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얼굴 관찰하기
- 유아가 자신을 탐색표현하고,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맥락에서 다시 표현하고, 여러 가지 매체를 사용하여 신체의 부분을 다양하게 표상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자아를 발견해 나간다.
확장 활동
① 감정과 뇌를 관계지어 점토로 표상하기
- 행복한 뇌, 화난 뇌, 아무런 생각이 없는 뇌 등
② 감정과 손을 관련지어 손 모양을 따라 그리며 그림으로 표상하기
- 화난 손은 구부러지지, 슬픈 손은 닫혀있어, 행복한 손은 활짝 열려있다 등
Ⅲ. 결론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은 기록과 공동 작업을 통해 유아들이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과 문화를 인식하고, 연구하고, 표현하는 힘을 일깨워 줄 수 있는 활동을 교사가 어떻게 준비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들은 생각하는 힘을 건설해 나아갈 ‘통합된 어린이’를 길러낸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발현적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레지오 접근법의 무조건적인 수용보다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실질적인 방법을 연구해보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김은희「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해와 현장 적용」, 창지사, 2010
2.김혜경「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창지사, 2010
- 유아가 자신을 탐색표현하고, 다른 사람과 비교하는 맥락에서 다시 표현하고, 여러 가지 매체를 사용하여 신체의 부분을 다양하게 표상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자아를 발견해 나간다.
확장 활동
① 감정과 뇌를 관계지어 점토로 표상하기
- 행복한 뇌, 화난 뇌, 아무런 생각이 없는 뇌 등
② 감정과 손을 관련지어 손 모양을 따라 그리며 그림으로 표상하기
- 화난 손은 구부러지지, 슬픈 손은 닫혀있어, 행복한 손은 활짝 열려있다 등
Ⅲ. 결론
레지오 에밀리아 프로그램은 기록과 공동 작업을 통해 유아들이 그들을 둘러싸고 있는 자연과 문화를 인식하고, 연구하고, 표현하는 힘을 일깨워 줄 수 있는 활동을 교사가 어떻게 준비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들은 생각하는 힘을 건설해 나아갈 ‘통합된 어린이’를 길러낸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발현적 교육과정을 운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레지오 접근법의 무조건적인 수용보다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실질적인 방법을 연구해보고, 적용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김은희「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의 이해와 현장 적용」, 창지사, 2010
2.김혜경「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창지사,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