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학 ) 상담자가 되어 내담자와 직접 2회기 이상의 상담을 진행하십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심리학 ) 상담자가 되어 내담자와 직접 2회기 이상의 상담을 진행하십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상담의 의의

Ⅱ. 상담이론 및 상담기법의 선택

Ⅲ. 내담자의 개요 및 상담절차
1. 내담자
2. 상담절차 및 회기 주요 내용
3. 상담내용
4. 상담관계형성을 위한 상담자의 반응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문도 안 나오겠죠.
상담자 : 그러면 소문이 왜 나는 거 같아요?
내담자 : 음.. 아무래도 조금 더 잘하고 금방 눈에 뛰니까..?
상담자 : 맞아요. ○○씨가 잘하고, 좋은 결과를 내니까 그런 소문하고 뒷얘기도 나오는 거 아닐까요?
내담자 : 아... 소문이나 이런 건 제가 잘하니까 나는 거였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잘하니까 그만큼 관심도 있고 뒷말도 나오고 소문도 생기고..
상담자 : 사람인 이상 소문이나 뒷얘기가 나오는 것에 신경 쓰는 건 당연한 거에요. 거기에 스트레스를 받는 ○○씨도 전혀 이상한 건 아니구요. 다만 그 원인은 명확하게 알았으면 좋겠어요.
(중략)
상담자 : 그러면 아까 말씀하신 중학교 때 얘기도 한번 해볼까요?
내담자 : 음……. 좀 껄끄럽긴 한데요.
상담자 : 맞아요. 과거 힘들었던 얘기를 하는 건 분명 힘든 일이죠. 하지만 이 상담은 ○○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거예요. 저는 그만큼 ○○씨에게 제 모든 것을 보여줄 생각이고 ○○시도 절 믿고 이야기해줘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이 상담은 의미가 없는 시간낭비일 뿐이에요.
내담자 : 예……. 알았어요. 일단 중학교 때 같이 어울리던 친구 6명이 있었어요. 그런데 그 때 다른 친구 하나랑 어떻게, 어떻게 좀 말싸움을 하게 된 적이 있거든요? 근데 그 이후로 저 빼고 나머지 5명이 따로 만 난거 같아요.
상담자 : 아 그랬었군요. 조금 더 자세히 이야기해주실 수 있나요?
내담자 : 아……. 그, 저 혼자만 교실에 있었는데 다른 친구들이 자기들끼리 복도에 모여서 이야기를 하고 있더라고요. 아마 저에 대한 얘기겠죠. 그래서 좀 몰래 가서 엿들었는데 내용이 저 빼고 따로 만나서 놀자 이런 식의 얘기를 하더라고요.
상담자 : 많이 당황하고 충격적이었겠네요. 그때 기분이 어땠죠?
내담자 : 좀, 많이 힘들고 버림받은 기분도 들고……. 쓸쓸했어요. 혼자가 된 기분을 그때 느꼈던 것 같아요.
(후략)
4. 상담관계형성을 위한 상담자의 반응
앞서 예시한 상담진행의 내용 중에 필자가 사용한 내담자와의 상담과계 형성을 위한 반응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바로 공감하기이다. 공감하기란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다른 사람의 감정을 거의 같은 내용과 수준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즉, 타인의 입장에 서서 타인의 눈으로 사물을 바라보고 그 감정을 이해하는 행위 및 상담자가 내담자의 외적 측면 뿐 아니라 내적 측면까지 이해하고 잇다는 점을 알리는 행위인 것이다. 이를 통해 내담자는 상담자에 대해 신뢰감을 느끼게 되고 자아존중감이 회복되며 소외감을 해소할 수 있다.
해당 사례에서 구체적인 예로는 \"누군가의 기대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인정받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면 그만큼 못 따라가는 자기 자신에 대해 화도 나고 스트레스도 받고 그래요. 저도 한창 공부할 때는 그렇게 느꼈던 적이 있는 거 같아요.\" 등의 문장을 이야기할 수 있다. 비슷한 경험을 한 적이 있고 그만큼 내담자가 느끼는 감정을 절실히 이해하며 공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바로 경청하기이다. 내담자는 자신의 내밀한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이에 관한 적절한 관심이 필요하다. 상담자가 그만큼 내담자의 이야기에 집중하고 관심을 기울인다는 점을 보이면 그만큼 내담자는 상담자가 자신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바람직한 상담자-내담자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례에서 나타난 구체적인 예로는 \'맞아요.\' \'그랬군요.\'등의 언어적 표현을 통해 계속 듣고 있음을 알려주거나 비언어적 표현으로서 눈 마주치기, 고개 끄덕이기 등이 있다.
세 번째는 즉시성을 이용한 것이다. 즉시성이란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자신이나 내담자 혹은 상담관계에 대한 즉각적 감정을 상담자가 표현하는 것\"이다. 즉, 내담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숨기려고 하거나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는 경우 상담과정이 방해 받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기법이며 이를 통해 상담자-내담자 관계를 보다 공고히 하여 보다 깊은 내밀한 문제를 이야기할 수 있는 \'전문적인 과정\'임을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사례에서의 구체적 예는 \"하지만 이 상담은 ○○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거예요. 저는 그만큼 ○○씨에게 제 모든 것을 보여줄 생각이고 ○○시도 절 믿고 이야기해줘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이 상담은 의미가 없는 시간낭비일 뿐이에요.\" 등을 들 수 있다.
Ⅳ. 참고문헌
Richard. S. Sharf, 천성문 옮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 사례』, 2013.
  • 가격3,7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7.23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5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