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사회와 사회복지 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회문제 아동학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1세기 사회와 사회복지 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회문제 아동학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

2. 아동학대의 실태와 현황

3. 아동학대의 원인

4.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대책 및 사회복지정책

5. 결론 및 나의 의견

본문내용

, 피학대아동에 대해서는 보호를 강화하여야 하며, 가해자를 대상으로는 여러 가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끝으로 아동학대 관련 인력을 적정 규모로 확보하는 것과 전문성을 제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것 중 하나이며, 아동학대는 다양한 전문직의 협력이 중요하므로 관련 전문가 간의 협력이 강화될 수 있는 전달체계 또는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통합신고체계
통합신고체계란 긴급한 신고전화를 112나 119로 통합 연계하는 것으로, 신속한 대응과 연계시스템을 통한 해당 기관 연결을 의미한다. 아동학대의 신고전화 역시 112로 통합되었다. 이러한 연계시스템은 신고전화를 받으면 경찰이 출동하여 초기대응을 하고, 이후 아동보호종합센터에서 출동을 하며, 검사의 판단에 따라 형벌이 이루어지는 절차를 거친다. 통합신고체계로 인해 112 통합신고체계로 변화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가능해졌다. 아동학대가 일어나는 시기가 새벽이다 보니 예전의 신고체계로는 빠른 초기대응이 힘들었는데, 112통합신고체계로 변화하면서 신고전화가 들어오면 가까운 지구대에서 바로 출동을 통하여 빠른 초기대응이 가능해졌고, 초기대응 이후에 아동보호종합센터로 인계가 이어지기 때문에 훨씬 더 수월하게 신고접수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게 되었다.
5. 결론 및 나의 의견
요즘 기사를 보면 아동학대 관련 기사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것을 통해 아동학대의 사례가 예전에 비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아동학대의 예방 및 대책이 사람들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다.
따라서 아동학대의 개념정의를 분명히 하고 이에 기초한 아동학대 사정 척도를 표준화하여 아동학대의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아동학대 현황의 정확한 파악이 아동학대에 대한 제도적 마련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통합신고체계로 변화하면서 경찰의 아동학대 판단기준의 불명확함과 검사가 아동학대가 아니라고 판단한다면 피해아동과 가해자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의미가 되는데, 이것은 아동학대에 대해 가장 잘 알고 있는 사회복지사에게 아동학대를 판단할 수 있는 권리가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장의 사회복지사에게 아동학대를 판단하는 목소리에 힘을 더 준다면 통합신고체계는 더 좋은 체계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6. 참고문헌
강순옥(2002). 아동학대의 요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계순 박현선 오승환 이상균 이현주(2014). 아동복지론. 서울 : 학지사.
김훈(2012). 사회복지법제론. 서울 : 학지사.
이배근(2004). 아동학대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신흥메드싸이언스.
문선화 구차순 박미정 김현옥(2012). 한국사회와 아동복지. 서울 : 양서원.
※참고 사이트
경상남도아동보호전문기관(http://www.kn1391.or.kr/2012/main.html)
국가정보법령센터(http://www.law.go.kr/main.html)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http://korea1391.org/new_index/)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7.31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