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척수 손상의 정의
손상 원인에 따른 분류-일차적 손상, 이차적 손상
손상 정도에 따른 분류-완전 척수 손상, 불완전 척수 손상
손상 부위에 따른 분류-하지마비, 사지마비
2.병태생리
3.척수 손상의 원인
4.증상
5.합병증
1)욕창
2)배뇨 및 배변 장애
3)기립성 저혈압
4)폐렴 및 무기폐
6.진단검사
1)신경학적 검사
2)X-RAY
3)CT
4)척추 조영술
5)MRI
7.치료
(1)초기 치료
1)최초 응급 처치 및 이송
2)쇼크 상태의 유무 판단
3)호흡에 대한 처치
(2)후기 간호
1)척추 고정
2)운동치료
3)재활치료
4)약물 치료
5)정복
6)감압 및 불안정 분절의 고정
8.간호
1)기능의 유지
2)합병증 최소화
3)자가 간호를 위한 교육
4)사회로의 복귀
9.예방
10.참고문헌
손상 원인에 따른 분류-일차적 손상, 이차적 손상
손상 정도에 따른 분류-완전 척수 손상, 불완전 척수 손상
손상 부위에 따른 분류-하지마비, 사지마비
2.병태생리
3.척수 손상의 원인
4.증상
5.합병증
1)욕창
2)배뇨 및 배변 장애
3)기립성 저혈압
4)폐렴 및 무기폐
6.진단검사
1)신경학적 검사
2)X-RAY
3)CT
4)척추 조영술
5)MRI
7.치료
(1)초기 치료
1)최초 응급 처치 및 이송
2)쇼크 상태의 유무 판단
3)호흡에 대한 처치
(2)후기 간호
1)척추 고정
2)운동치료
3)재활치료
4)약물 치료
5)정복
6)감압 및 불안정 분절의 고정
8.간호
1)기능의 유지
2)합병증 최소화
3)자가 간호를 위한 교육
4)사회로의 복귀
9.예방
10.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2)부동으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 시킨다.
휠체어로 생활할 땐 최소 30분마다 압력을 제거하고, 2시간에 한 번 정도는 체위를 변경한다. 침대에서는 엎드려 있는 자세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피부를 자주 확인한다.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젖거나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3)자가 간호를 위해 새로운 기술, 지식, 행동을 배우고 습득하고 다른 사람에게 배운 것을 성공적으로 지도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저혈압이 나타나거나 부종이 생겼을 때, 그 외의 다른 증상이 나타났을 때 이를 완화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그리고 교육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가 직접 시범을 보이도록 한다.
4)최대 수준의 기능으로 집이나 사회로 돌아가게 한다.
대상자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최대 수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9.예방
척수 손상은 대부분이 외상으로 인해 유발되므로, 외상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10.참고문헌
질병관리본부(KCDC) 국가건강정보포털 - ‘척수 손상’
EBS동영상 명의 ‘마비와의 전쟁, 최전선에 서다-정형외과 전문의 장 한 교수’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2)부동으로 인한 합병증을 최소화 시킨다.
휠체어로 생활할 땐 최소 30분마다 압력을 제거하고, 2시간에 한 번 정도는 체위를 변경한다. 침대에서는 엎드려 있는 자세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피부를 자주 확인한다. 피부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젖거나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한다.
3)자가 간호를 위해 새로운 기술, 지식, 행동을 배우고 습득하고 다른 사람에게 배운 것을 성공적으로 지도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저혈압이 나타나거나 부종이 생겼을 때, 그 외의 다른 증상이 나타났을 때 이를 완화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그리고 교육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가 직접 시범을 보이도록 한다.
4)최대 수준의 기능으로 집이나 사회로 돌아가게 한다.
대상자가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최대 수준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9.예방
척수 손상은 대부분이 외상으로 인해 유발되므로, 외상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10.참고문헌
질병관리본부(KCDC) 국가건강정보포털 - ‘척수 손상’
EBS동영상 명의 ‘마비와의 전쟁, 최전선에 서다-정형외과 전문의 장 한 교수’
간호학대사전, 대한간호학회, 1996. 3. 1., 한국사전연구사
추천자료
척수외상 spinal cord injury
척수성근위축증이란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최신지견
(간호) 성인간호학 의학용어, 혈액*소변검사, 정형외과
척수조직의 관찰
뇌염&뇌척수염 Case 입니다
척수성근위축증 (Spinal Muscular Dystrophy : SMD)
[성인간호학 공통] 1) 바이러스성 간염을 유발하는 5가지 간염바이러스 구분, 각각의 감염경...
[아동간호학] 신생아실,소아청소년과 실습보고서
울혈성심부전 case study - 성인간호학 실습 컨퍼런스 만점 자료
[2017년 성인간호학] 1. 암환자 영양상태 평가 관찰 신체계측법 활용, 관찰 항목, 신체계측법...
암환자 영양상태평가 위해 관찰 신체계측법 활용. 관찰할 항목. 신체계측법별 절차 정상치 / ...
[2017년 3학년1학기 방송통신대학교] 고위험모아간호학
[간호학] 유아기 질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