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서관의 약사
2. 조선시대의 도서관 배경
3. 조선시대의 도서관의 성격
4. 조선시대 도서관 종류 간략정리
5. 조선시대 도서관의 종류
2. 조선시대의 도서관 배경
3. 조선시대의 도서관의 성격
4. 조선시대 도서관 종류 간략정리
5. 조선시대 도서관의 종류
본문내용
소장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9) 성균관,존경각
존경각은 성균관 부속 도서관이었으며 오늘날의 대학 도서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 비서사
연산군 12년 (1506)내출 서적의 이장처였다. 내출 서적이란 왕이 불필요한 도서를 따로 보관토록한 경우의 도서라 추측됩니다
11) 문서루 ,문서고
승문원과 유사한 성격의 각 기관이 별도로 문서 보관을 위하여 설치하였던 장소.
12) 세손 강서원, 춘방
춘방은 왕세손을 모시고 강의하던 일을 맡아보던 곳으로 많은 량의 장서가 소장되었습니다.
13) 장서각 및 규장각
장서각은 원래 조선시대의 왕립 도서관이었다. 즉 집현전, 홍문관과 같은 왕립 학술기관의 부속 도서관 성격을 갖는 기관이었던 것이다. 그 후 정조 때 들어서 장서각은 그 명칭을 규장각으로 바꾸었다. 규장각은 정조 원년(1777)에 교서관까지 예속시켜 인쇄 ,출판 업무까지도 관장하였다. 정조 5년(1781)에는 규장각 소장의 도서목록인 "규장각 총목"이 완성되었는데 당시 규장각의 총장 서수는 4만 여권에 달했으며 경-사 -자-집의 4부로 분류했습다. 이외에도 궁내에는 봉모당, 주합루, 망묘루 문헌각, 옥당등의 장서보관처가 있었다.
9) 성균관,존경각
존경각은 성균관 부속 도서관이었으며 오늘날의 대학 도서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 비서사
연산군 12년 (1506)내출 서적의 이장처였다. 내출 서적이란 왕이 불필요한 도서를 따로 보관토록한 경우의 도서라 추측됩니다
11) 문서루 ,문서고
승문원과 유사한 성격의 각 기관이 별도로 문서 보관을 위하여 설치하였던 장소.
12) 세손 강서원, 춘방
춘방은 왕세손을 모시고 강의하던 일을 맡아보던 곳으로 많은 량의 장서가 소장되었습니다.
13) 장서각 및 규장각
장서각은 원래 조선시대의 왕립 도서관이었다. 즉 집현전, 홍문관과 같은 왕립 학술기관의 부속 도서관 성격을 갖는 기관이었던 것이다. 그 후 정조 때 들어서 장서각은 그 명칭을 규장각으로 바꾸었다. 규장각은 정조 원년(1777)에 교서관까지 예속시켜 인쇄 ,출판 업무까지도 관장하였다. 정조 5년(1781)에는 규장각 소장의 도서목록인 "규장각 총목"이 완성되었는데 당시 규장각의 총장 서수는 4만 여권에 달했으며 경-사 -자-집의 4부로 분류했습다. 이외에도 궁내에는 봉모당, 주합루, 망묘루 문헌각, 옥당등의 장서보관처가 있었다.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향교,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성균관,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종학, 조선시...
[생물학 레포트 - 독후감] 조선시대의 성풍습
(A+레포트) 조선시대 법의 특징 및 현대시대 법과의 차이 비교분석과 세종대왕의 법인식과 사...
역사 레포트-16세기 이후의 조선시대
[불교, 삼국시대 불교, 남북국시대 불교, 고려시대 불교, 조선시대 불교, 현대시대 불교, 삼...
영화 광해에대하여 작성한 영어레포트입니다. 줄거리및 인물소개와 조선시대관련내용
정조 인물관련 레포트-내가 선정한 조선시대 제22대 왕인 정조
간호의역사 레포트 나이팅게일의 간호에 대한 공헌도 조선시대 의녀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