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소셜미디어
본론
1.소셜미디어와 정치
2.19대 대선 후보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결론
본론
1.소셜미디어와 정치
2.19대 대선 후보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결론
본문내용
지기도 했다. 또한 패러디 영상이나, TV 토론 명장면 등을 페이스 북에 공유하여 SNS가 가진 파급 효과를 똑똑하게 이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심상정 후보는 본인의 지지층과 활발히 소통하였고, 블로그를 공식적인 대화 매개체로 사용하여 SNS에 블로그 링크를 공유하는 모습도 자주 보였다. 타 후보들은 이용하지 않았던 매체인 인스타그램을 사용하기도 했다.
조사를 해보니 실제로 19대 대선 후보들이 다양한 루트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정치 활동은 시대에 발맞춘 전략이고, 상대적으로 정치에 무관심한 젊은 사람들의 관심을 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일방적인 것이 아닌 쌍방향으로 통하는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좋은 부분인 것 같다. 진정한 의미로써의 민주주의 실현에 한 발짝 다가서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를 통한 선거 운동은 그 정보의 신뢰성이 확실하지 않고, 또 너무 젊은 층에게만 한정 된 활동이라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정치인들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활동을 전개하는 동시에 소셜 미디어를 적절하고, 똑똑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결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페이스 북, 트위터,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미디어는 너무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삶 속에 스며들었다. 정말 다양한 분야에, 우리의 일상 곳곳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부분이 없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다.
사실 19대 대선 선거 유세를 보고, TV 토론 등을 보고, 투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가 많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은 못했던 것 같다. 그런데 막상 조사를 해보니 문재인 후보 같은 경우에는 50명이라는 대규모의 SNS팀을 따로 만들어 활동을 했을 만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선거 유세, 정치 활동이 국민들의 생각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소셜 미디어를 많이 이용한 결과라고 볼 수는 없지만 가장 SNS를 활발히 활용한 문재인 후보가 당선 된 것에 어느 정도 영향은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우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치적 접근이 쉽다고, 너무 SNS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맹신하지 않고 비판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국민들의 정치 참여의 장벽을 낮췄다는 부분에서 소셜 미디어의 역할이 아주 훌륭했다고 본다.
참고문헌
서정권, 김예원(2014), “소셜미디어 시대의 사회운동과 정당정치”, 한국정당학회보
조사를 해보니 실제로 19대 대선 후보들이 다양한 루트로 소셜 미디어를 활용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정치 활동은 시대에 발맞춘 전략이고, 상대적으로 정치에 무관심한 젊은 사람들의 관심을 쉽게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일방적인 것이 아닌 쌍방향으로 통하는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이 가장 좋은 부분인 것 같다. 진정한 의미로써의 민주주의 실현에 한 발짝 다가서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소셜 미디어를 통한 선거 운동은 그 정보의 신뢰성이 확실하지 않고, 또 너무 젊은 층에게만 한정 된 활동이라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정치인들은 다양한 방향으로의 활동을 전개하는 동시에 소셜 미디어를 적절하고, 똑똑하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결론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페이스 북, 트위터, 블로그, 인스타그램 등의 소셜 미디어는 너무 자연스럽게 사람들의 삶 속에 스며들었다. 정말 다양한 분야에, 우리의 일상 곳곳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부분이 없다는 사실은 알고 있었다.
사실 19대 대선 선거 유세를 보고, TV 토론 등을 보고, 투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셜 미디어가 많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은 못했던 것 같다. 그런데 막상 조사를 해보니 문재인 후보 같은 경우에는 50명이라는 대규모의 SNS팀을 따로 만들어 활동을 했을 만큼 소셜 미디어를 통한 선거 유세, 정치 활동이 국민들의 생각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물론 소셜 미디어를 많이 이용한 결과라고 볼 수는 없지만 가장 SNS를 활발히 활용한 문재인 후보가 당선 된 것에 어느 정도 영향은 있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우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정치적 접근이 쉽다고, 너무 SNS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맹신하지 않고 비판적인 시각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어쨌든 국민들의 정치 참여의 장벽을 낮췄다는 부분에서 소셜 미디어의 역할이 아주 훌륭했다고 본다.
참고문헌
서정권, 김예원(2014), “소셜미디어 시대의 사회운동과 정당정치”, 한국정당학회보
추천자료
[트위터]트위터(twitter)의 개념과 특성 및 장단점, 트위터 활용 사례와 이용 현황 및 향후 ...
소셜 네트워크 마케팅의 정의에 관한 연구
[소셜네트워크] 소셜네트워크 (SNS)의 현황, 활용 사례, 국내외 SNS 서비스 분석
농협은 21C 환경변화요인을 기회요인으로 발전시켜야 한다
소셜 네트워크와 마케팅
페이스북을 활용한 마케팅 - 미디어 경영
소셜커머스 발표 자료
[인지구조][인지][인지구조 요인인지과제][인지과정][인지적 재구성][상호작용]인지구조의 요...
크라우드 소싱 (Crowd Sourcing)
개인화서비스를 통한 마케팅 효과 극대화 및 비용절감 효과에 대한 연구 (연구목표와 필요성,...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의 개념 및 유형과 수익구조, 사례를 중심으로 한 소셜커머스의 ...
청소년 SNS 사용시간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연구가설, 가설검증, 설문지, 사회복지조사론)
(원격교육론)원격교육의 개념과 특성 현재 우리나라 교육에서의 역할 원격교육 개발 기술의 ...
원격교육론-(2)원격교육의 개념과 특성 현재 우리나라 교육에서의 역할 원격교육 개발 기술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