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검사도구의 제작 이유와 목적
2. 본론
2.1 만 3세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검사질문
2.2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질문의 내용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의 확보
2.3 만 3세 아동 A군의 사회적응능력 검사의 실시
3. 결론 - 평정척도 문항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참고자료
2. 본론
2.1 만 3세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검사질문
2.2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질문의 내용 타당도와 구인 타당도의 확보
2.3 만 3세 아동 A군의 사회적응능력 검사의 실시
3. 결론 - 평정척도 문항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사회적 기술과 자기 통제력에 대한 측정을 통해 유아의 사회적응력을 알아보는 평정척도 검사를 실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는 것이다. 특히 A군의 평정척도 검사를 통해 위에서 마련한 질문을 통한 검사가 ASQ-SE 척도 검사에서 보여 지는 검사 결과와 일부 같은 결과를 도출한 점은 이것이 구인 타당도 중에서 수렴 타당도를 가진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검사는 사회적응능력의 다양한 부문을 크게 둘로 나누어 두 부문의 하위 부문에 대한 질문들로 구성되었는데 이로 인해 사회적응능력의 보다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함께 측정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또한 사회적응능력은 다양한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하나의 질문을 통해 여러 구성요소들에 대한 능력을 평가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측정의 어려움이 남는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응 능력의 기준으로 평가되는 영역 중에는 만 3세의 유아가 이미 가지고 있는 기질적인 능력과 앞으로 성장 가능한 영역이 있어 이에 대한 구분이 이루어지고 평가와 측정의 방식을 달리하는 것을 통해 보다 더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사회적응능력이 만 3세의 유아에게서 이미 측정 가능한 것이며 이 시기에 유아의 사회적응력을 조사하는 것을 통해 아동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이 능력의 배양을 위해 주위 어른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또한 다양한 사회적응능력의 영역 중에서 특정 유아에게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영역에 대한 진단이 가능한 것은 그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를 통해 이상적으로 사회에 적응하는 성인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유아기는 아직 성장이 완벽하게 이루어 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회성의 발달이 시작되는 단계로 이 시기에 만들어진 사회적응력은 앞으로 유아가 성장하는 데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사회적응능력의 척도 검사를 통해 부족한 능력을 찾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부족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유아가 사회적응능력이 우수한 성인으로 성장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어른의 관심과 애정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자료
아동척도집 (이봉주 등 지음, 나눔의 집, 2015)
위기 청소년 사회적응력향상 프로그램 개발연구 (양미진, 2005)
그러나 이것은 사회적응능력이 만 3세의 유아에게서 이미 측정 가능한 것이며 이 시기에 유아의 사회적응력을 조사하는 것을 통해 아동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이 능력의 배양을 위해 주위 어른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또한 다양한 사회적응능력의 영역 중에서 특정 유아에게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영역에 대한 진단이 가능한 것은 그 분야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를 통해 이상적으로 사회에 적응하는 성인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유아기는 아직 성장이 완벽하게 이루어 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사회성의 발달이 시작되는 단계로 이 시기에 만들어진 사회적응력은 앞으로 유아가 성장하는 데에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사회적응능력의 척도 검사를 통해 부족한 능력을 찾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부족한 능력을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유아가 사회적응능력이 우수한 성인으로 성장시켜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하는 어른의 관심과 애정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자료
아동척도집 (이봉주 등 지음, 나눔의 집, 2015)
위기 청소년 사회적응력향상 프로그램 개발연구 (양미진, 2005)
추천자료
유아교육과=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3세의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검사도...
2018년 1학기 교육평가 중간시험과제물 A형(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2018년 1학기 교육평가 중간시험과제물 B형(만 3세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교육평가A형-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5세 유아의 ‘예술감수성’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
교육평가B형 (방송통신대 2018)-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3세의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
만3세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검사도구를 제작하시오
[전학과] 교육평가)아래 사항에 근거하여 만 3세의 유아의 ‘사회적응능력’ 평정척도 검사도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