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으로 세상을 바꾸려 했던 교육 사상가 - 한국의 여성 교육사상가 최용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으로 세상을 바꾸려 했던 교육 사상가 - 한국의 여성 교육사상가 최용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의 여성 교육사상가 ‘최 용 신’


<Ⅰ. 서론>

1. 생애

2. 그녀가 살았던 시대적 상황 및 배경


<II. 본론>

1. 교육사상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III. 결론>

1. 최용신의 정신 잇기: 오늘의 시점에서

2. 진정한 여성 교육사상가 최용신을 접하고 나서 .......


<IV. 참고 문헌 및 참고 싸이트 >

본문내용

여성들이 왜 사회참여를 해야 하는가라는 사회참여의 목적이다. 나만 잘살기 위한 사회참여가 아닌, 이 사회를 변혁시키기 위한 사회참여이며, 이것이 여성의 몫이라는 점을 그녀의 정신에서 읽을 수 있다.
세 번째, 최용신의 기독교 사회운동 정신이다. 최용신의 농촌운동은 철저히 신앙 위에 기초해있다. 그에게서 신앙은 교회부흥, 전도 등 개인적인 신앙에만 머물러있지 않다. 그에게서 신앙은 개인을 넘어서 이 사회를 구원하는, 이 민족을 구원하는 푯대이다. 오늘날 교회들이 물질만능주의, 성장주의에 매몰되어 이웃과 사회의 문제에 동참하는 것을 게을리 하고 있다. 기독교의 본래적 사명이 어두운 곳에 빛을 비추고, 소금을 뿌려 썩는 것을 막는데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들이 자신의 몸집을 불리는데 온통 관심을 기울이고 있어 사회의 지탄을 받고 있다. 오늘날 기독교는 민족과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 한 일간의 과거사문제, 해방 후 지금까지 불평등한 관계를 지속하고 있는 주한미군문제 등 뿐 아니라, 환경문제, 통일문제 등 많은 산적한 과제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1930년대 기독교는 일제 식민지하에서 독립운동의 한 방법으로 농촌계몽을 선택한 것은 기독교가 민족의 과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 위함이었다. 바로 최용신의 농촌운동은 기독교의 민족적 과제수행의 일환이었고, 바로 기독교사회운동의 역사적 뿌리가 되었다는 점에서 오늘날 재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진정한 여성 교육사상가 최용신을 접하고 나서 .......
‘최용신’그녀야 말로 이 시대가 원하는 진정한 교사상이 아닐까 생각한다. 최용신은 자신의 전 생애를 교육을 하는데 힘썼고,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교육을 위한 열의는 식을 줄을 몰랐다. 평범한 여성이길 거부하고, 우리의 역사에 길이 남을만한 빛난 이름을 남기고간 그녀가 위대해 보이고, 그 어떤 여성의 삶보다 존경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
가부장적인 시대상 속에서도 자신의 교육이념을 펼치기 위해 망설임이 없었으며, 어느 남성 못지 않게 위대하고 용감했다. 자신의 행복한 결혼을 꿈꾸기 보다는 식민지 조선의 농촌과 결혼하겠다는 그녀의 다짐에 깊은 감동을 받았다. 진정으로 농촌을 사랑하고, 가르침에 대한, 열의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그녀의 다짐. 정말 오늘날 교사들이 본받아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오늘날 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들은 취업이 되지 않는 시기 안정적이고, 어느 정도의 신분상승과 경제력을 가질 수 있으니깐 하는 마음가짐으로 교사라는 직업을 택하는 사람들이 많다. 나 또한 그런 생각으로 교사가 되려 하지 않았나 하는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내가 훗날, 교편을 잡게 되면 같은 여성으로서의 최용신의 정신을 본받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마음속에 길이 남을 그녀의 삶. 비록 짧은 인생을 살고 갔지만 그녀는 많은 것을 이룩하였고, 나의 마음속에 깊이 깊이 남을 것이다.
IV.참고 문헌 및 참고 싸이트
유달영. (1935). 최용신 소전. 성서조선사.
이덕일. (2004). 이덕일의 여인열전. 김영사.
장병욱. (1979). 한국감리교여성사. 성광문화사.
최은희. (2003). 여성을 넘어 아낙의 너울을 벗고. 문이재.
홍석창. (1991). 상록수 농촌사랑. 기독교문사.
http://www.mct.go.kr/open_content/life/culture/info_cult.jsp?menu=762&viewFlag=readUser&oid=@27613|1|2&year=2001
http://www.koreandb.net/KPeople/KPShow.asp?ID=0013702&Type=L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8.08.11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