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태극권의 유래
2. 태극권의 종류(유파)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Ⅱ 본론
1. 태극권의 유래
2. 태극권의 종류(유파)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방시공(東方時空)”이란 내용으로 태산(泰山)의 정상에서 태극권을 수련하는 영상이 나왔으며 “천인합일(天人合一)”하여 웅장하고 거대한 장관이 펼쳐졌다. 이 투로(套路)는 총 15식이며 그 가운데 진식태극권 4개 동작으로 도대식(搗式), 람찰의(攬衣), 여봉사폐(如封似閉), 엄수굉추(掩手肱)와 양식태극권 7개 동작으로 단편(單鞭), 백학량시(白鶴亮翅), 수휘비파(手揮琵琶), 도권굉(倒卷肱), 루슬요보(膝拗步), 야마분종(野馬分), 람작미
(攬雀尾)와 무식태극권 1개 동작으로 운수(云手), 손식태극권 1개 동작으로 좌우기각(左右起脚)과 오식태극권을 합일(合一)하였고 하세독립(下勢獨立)과 양식태극권을 합일(合一) 삼재식(三才式:수세(收勢)이 있다. 전 투로의 동작은 2개의 단(段)으로 나누어졌으며, 제1단은 굳세고 강하며 동작은 부드러우면서도 강하고 제2단은 부드러우면서 천천히 펼치고 기세(起勢)를 속으로 품어야 한다. 한 개의 투로는 3분간 좌우로 연습하며 반복 연습해야 한다.
저자는 동악태극권이 사람들로 하여금 동작과 산세(山勢)가 하나로 녹아 융합하고 중국인의 정기(正氣)가 자연스럽게 모아질 수 있도록 만들었다. 신체의 상태는 단정하고 태연(泰然)하며, 동작은 편안하게 크게 펼치고, 기세(起勢)를 속으로 품어야하며, 뼈의 마디마디가 따라야하고 정확하면서도 움직임은 힘이 느껴져야 한다. 자신을 1개의 소우주(小宇宙)라고 생각하고 산과 강은 담력과 기백이 넘쳐나야 한다.
11) 태극홀뢰가(太極忽雷架)
진청평(陳靑萍1795∼1868)이 전한 소가태극권을 이경연(李景延:1825∼1893)이 새롭게 정리하여 만들었다. 이 태극권은 운동과정 가운데 손과 신체가 갑자기 일어나거나 홀연히 떨어지고 갑자기 부드럽거나, 갑자기 강하고, 빠르게 흔들며, 갑작스러운 번개와 같이 강경(剛勁)이 정교하게 전신을 부들부들 떨며, 양발을 누르며 마찰할 때 소리가난다고 이름이 지어졌다. 태극홀뢰가 1투는 78식으로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들어가게 해주고 일연(一聯), 이권(二圈), 삼신전(三身轉), 사분(四分), 오경(五勁), 육을절(六節) 등의 10개의 연습 방법이 있다. 초보자가 먼저 간단하게 직선동작으로 나중에는 원을 그리고 일권통백지(一圈統百指)로 단계 단계로 변하며 수준을 높여준다. 발경(發勁) 동작이 없는 독특한 한 종류의 태극권으로 내외를 겸해서 수련하고 부드러우면서도 빠르고 강한 태극권 투로이다.
Ⅲ 결론 및 의견
태극권(太極拳)은 무술(武術)로 출발하여 육체적 운동뿐만 아니라 정신수양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어 ‘움직이는 선(動禪: Moving Zen)’이라고 불리며,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초래되는 현대인의 각종 성인병과스트레스로부터 심신(心身)을 수양할 수 있는 수련법 이다. 한편 태극권은 스포츠로도 그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2010년의 광저우 아세안게임에서 우슈의 금메달은 15개나 되었다. 이는 국제적인 스포츠로 국가의 위상에도 그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태극권이 전쟁에서 서로 몸을 부딪쳐 싸우는 단병전을 통하여 전투력 강화를 위한 무술로서 발전하였으나 서구의 문화가 급속하게 들어오면서 양생술로 변화한 무술성과 보건성, 그리고 미학적인 부분까지 포함된 현대인의 새로운 건강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고영근(2005). 고교수의 태극권 특강. 세종출판사.
이찬(2003). 태극권 비결. 서울: 하남출판사
박종구(2001). 밝은빛 태극권. 정신세계사.
박종구(2004). 태극권의 원리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지헌(2011).태극권의 국내 유입과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攬雀尾)와 무식태극권 1개 동작으로 운수(云手), 손식태극권 1개 동작으로 좌우기각(左右起脚)과 오식태극권을 합일(合一)하였고 하세독립(下勢獨立)과 양식태극권을 합일(合一) 삼재식(三才式:수세(收勢)이 있다. 전 투로의 동작은 2개의 단(段)으로 나누어졌으며, 제1단은 굳세고 강하며 동작은 부드러우면서도 강하고 제2단은 부드러우면서 천천히 펼치고 기세(起勢)를 속으로 품어야 한다. 한 개의 투로는 3분간 좌우로 연습하며 반복 연습해야 한다.
저자는 동악태극권이 사람들로 하여금 동작과 산세(山勢)가 하나로 녹아 융합하고 중국인의 정기(正氣)가 자연스럽게 모아질 수 있도록 만들었다. 신체의 상태는 단정하고 태연(泰然)하며, 동작은 편안하게 크게 펼치고, 기세(起勢)를 속으로 품어야하며, 뼈의 마디마디가 따라야하고 정확하면서도 움직임은 힘이 느껴져야 한다. 자신을 1개의 소우주(小宇宙)라고 생각하고 산과 강은 담력과 기백이 넘쳐나야 한다.
11) 태극홀뢰가(太極忽雷架)
진청평(陳靑萍1795∼1868)이 전한 소가태극권을 이경연(李景延:1825∼1893)이 새롭게 정리하여 만들었다. 이 태극권은 운동과정 가운데 손과 신체가 갑자기 일어나거나 홀연히 떨어지고 갑자기 부드럽거나, 갑자기 강하고, 빠르게 흔들며, 갑작스러운 번개와 같이 강경(剛勁)이 정교하게 전신을 부들부들 떨며, 양발을 누르며 마찰할 때 소리가난다고 이름이 지어졌다. 태극홀뢰가 1투는 78식으로 쉬운 것에서 어려운 것으로 들어가게 해주고 일연(一聯), 이권(二圈), 삼신전(三身轉), 사분(四分), 오경(五勁), 육을절(六節) 등의 10개의 연습 방법이 있다. 초보자가 먼저 간단하게 직선동작으로 나중에는 원을 그리고 일권통백지(一圈統百指)로 단계 단계로 변하며 수준을 높여준다. 발경(發勁) 동작이 없는 독특한 한 종류의 태극권으로 내외를 겸해서 수련하고 부드러우면서도 빠르고 강한 태극권 투로이다.
Ⅲ 결론 및 의견
태극권(太極拳)은 무술(武術)로 출발하여 육체적 운동뿐만 아니라 정신수양법으로서 활용할 수 있어 ‘움직이는 선(動禪: Moving Zen)’이라고 불리며,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해 초래되는 현대인의 각종 성인병과스트레스로부터 심신(心身)을 수양할 수 있는 수련법 이다. 한편 태극권은 스포츠로도 그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2010년의 광저우 아세안게임에서 우슈의 금메달은 15개나 되었다. 이는 국제적인 스포츠로 국가의 위상에도 그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태극권이 전쟁에서 서로 몸을 부딪쳐 싸우는 단병전을 통하여 전투력 강화를 위한 무술로서 발전하였으나 서구의 문화가 급속하게 들어오면서 양생술로 변화한 무술성과 보건성, 그리고 미학적인 부분까지 포함된 현대인의 새로운 건강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고영근(2005). 고교수의 태극권 특강. 세종출판사.
이찬(2003). 태극권 비결. 서울: 하남출판사
박종구(2001). 밝은빛 태극권. 정신세계사.
박종구(2004). 태극권의 원리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지헌(2011).태극권의 국내 유입과 발전과정에 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추천자료
[고무] 『천연고무(개요, 유래, 종류 및 특성, 제조공정 및 활용, 현황, 발전방향 등)』에 대...
식품과 영양의 정의와 종류 및 유래, 특징, 분류, 효소, 제법, 갈변, 냄새, 색소, 맛, 활용도...
우리나라 장 종류와 유래 및 특징, 제법, 역사, 활용도, 과정, 효능 조사분석
오징어 먹물 두부의 제조 및 화학적 품질 특성, 종류와 유래 및 특징, 제법, 역사, 활용도, ...
일본 낫토토(なっとう=納豆) 정의와 종류와 및 특징, 기원, 유래, 낫토를 이용한 퓨전요리, ...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 방안에 대하여 조사
식중독의 종류와 증상 및 대처방안에 대하여 조사하시오.
우리지역의 아동복지시설에 대하여 조사하고 아동복지시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시...
[키스kiss에 대하여] 키스의 정의, 키스 유래, 키스 종류, 키스 효능 및 키스 팁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의 정의, 평가의 과정, 평가방법의 종류 및 장단점에 대하여 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