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훈몽자회의 범례
2) 한글맞춤법
3) 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훈몽자회의 범례
2) 한글맞춤법
3) 훈몽자회 범례의 자모체계와 한글맞춤법의 자모체계 비교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매우 중요한 사실이다. 이를 통해 쉽게 언어를 익히지 못하는 백성들이 언어를 익힐 수 있었다. 이런 훈몽자회가 현행 한글 맞춤법에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훈몽자회의 편찬이 언어의 발전에 큰 기여를 했다고 볼 수도 있는 대목일 것이다. 따라서 최세진이 만든 훈몽자회는 국어교육과 한자교육을 위해서 훌륭한 교습서이다.
언문을 일부러 의식하여 배우는 것이 아니라 저절로 습득이 되는 글자로써 스스로 깨우쳤기 때문에 현재의 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문을 배우고자 하는 동기를 만들어주고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게 해줬다는 점에서 훈몽자회의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김기영, 『훈몽자회를 중심으로 한 최세진의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유은정,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채완, 『훈몽자회와 한글 맞춤법』, 새국어생활, 1999
- 한규진, 『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 개선 방향 연구 : 훈몽자회의 한자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언문을 일부러 의식하여 배우는 것이 아니라 저절로 습득이 되는 글자로써 스스로 깨우쳤기 때문에 현재의 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언문을 배우고자 하는 동기를 만들어주고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게 해줬다는 점에서 훈몽자회의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는 것이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 김기영, 『훈몽자회를 중심으로 한 최세진의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유은정,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규정의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채완, 『훈몽자회와 한글 맞춤법』, 새국어생활, 1999
- 한규진, 『교육용 기초한자의 선정 개선 방향 연구 : 훈몽자회의 한자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추천자료
분단 극복을 위한 국어학 연구 방향
통신언어 사용에 관한 표현상 어휘상 문법상의 실태에 관한 보고서
북한언어
노동신문에 나타난 북한언어의 특징..
남북한의 언어 규범
한결 김윤경의 사상과 국어학
본질주의를 통한 교육
[남북한언어][남북한언어정책][북한어][남북어][언어정책]남북한의 언어차이, 남북한 언어정...
不規則用言(불규칙용언)에 關한 考察
[표준어][표준말]표준어(표준말)의 정의, 표준어(표준말)의 특징, 표준어(표준말)의 역사, 표...
최낙복 국어사 과제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 줄거리 요약 및 감상문, 느낀점, 독후감, 나의 견해, 나의 소감, 시사...
표준어 규정.PPT자료
외압과 자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