행동을 하며 적극성을 띤다.
(7) 인식(appreciation)이 늘 신선한 감각을 지니고 있으며, 정서적인 반응이 풍부하다.
(8) 신비한 경험(mystic experience), 또는 절정경험(peak experience)이 잦다.
(9) 인류와 깊은 동일시를 하며, 동정적이고 친애감을 갖고 있다.
(10) 대인관계에 있어서 이들은 보다 심원한 관계를 갖는다. 그들은 보다 융화적이고 깊은 사랑을 지니고 있으며, 보다 완전한 동일시를 하고 이타적이다.
(11) 그들은 보다 민주적인 성격구조를 지니고 있다.
(12) 수단과 목적 및 선과 악의 변별이 뛰어나다.
(13) 철학적이며 적의 없는 유머를 즐긴다.
(14) 창의성, 독창성, 고안성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물론 이때의 창의성은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모든 인간이 지닌 보편적 창의성을 의미한다.
(15) 어떤 특수한 문화에 대해서는 이를 승인하고 동일시함에 있어서 저항적 또는 초월적이다.
그 외에 Maslow(1972)는 건전한 인간의 힘동론 불안이나 두려움, 불안전, 죄의식, 수치심 등에 의해서보다는 진실, 조리, 정당성, 실재성, 공정성, 타당성, 훌륭한 것(beauty), 정확한 것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부언하고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D 동기와는 대조적으로, 성장욕구(metaneed, 또는 B 동기, being need)는 인간의 잠재력을 실현하려는 선천적 충동과 연관된 목표이다. 성장욕구의 목적은 경험을 넓힘으로써 삶을 풍요롭게 하고, 삶의 기쁨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성장욕구는 주로 D 동기가 만족된 후에 작용한다.
IV. 자아실현인의 특성
매슬로우는 역사적 인물에 대한 고찰, 여러 가지 임상적 방법과 실험 등을 통해 자아를 실현한 사람들의 특성(whole characteristics of self-actualizing people)을 추려 보았다. 그는 다른 저서(1968)에서는 이것을 '심리적으로 건강한 인간(Psychologycally healthy people)'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두 표현이 같은 것을 뜻한다 할 때, 심리적으로 건강하면 자아실현을 할 수 있다는 뜻을 지닌다.
(1) 실재(reality)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지각을 하며, 이렇게 지각된 대상에 대해 부담이나 무리 없이 편안한 관계를 맺는다.
(2) 자신, 타인 및 본질(nature)에 대한 수용을 잘 한다.
(3) 자발적 행동을 하며, 행동이 소박하고 자연스럽다.
(4) 자기중심적이기보다는 문제 중심적이며 이들은 거의 습관적으로 인생에 대한 어떤 사명감을 갖고 있으며, 과업달성의 의욕을 갖고 있고, 자기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닌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5) 자신에게 해로움이나 불편함 없이 긍정적인 면에서 초연한 입장에 설 수 있으며, 사적인 자유(Privacy)를 갖고자 한다.
(6) 자율적이어서 문화 및 환경에 독립적이며, 자신의 성장에 대한 동기에 의해 의지적인 행동을 하며 적극성을 띤다.
(7) 인식(appreciation)이 늘 신선한 감각을 지니고 있으며, 정서적인 반응이 풍부하다.
(8) 신비한 경험(mystic experience), 또는 절정경험(peak experience)이 잦다.
(9) 인류와 깊은 동일시를 하며, 동정적이고 친애감을 갖고 있다.
(10) 대인관계에 있어서 이들은 보다 심원한 관계를 갖는다. 그들은 보다 융화적이고 깊은 사랑을 지니고 있으며, 보다 완전한 동일시를 하고 이타적이다.
(11) 그들은 보다 민주적인 성격구조를 지니고 있다.
(12) 수단과 목적 및 선과 악의 변별이 뛰어나다.
(13) 철학적이며 적의 없는 유머를 즐긴다.
(14) 창의성, 독창성, 고안성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물론 이때의 창의성은 앞에서 밝힌 바와 같이 모든 인간이 지닌 보편적 창의성을 의미한다.
(15) 어떤 특수한 문화에 대해서는 이를 승인하고 동일시함에 있어서 저항적 또는 초월적이다.
그 외에 Maslow(1972)는 건전한 인간의 힘동론 불안이나 두려움, 불안전, 죄의식, 수치심 등에 의해서보다는 진실, 조리, 정당성, 실재성, 공정성, 타당성, 훌륭한 것(beauty), 정확한 것 등에 의해 결정된다고 부언하고 있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키워드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여행상품의 개념] 여행상품의 정의, 특성, 구성요소, 구분, 해외여행상품의 속성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노인보건] 노인보건의 개념과 특성(노인보건의 정의와 중요성, 신체적 노화현상, 치매), 노...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집단의 정의] 집단의 개념과 유형 집단의 특성 집단의 형성과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