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을 조사하라.
2. 국내 쌀 재배관리 중 병해충방제 현황을 조사하라.
Ⅰ. 서 론
Ⅱ. 본 론
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
1)우리나라 벼 생산 및 소비현황
2)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
2. 국내 쌀 재배관리 중 병해충방제 현황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2. 국내 쌀 재배관리 중 병해충방제 현황을 조사하라.
Ⅰ. 서 론
Ⅱ. 본 론
1.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
1)우리나라 벼 생산 및 소비현황
2)전 세계 벼 생산 및 소비현황
2. 국내 쌀 재배관리 중 병해충방제 현황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남 일부지역에서 발생이 늘어나고 있다. 먹노린재는 이삭도열병과 유사 한 증상을 이삭에서 일으키는데, 유숙기에 벼를 말라 죽게 하거나 쭉정이로 만들어 생산량 감소 쌀 품질의 원인이 된다. 먹노린재가 보이기 시작하면 먼저 논물을 빼고 해질 무렵 적용약제를 살포한다. 작은 충격이나 소리에도 민감해 줄기 속이나 물속으로 숨는 습성이 있어 방제하기 까다로우므로 특별힌 주의해서 방제에 나서야 한다. 먹노린재의 순밀도를 줄이기 위해 산란 전 방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본 논으로 이동하는 6월 하순에서 7월 상순까지는 방제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큰 피해를 보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벼의 재배 과정에서 최근 특히 문제가 되는 병해충들을 중심으로 농가에서의 방제 대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개별 농가의 방제 지원을 위해 방제농약 지원 사업 등을 비롯해 다양한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드론이나 무인헬기 등을 통한 공동방제가 활성화되고 있다.
무인헬기 방제는 지상 3~5m 저고도에서 농약을 살포해 약제 침투 및 방제 효과가 높은 방법이다. 무인헬기 방제의 장점은 헬기 1대당 하루 평균 30ha의 방제가 가능해, 무인헬기만으로 한 마을의 방제 작업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밖에 각 지자체는 병충해 방제 후에도 병해충 예찰방제 상황실 운영을 통해, 현장 기동예찰 및 농가지도를 강화하고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한편, 기후변화에 의한 지구온난화는 농업생태계에서 재배작물과 병해충 양쪽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돌발병해충이나 검역병해충 등의 방제에도 새로운 대응이 요구된다. 즉, 기온의 상승과 함께 아열대 지역의 북상에 따라 병해충의 서식지도 함께 이동해 병해충의 분포지역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해외에서 침입한 병해충이 동계 저온일수 등의 월동 가능조건이 충족되면 국내에 정착하게 되어 새로운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태동향의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의 축척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Ⅲ. 결 론
지금까지 본론에서 살펴본 대로 세계 3대 작물 중 하나인 벼는 우리의 주요 식량자원으로써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조금씩 생산량과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다소 감소세가 주춤하지만 식량자원 또한 무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쌀 생산량 감소는 우려할 만하다. 물론 벼 생산 과정에서 수많은 병충해를 예방하는 투자에 비해 제자리 수준인 쌀 가격을 고려하면, 정부의 정책을 따라 작물을 바꾸는 것이 농가 입장에서는 합리적일 수 있다. 그러나 식량자급률은 OECD 국가 최하위권이고, 쌀 자급률마저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식량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정부는 병충해방제뿐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쌀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통계청 kostat.go.kr
유엔식량농업기구 한국협회 www.fao.or.kr
한국농업신문 www.newsfarm.co.kr
농업경제신문 www.thekpm.com
지금까지 벼의 재배 과정에서 최근 특히 문제가 되는 병해충들을 중심으로 농가에서의 방제 대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개별 농가의 방제 지원을 위해 방제농약 지원 사업 등을 비롯해 다양한 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드론이나 무인헬기 등을 통한 공동방제가 활성화되고 있다.
무인헬기 방제는 지상 3~5m 저고도에서 농약을 살포해 약제 침투 및 방제 효과가 높은 방법이다. 무인헬기 방제의 장점은 헬기 1대당 하루 평균 30ha의 방제가 가능해, 무인헬기만으로 한 마을의 방제 작업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밖에 각 지자체는 병충해 방제 후에도 병해충 예찰방제 상황실 운영을 통해, 현장 기동예찰 및 농가지도를 강화하고 병해충 피해를 최소화하는 노력도 병행하고 있다.
한편, 기후변화에 의한 지구온난화는 농업생태계에서 재배작물과 병해충 양쪽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돌발병해충이나 검역병해충 등의 방제에도 새로운 대응이 요구된다. 즉, 기온의 상승과 함께 아열대 지역의 북상에 따라 병해충의 서식지도 함께 이동해 병해충의 분포지역이 확대될 수 있다. 또한 해외에서 침입한 병해충이 동계 저온일수 등의 월동 가능조건이 충족되면 국내에 정착하게 되어 새로운 피해를 줄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태동향의 모니터링을 통해 데이터의 축척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Ⅲ. 결 론
지금까지 본론에서 살펴본 대로 세계 3대 작물 중 하나인 벼는 우리의 주요 식량자원으로써의 위치에도 불구하고 조금씩 생산량과 소비량이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다소 감소세가 주춤하지만 식량자원 또한 무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쌀 생산량 감소는 우려할 만하다. 물론 벼 생산 과정에서 수많은 병충해를 예방하는 투자에 비해 제자리 수준인 쌀 가격을 고려하면, 정부의 정책을 따라 작물을 바꾸는 것이 농가 입장에서는 합리적일 수 있다. 그러나 식량자급률은 OECD 국가 최하위권이고, 쌀 자급률마저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식량주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도 정부는 병충해방제뿐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쌀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통계청 kostat.go.kr
유엔식량농업기구 한국협회 www.fao.or.kr
한국농업신문 www.newsfarm.co.kr
농업경제신문 www.thekpm.co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