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사업의 개념과 변화(변천과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육사업의 개념과 변화(변천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책에도 역점을 두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 수행에 대하여 보육사업의 발전을 위한 평가 차원에서의 비판적 논의가 일부 제기되기도 하지만 앞으로도 보육사업은 계속 활성화될 전망이다.
III. 아동복지정책으로서의 보육의 의의
1990년대 초 영유아보육법의 제정 이래 보육사업은 그동안 보호와 교육이라는 두 측면에서 유아교육과 많은 분쟁을 가지면서 그 나름대로 고유의 영역을 구축하면서 지속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어 왔다. 지난 10년 동안 한국보육의 성과는 영유아의 보호와 교육의 국가적 책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넓혀 왔다는 점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영유아보육의 국가책임에 대한 인식은 보육시설의 양적 측면에서 확대와 정부의 보육 예산 증액의 기저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보육시설 종사자와 부모, 전문학자들의 보육정책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도 기본적으로 영유아보육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나 교육인적자원부와 유아교육계에서는 1997년부터 주장해 온 유보일원화 정책. 즉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통합하여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관장하는 유아학교를 만들자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데, 특히 최근 유아교육법이 제정되고 보육정책이 여성부로 이관됨에 따라 유아교육과 보육과의 차이를 분명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보호와 교육이라는 측면에서의 보육에 관해 보육계조차도 그 정체성을 확고히 하지 못했고, 유아교육계보다는 교육 측면에서 부족하고, 보호 측면이 더욱 강한 시설이보육시설이라는 인식을 지니기도 해 더욱 보육에 관한 개념과 그 사업의 정체성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는데 우리나라 보육사업은 40여 년 전 탁아사업에서부터 시작되어 그 출발이 아동복지에 있음은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8.24
  • 저작시기201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13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