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행문 - 하동 화개 장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행문 - 하동 화개 장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하동 소개
Ⅰ-1 위치
Ⅰ-2 면적 및 상징물

Ⅱ. 화개장터
Ⅱ-1. 화개장터 소개
Ⅱ-2. 볼거리 Ⅱ-3. 먹거리
Ⅱ-4. 화개장터의 축제

Ⅲ. 소설 ‘역마’
Ⅲ-1. 소설 [역마]의 줄거리
Ⅲ-2. 화개 장터의 상징성
Ⅲ-3. 성기가 집을 떠날 때 하동으로 향한 이유

Ⅳ. 답사 후기

Ⅴ. 자료 출처

본문내용

의 정취를 즐길 수 있는 화사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펼쳐지기도 한다. 또한 화개마을 사람들이 직접 생산한 지리산의 향긋한 봄나물을 맛볼 수 있으며, 은어회, 재첩국, 참게탕 등 향토음식을 맛보는 꽃 잔치 속에서 봄의 향연을 즐길 수 있다.
2. 기간 및 행사 내용
기간 ; 2008. 4 .4 ~ 2008. 4. 6
장소 ; 하동군 화개면 차 문화센터 일원
주최 ; 하동군
행사내용 ; 화개장터 벚꽃축제 기념 만찬회, 벚꽃 음악회, 길거리 씨름대회 ,벚꽃 가수왕 선발 대회 등 다채로운 행사가 준비 되어 있다.
Ⅲ. 소설 ‘역마’
[역마]의 줄거리와 [역마] 동상
Ⅲ-1. 소설 [역마]의 줄거리
김동리 소설 [역마]의 간단한 줄거리는 두 물이 만나는 두물머리가 신음조차 없이 흐르는 섬진강으로 큰 획을 긋는 화개장터에서 술맛이 좋기로 유명하고 값이 싼 ‘옥화주막’의 주인 옥화는 아들 ‘성기’의 역마살을 없애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던 중 어느날 체 장수 영감이 딸 ‘계연’을 데리고 와 옥화주막에 맡기고 떠나자 옥화는 아들 성기의 역마살을 계연과의 결혼으로 극복하려 하나 계연이 자신의 이복동생임이 밝혀지면서 계연은 체 장수를 따라 아버지의 고향인 여수로 떠나고 중명을 앓던 성기는 병이 낫자 운명에 순응, 역마살에 따라 화개장터를 떠난다는 내용이다. 무대는 화개장터이다.
Ⅲ-2. 화개 장터의 상징성
전통사회는 폐쇄성을 띠고 있는데 반해 장터는 정기적으로 개방되는 열린 공간이다. 장처에서는 만남과 헤어짐이 교차하면서 온갖 인연이 맺어진다. 장터에서의 인간과계는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 성기의 역마살, 체장수 영감과 계연의 일시적 체류, 계연이 성기의 이복 이모라는 사실 등은 모든 이물들이 불안정한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작가는 역마의 배경을 화개장터로 설정함으로써 주제의 개연성을 높이고 있다.
Ⅲ-3. 성기가 집을 떠날 때 하동으로 향한 이유
“ 화개장터의 냇물은 길과 함께 세 갈래로 나 있었다.” 이 소설의 서두는 이렇게 시작된다. 한줄기는 구례 쪽에서 오고, 한 줄기는 화개협에서 흘러내려, 서로 합쳐져 하동으로 향한다. 계연이 떠난 구례, 어머니가 있는 화갯골을 뒤로 하고 하동으로 향하는 것은 자신의 운명에 순응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이해할 수 있다.
Ⅳ. 답사 후기
경상도 하동과 전라도 구례를 잇는 장터로 경남 하동군 화개면 탑리에 위치한 화개 장터는 ‘화개장터’ 라는 노래로 대중에게 알려졌다.
답사 장소를 결정하게 된 동기는 우연히 부르게 된 ‘ 화개장터 ’ 노래로 생각지도 못했던 하동을 방문하게 되었고 또 하나의 이유로 하동군의 답사지 이었던 쌍계사, 화개 장터, 최첨판댁 중 나에게 가장 기억에 남았던 화개장터를 선택해 답사 보고서를 작성하게 되었다. 답사 내용으로 화개장터의 노래와 화개 장터의 볼거리* 먹거리 그리고 소설 ‘역마’와 화개장터 벚꽃축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답사 사전에 화개 장터에 관한 위치조사와 간략한 정보, 재첩국과 같은 먹거리에 대해 조사하고 답사를 시작하여 답사과정에 있어서 사전에 익힌 정보 덕에 답사 시 화개 장터에 대한 이해와 정보 습득에 도움이 되었다.
사전에 생각했던 화개 장터의 모습과 실제 답사 현장의 모습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화개 장터는 방문하기 전 시골의 전통 5일장의 모습일 거라 생각 했지만 전통 장의 형태는 거의 없었고 현대식의 장터의 모습이었다. 이는 장터의 형태를 다시 조성해 놓아, 현대식 장터로 변모하였다고 한다. 화개 장터에는 과거 전통의 방식을 살린 철물점과 지리산에서 캐온 산나물, 약초, 녹차를 이용한 상품을 판매하였는데 이는 인접해 있는 자연을 통해 상품을 만들어 판매하고 있었고 화개장터는 섬진강에서 나는 재첩을 이용한 재첩국밥과 민물고기인 은어를 이용한 회, 튀김이 판매되었다. 답사 시에 재첩국을 먹었는데 기대가 커서 그랬는지 맛이 실망스러웠다. 그리고 소설 [역마]의 배경이 되었던 화개장터는 음식점마저 역마의 배경이 화개장터임을 알렸으며 장터 곳곳 역마의 내용을 알렸다. 화개장터 벚꽃축제는 섬진청류와 화개동천 25km 구간을 새봄의 정취를 즐길 수 있는 화사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펼쳐지는데 답사 기간이 9월 27일이라 벚꽃축제를 볼 수 없었다는 것에 아쉬움이 남았다.
Ⅴ. 자료 출처
하동 관광 홈페이지 → http://tour.hadong.go.kr
책 → 중고생이 꼭 읽어야 할 한국단편소설 35
네이버 → www.naver.com 지식검색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8.18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7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