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노인상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매노인상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약물치료
1. 인지기능 개선제
2. 정신증상에 대한 약물

II. 행동장애의 접근방법
1. 불안
2. 흥분 및 공격적 행동
3. 배회
4. 망상
5. 성적 행동
6. 거부증
7. 섬망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는 환자와 간병인의 생각에
차이가 있음을 알고 환자의 생각에 맞추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식사 거부가 계속되면 영양실조나 수분부족으로 다른 병을 일으키거나 탈수상태가 된다. 그 원인으로는 신체적 상태가 나쁠 때, 열이 있을 때, 먹는 방법을 잊어버렸을 때 등이다. 노인이 식사를 거부할 때에는 우선 신체적 상태가 나빠지지 않았나를 살펴본다. 평상시와 다른 경우는 의사와 상의한다. 때로 간병인이나 주위 사람들이 사소한 것에 자존심을 상하게 해서 식욕에 영향을 주는 일도 있으므로 식사 중에는 꾸짖거나 불필요한 주의는 주지 않는다. 음식물을 가지고 장난치는 노인은 간병인이 먹여 준다. 입원이나 입소 등 갑작스러운 환경변화로 혼란이 왔을 때에는 식탁에 앉아서 식사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므로, 어떠한 형태로 어디에서라도 먹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환경에 익숙해지면 노인이 안정되어 식탁에서 식사할 수 있게 될 수도 있다.
목욕을 거부하는 데는 그 나름대로 이유가 있다. 어떤 노인은 목욕하고 있을 때 벗어 놓은 옷이 없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고 불안해져서 목욕을 하지 않으려는 경우도 있다. 치매의 정도가 심해지면 목욕을 하자고 해도 무엇을 말하는지 이해하지 못하고 적절한 행동이 무엇인지도 알 수 없게 된다. 목욕을 거부하는 사람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파악하여 목욕을 하도록 유도한다. 치매의 정도가 매우 심할 경우에도 속옷을 벗는 것을 부끄러워할 수 있다. 아무리 시도해도 목욕을 거부하는 경우 간병인이 혼자서 목욕을 시키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주위의 도움을 청하는 방법도 고려해보아야 한다.
(7) 섬망
치매노인은 밤에 자지 않고 잠이 덜 팬 것 같은 상태에서 착시 및 환시현상 등으로 커튼이나 벽의 옷을 보고 도둑이라 하며 소란을 피우고 흥분하거나 그 장소에 어 울리지 않는 행동을 하는 때가 있다. 야간 섬망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골절, 수술, 화상 등의 신체적 질환, 알코올중독, 약물 부작용 등이 있다.
치매노인이 심하게 불안과 공포를 느끼는 경우 혼자 있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호시설의 경우에도 간병인이 옆에서 계속 관찰하여 사고방지에 노력해야 한다. 섬망상태 때에는 자극적인 소리나 빛은 피하고 조용한 환경에서 지내도록 배려한다. 불안이나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현실을 알려 주는 것도 중요하다. 예컨대 환각종상이 있을 때에는 그것이 무엇인지 상냥하게 물어 보면서 접근하고, 강한 직접조명에 의하여 그림자를 만드는 것은 되도록 피한다.
* 참고문헌
노년기 의미와 즐거움 : 에릭슨 저 / 한성열 역 / 2000 / 학지사
성인발달과 노화 : 정옥분 저 / 2001 / 교육과학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8.18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08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