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최신지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통증관리에 대한 최신지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통증의 정의와 간호사의 역할
2. 통증의 종류
3. 통증관리 요법
1) 기초적인 통증 관리
2) 약물요법
3) 수술요법
4) 침술요법(Acupuncture)
5) 비약물적 요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극(TENS :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 기전 : 관문통제설에 이론적 근거를 둠
- 전극을 통해 약한 전류를 피부에 통과시켜 통증 완화, 혈류증진, 근육이완, 치유과정 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
- 만성요통, 무릎관골 수술 후 통증, 환상지통, 단단통(stump pain), 류마티스성 관절 염, 말초 신경통, 복부 수술후 절개부위 통증 등에 효과적임.
- 장점 : 비침습적이고 안전함 부작용이 거의 없음.
- 주의사항 : 임신부, 심장박동기 사용자, 목 부위(인두후두 경련 우려), 경동맥동(서 맥 우려)부위, 절개선, 피부자극 부위는 피해야 함.
- 중재 : 피부자극 예방을 위해 전극을 매일 일정기간 떼어 내며, 피부를 잘 씻고 말림.
② 척수 전기자극(DCS : dorsal column stimulation, SCS : spinal cord stimulation)
- 척수 자극기에 의한 통증 치료의 기전으로, 단순히 척수의 뒷부분을 자극하여 통증 전 달을 차단시키는 것.
③ 심부 뇌자극
(15) 광선치료
① 수퍼라이저치료(Superlizer Thraphy) : 일본에서 개발되어, 광선치료중 가장 심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치료(요통, 좌골신경통, 늑간신경통, 관절통에 효과적).
② 저출력 레이저치료(Low Level LASER Theraphy : LLIT)
- 진통, 항염, 부종감소, 조직증식작용에 효과적
- 금기 : 눈에 조사하는 것(실명), 악성종양환자급성세균성 환자(세포증식 촉진), 임 신.
(16) 자기치료 : 자기장을 치료에 이용하는 방법.
① 종류 : 지속적 정적 자기장, 맥동 자기장 치료
② 인대근육 손상에 의한 통증, 신경통, 배부통, 두통 등에 효과적임.
③ 기전 : 항염증반응, 손상된 신경의 회복.
④ 장점 : 비침습적, 부작용이 없음 →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
(17) 고주파 열 응고법(High frequency thermocoagulation)
① 고주파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신경조직을 응고시키는 방법으로 고주파열응고기 사용.
② 장점 : 전극 끝의 온도와 응고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선택적인 신경차단이 가능하고, 바 늘 끝의 위치도 시험적인 전기자극을 행하여 정확하게 알 수 있음.
③ 종류 : 삼차신경절의 열 응고법, 척수신경의 열 응고법, 척수신경 후지의 열 응고법
(18) 팀 접근 방식과 통증 치료실(pain clinic)의 이용
① 구성 : 의사(내과전문의, 통증전문가, 외과의, 정신과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 작 업치료사, 사회사업가, 심리학자, 작업재활 담당자 등
② 건강력, 신체검진, 심리평가를 통해 치료를 시작하고 심리상담, 생리적 회환법, TENS, 침술, 투약, 신경차단 등 다양 한 방법을 통하여 환자의 특성에 맞게 적절히 사용.
③ 대상자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새로운 삶의 형태를 배울 수 있음.
④ 진통제 사용을 줄이고, 정상생활로 회복하도록 노력하며 긍정적 자아상을 갖도록 함.
⑤ 통증이 있는 말기 암 환자와 가족을 돕기 위한 호스피스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음.
⑥ 간호사의 책임 : 환자사정, 관찰기록, 치료방법의 개발과 유지, 환자와 가족에 대한 정서적 지지의 제공, 환자교육 등.
Ⅲ. 결론
통증은 예나 지금이나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우리가 일상 생활을 해 나가면서 언제든지 경험 할 수 있는 것이며, 누구나 한번쯤은 당연히 겪어 보았을 고통이다. 또한 우리는 주변에서 만성 또는 급성 통증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았을 것이다. 통증은 그것을 직접 겪는 사람뿐만이 아니라, 주위에서 통증으로 고생하는 사람을 바라보는 가족과 친구들에게까지 고통의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동안 나는 통증에 고생하는 주위 사람들을 봐 왔으면서도 오로지 약물로만 해결하려는 생각을 가졌을 뿐, 다른 방법들은 생각해 보지도, 생각 할 수도 없었다. 하지만 수업시간에 배운 통증 관리법과 이번 레포트를 통해서 오로지 약물로만 의존하지 않아도 통증을 얼마든지 완화하거나 제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는 이번 레포트의 중점을 비 약물적인 관리 방법에 맞추었다. 약물적인 요법에 대해 간단히 조사한 뒤, 비 약물적인 것에 대해 서적을 찾아가며 하나하나 공부해 나갔다. 이완요법, 마사지, 아로마 요법 등에 대해 공부할 수 있었는데, 처음부터 약물로 다스리기 보다는 이러한 비약물적인 요법들을 적절히 병행하여 효과적인 통증관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비 약물적인 요법들의 효과는 즉시, 일순간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사실과 이런 것들을 조용한 환경에서 시행하여 심리적 안정을 주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특히 평소에 아로마 치료법에 대해 관심이 많았었는데, 이완요법과 아로마 오일을 사용한 마사지를 통한 관리가 기억에 남는다. 이런 것들을 사소한 방법이라고 치부하여 쉽게 간과할 수도 있지만, 신체적 통증으로 인한 심리적 통증을 다스려 신체의 통증을 완화 할 수 있다면 약물의 독성과 내성에 대한 폐해를 예방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물론 적절한 약물요법이 독성이나 내성을 만든다는 것이 아니다. 다만 적절하고 올바른 약물요법과 비 약물적인 요법을 병행 한다면, 최상의 통증 경감의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번 레포트를 통해 통증 관리에 대해 편협한 생각을 해왔던 나를 반성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아로마 테라피나 그 이외의 치료법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갖 을 수 있었던 것 같다. 훗날 내가 의료인이 되었을 때, 통증으로 고생하는 나의 대상자를 위해 적절한 관리법을 시행할 수 있도록 더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
Ⅳ. 참고문헌
▶ 대한 통증 연구학회-대한통증 연구학회지[통증]제 8권 대체의학적 통증관리 / 오흥근
▶ 통증의학 /
▶ 호스피스 / 수문사 / 김옥라
▶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통증조절과 간호중재/ 이원희
▶ 호스피스와 죽음 / 현문사 / 노유자 외 3명
▶ 기본간호학 下 / 현문사 / 손영희 외 5명
▶ 성인간호학 1<제2판> / 현문사 / 김조자 외17명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06.15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550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