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영 [역사 특성 효과 종류 동작법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영 [역사 특성 효과 종류 동작법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수영의 역사

3. 수영의 특성과 효과
3.1 수영의 특성
3.2 건강학적 측면에서의 수영
3.3 수영의 효과
1. 방위체력의 향상
2. 상처나 부상이 적은 수영
3. 천식 치료
4. 허혈성 심장병 치료
5. 당뇨병 치료
6. 비만 치료
7. 근육골격강화와 관절질환 치료

4. 수영의 종류와 각각의 동작법
4.1 자유형
1. 다리 동작(Kick)
2. 팔 동작(Pull)
4.2 배영
1. 몸의 자세(Body Portion)
2. 다리 동작(Kick)
3. 팔 동작(Arm Stroke)
4. 호흡(Breathing)
5. 배영의 종합동작(Combination)
4.3 평영
1. 몸의 자세(Body Portion)
2. 다리 동작(Kick)
3. 팔 동작(Arm Stroke)
4. 평영의 종합동작(Combination)
4.4 접영
1. 몸의 자세(Body Portion)
2. 접영 킥(Butterfly Kick)
3. 접영의 팔 동작(Butterfly Pull)
4. 접영의 종합동작(Combination)

5.맺음말

본문내용

기 동작은 양손이 가슴을 지나서 허리 밑 부분까지의 진행과정을 말하며 손바닥을 비스듬히 두족을 향하게 하고 후방으로 밀어낸다.
- 밀기 동작이 종료되었을 때 양손에 힘을 최대한 빼고 새끼손가락부터 수면 밖으로 나오도록 한다.
- 가슴 부위를 통과하여 허리까지 진행할시 양팔꿈치는 몸 측면 가까이 위치하여야 한다.
E.되돌리기(Rectory)
- 팔꿈치로부터 수면위로 빼내며 이어 양손이 수면 밖으로 나오게 한다.
- 수면 밖으로 나온 양 팔은 최대한 힘을 빼고 수면 가까이 통과하여 전 방향으로 진행한다.
- 양 손바닥은 후방을 향하고 양 손등은 전 방향을 향하여 진행한다.
- 수면 밖으로 나온 양팔이 입수할 때까지 어깨는 수면 밖에서 유지되어야만 유연한 되돌리기 동작 이루어 질 수 있다.
4. 접영의 종합동작(Combination)
- 접영의 다리동작시 양발은 반드시 붙여 차야만 한다. 양발의 형태는 기본 자유형발의 모양과 같지만 반드시 뒤꿈치를 벌려 차지 않아도 된다.
- 접영의 발차기는 자유형 발차기와 매우 같으며 차차내리기시 무릎을 약간 구부리며 차올리기에는 무릎을 편다.
- 발목은 최대한 신전된 상태를 유지하며 허리, 무릎, 발목은 최대한 힘을 빼고 차는 것이 바람직하다.
- 차 내리고 차올릴시 에는 허리를 상, 하로 움직여 큰 폭을 유지하며 차내려야 한다.
- 허리를 상, 하로 움직일시 엉덩이가 상, 하로 같이 움직이며 차내리기시 엉덩이는 수면 가까이 올라오며 차올리기지 엉덩이는 반동으로 내려간다.
- 스탠드나 킥 보드를 잡고 킥을 할 시 어깨의 관절에 최대한 힘을 빼야 한다. 이유는 허리의 상, 하 움직임으로 상체는 많은 상, 하 진동으로 추진력을 방해 받게 된다.
- 허리의 움직임으로부터 킥이 이루어져야 하며 허리의 움직임이 없이 무릎만 움직여서 차는 킥은 전혀 추진력을 얻어 낼 수 없다.
- 무릎을 많이 구부려서 킥을 해서는 안 되며 처음 단계에서는 자유형 킥의 원리처럼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허리만 움직여 찬다는 생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 접영의 킥은 팔 동작 1회에 2회의 발동작을 한다. 1회의 킥은 수중에서 이루어지며 다른 1회의 킥은 수중 밖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 접영 2회의 킥은 모두 강하게 차야 한다.
5. 맺음말
수영은 여러가지 신체활동 중에서 가장 좋은 형태중의 하나이며, 신체의 모든 중요한 근육들을 발달시킬 수 있다.그래서 다른 스포츠보다 전반적인 체력단련에 더 많은 효과가 있다. 심폐지구력 을 발달시키는데 적절할 뿐만 아니라 운동 후의 느낌 또한 상쾌하다. 팔, 다리, 그리고 상체 근육 들의 리드미컬한 동작과 신체에 접촉되는 차가운 물의 영향으로 인해 혈액의 흐름과 근육을 자극 시키는데 좋은 영향을 가져온다. 또 물의 부력은 관절 부위와 뼈에 미치는 충격을 감소시켜 준다. 그러므로 달리기를 하는 사람에게 흔히 볼 수 있는 근육의 쓰라림과 당기는 듯 한 느낌, 그리고 정강이 부분의 부상 ,테니스 엘보(Tennis elbow)또는 인대의 부상 같은 다른 스포츠들에서 볼 수 있는 부상이 수영을 하는 사람에게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수영으로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는데 문제가 있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수영을 할 줄 알아야만 하는 것이다. 여러 군데서 수영 강습을 실시하므로 ,처음 시작할 때는 수영을 못하더라 도 물속에서 효과적인 체력단련 훈련을 실시할 수 있다. 자신의 수영 실력이 점차 늘면 지구력 수영의 체력 단련 효과뿐만 아니라 물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는 만족감 또한 느끼게 될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수영장의 이용 가능성이다. 수영장의 Open lane에서 남들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고 계속해서 수영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많은 수의 수영장이 일정 시간을 정해서 Lap swimming(계속해서 풀 사이를 수영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조처하고 있다.
수영 운동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자신의 심장, 폐, 그리고 근육을 자극 할 수 있을 정도의 속력으로 수영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달리기와 빨리 걷기의 경우처럼 심박수를 상승시켜서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게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심박 예비량의 70% 수준에 도달 할 수 있도록 수영의 동작을 활발하게 실시한다.
연구에 의하면 낮은 강도에서 실시하는 수영은 별로 생리적 자극을 주지 앓는 다고 한다. 그러므로 수영 기술이 좋고 신체 지방이 많은 사람들은 힘들이지 않고 계속해서 수영할 수 있다. 하지만 체력을 측정해 보면 그런 형태의 수영은 체력 향상에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러한 형태의 수영은 자전거를 천천히 타거나 또는 산보하는 정도와 비교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충분 한 강도로 수영을 하여야만 트레이닝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얼마나 오랫동안 하느냐에 신경 쓸 필요 없이 운동 중의 심박수가 자신의 목표 심박수에 도달하도록 될 수 있으면 빠른 속도로 수영 동작을 실시한다. 30분 또는 그 이상 계속해서 수영하는 것이 최우선의 목표이다.
수영의 영법중 에서 자유형(crawlstroke)이 체력 트레이닝을 위한 가장 보편적 방법이다. 하지만 다양함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배영(back crawl),횡영(side-stroke),평형(breast-stroke),접영(butterfly -stroke)등의 영법을 익히고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본적인 원칙과 기본적인 효과를 숙지하고 자신의 운동량은 운동이 끝난 후 1시간 이내에 신체가 충분히 회복되고 휴식될 수 있도록 정해져야 한다.
현재에도 다이어트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수영장을 찾고 있다. 나 역시 많은 운동을 해보았지만 수영처럼 멋지고 좋은 운동은 없었던 것 같다. 미래에는 많은 사람들이 지금처럼 바쁘게 살면서 스포츠라는 종목하나 즐기지 못하는 그런 각박한 사회보다는 여유를 즐기며 꼭 수영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몸을 위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건강해질 수 있는 그런 스포츠 문화를 즐길 수 있었으면 좋겠다.
<참고도서>
김종만 (2003). 『수영의 진화』 대한미디어
신대철 (2002). 『수영과 수상안전』 한길사
김동제 (2007). 『수영체크포인트』 광림북하우스
  • 가격2,4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8.08.18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7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