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간호력 ---------------------------------------------- P. 1
2. 질병기술 -------------------------------------------- P. 2
3. 진단적 검사 ---------------------------------------- P. 5
4. 투약 ------------------------------------------------ P. 10
5. 간호과정 ------------------------------------------- P. 12
5.1. 피부손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5.2. 외상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6. 참고문헌 ------------------------------------------- P. 17
7. 치료적 의사소통 ---------------------------------- P. 18
2. 질병기술 -------------------------------------------- P. 2
3. 진단적 검사 ---------------------------------------- P. 5
4. 투약 ------------------------------------------------ P. 10
5. 간호과정 ------------------------------------------- P. 12
5.1. 피부손상과 관련된 급성 통증
5.2. 외상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6. 참고문헌 ------------------------------------------- P. 17
7. 치료적 의사소통 ---------------------------------- P. 18
본문내용
게 대상자가 열감을 호소하더라도 너무 오래 얼음을 대고 있으면 안된다고 교육해주었다.
평 가:
(기대되는결과)
대상자는 내원 4시간 만에 통증의 양상과 정도를 말로 표현하였다.
대상자는 교육 후 2시간 후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통증관리 전략에 대해 말하였다.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통증 척도가 2점이라고 말하였다.
#2. 외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Facial Injury- Lt. forehead laceration (6cm)- Lt. cheek laceration (8cm)
V/S - BT 36.7
-------------------------------------------------------------------------------------------------------------------------------------------------------------------
진단검사
WBC 9.63
Albumin 3.2
Seg. neutrophils 60.1
Lymphocyte 32.2
Monocyte 6.2
Eosinophil 0.7 ▼
Basophil 0.8
ANC 5.79
ESR 4
D-dimer : FEU 2.40 ▲
T. protein 6.2
CRP 정량 : 2.1
-------------------------------------------------------------------------------------------------------------------------------------------------------------------
간호진단
외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감염 위험성 : 병원체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상태
목 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가 없을 것이다.▶ 대상자는 활력징후가 퇴원 시까지 정상일 것이다. (감염 시 체온 상승)▶ 대상자의 상처에서 발적, 부종, 발열, 삼출물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의 백혈구 수치가 퇴원 시까지 정상일 것이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개방 상처와 찰과상 등의 감염 위험요소의 존재와 과거력을 사정한다.
이러한 상황은 신체의 첫 번째 정상 방어선이 파괴되었음을 의미한다.
대상자의 얼굴 두 군데에 열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Lt. forehead laceration (6cm)- Lt. cheek laceration (8cm)
10년 이내 파상풍 접종률 無
체중 감소와 혈청 알부민을 포함한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영양 부족 상태의 대상자는 무력하거나 병원균에 대한 세포면역반응을 발휘할 수 없어 감염에 더욱 취약하다.
대상자의 체중 감소와 혈액검사 수치를 monitoring 하였다.
대상자의 체중 변화는 없었다.
혈액검사 검사 수치 관찰, 기록
검사수치
결과
Albumin
3.2
-
T. protein
6.2
-
malnutrition 상태는 아니지만, 정상의 커트라인에 걸려있어 malnutrtion 위험군에 속한다.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수치를 기록한다.
백혈구 수의 증가는 병원균의 침입을 의미한다.
정상 백혈구 수치는 4,000 - 11,000/mm³ 이다.
심하게 낮은 백혈구 수치는 감염원 저항이 낮아지므로 감염 위험을 나타낸다.
대상자의 WBC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수치를 기록하였다.날짜
검사수치
결과
03/27
9.63
정상
감염 징후를 사정한다.
발적, 부종
체온상승
화농성 분비물/배액
국소 발적, 열감, 부종, 통증, 화농성 삼출물은 감염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감염의 징후를 사정하였다.
외상 부위에는 발적과 부종은 살짝 보였으나 화농성 삼출물은 나타나지 않았다.
체온의 유의미한 상승이 보이지 않았다.BT d d d 시간
검사수치
10AM
36.2
11AM
36.4
MD
36.2
1PM
37.1
2PM
36.8
봉합 부위 dressing을 관찰한다.
상처 봉합 부위를 dressing 하며 화농성 배액물이 없는지 관찰하였다.
종류 : semiocculusive(반폐쇄),
방법 : 상처 세척 후 wet dressing
형태 : cover
재료 : gauze
드레싱 교환, 상처 관리 등의 상황에서 무균법을 유지하도록 한다.
무균법의 사용은 병원균의 전파 및 전염의 기회를 줄인다.
드레싱 교환, 삼출물 확인할 때 등 대상자의 상처부위를 접촉하는 상황에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을 끼고 무균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돌봄제공자 모두에게 손 씻기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손 씻는 것은 신체의 한 부위로부터 병원균이 다른 부위로 전파되는 위험성을 줄여준다. - 일회용 장갑을 사용한다고 해서 손 씻기의 필요성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대상자에게 다가갈 때 손에 있는 세균이 혹시나 상처에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손을 씻고 들어갈 것을 권유하였다.
처방에 따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고 파상풍 예방접종을 한다.
항생제는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시킨다.- 균 배양이 불가능한 경우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인 Cefazoline과 Yamatetan을 투여하였다.
대상자에게 파상풍 예방을 위하여 Hypertet을 접종하였다.
평 가:
(기대되는결과)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유의한 체온의 상승이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상처에서 감염의 증상(발적, 부종, 발열, 삼출물)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의 백혈구 수치가 퇴원 시까지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6. 참고문헌
- 김금순, 최경옥 외 공저. (2015). 일곱 번째 성인간호학Ⅱ. 경기도 파주시 : 수문사.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in/healthInfoMain.do
- Kims 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 Meg Gulanick, Judith L. Myers.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 차영남 외 13명 공저. (2013). 제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 현문사.
평 가:
(기대되는결과)
대상자는 내원 4시간 만에 통증의 양상과 정도를 말로 표현하였다.
대상자는 교육 후 2시간 후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통증관리 전략에 대해 말하였다.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통증 척도가 2점이라고 말하였다.
#2. 외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Facial Injury- Lt. forehead laceration (6cm)- Lt. cheek laceration (8cm)
V/S - BT 36.7
-------------------------------------------------------------------------------------------------------------------------------------------------------------------
진단검사
WBC 9.63
Albumin 3.2
Seg. neutrophils 60.1
Lymphocyte 32.2
Monocyte 6.2
Eosinophil 0.7 ▼
Basophil 0.8
ANC 5.79
ESR 4
D-dimer : FEU 2.40 ▲
T. protein 6.2
CRP 정량 : 2.1
-------------------------------------------------------------------------------------------------------------------------------------------------------------------
간호진단
외상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감염 위험성 : 병원체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는 위험한 상태
목 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감염의 징후가 없을 것이다.▶ 대상자는 활력징후가 퇴원 시까지 정상일 것이다. (감염 시 체온 상승)▶ 대상자의 상처에서 발적, 부종, 발열, 삼출물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대상자의 백혈구 수치가 퇴원 시까지 정상일 것이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개방 상처와 찰과상 등의 감염 위험요소의 존재와 과거력을 사정한다.
이러한 상황은 신체의 첫 번째 정상 방어선이 파괴되었음을 의미한다.
대상자의 얼굴 두 군데에 열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Lt. forehead laceration (6cm)- Lt. cheek laceration (8cm)
10년 이내 파상풍 접종률 無
체중 감소와 혈청 알부민을 포함한 영양 상태를 사정한다.
영양 부족 상태의 대상자는 무력하거나 병원균에 대한 세포면역반응을 발휘할 수 없어 감염에 더욱 취약하다.
대상자의 체중 감소와 혈액검사 수치를 monitoring 하였다.
대상자의 체중 변화는 없었다.
혈액검사 검사 수치 관찰, 기록
검사수치
결과
Albumin
3.2
-
T. protein
6.2
-
malnutrition 상태는 아니지만, 정상의 커트라인에 걸려있어 malnutrtion 위험군에 속한다.
백혈구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수치를 기록한다.
백혈구 수의 증가는 병원균의 침입을 의미한다.
정상 백혈구 수치는 4,000 - 11,000/mm³ 이다.
심하게 낮은 백혈구 수치는 감염원 저항이 낮아지므로 감염 위험을 나타낸다.
대상자의 WBC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수치를 기록하였다.날짜
검사수치
결과
03/27
9.63
정상
감염 징후를 사정한다.
발적, 부종
체온상승
화농성 분비물/배액
국소 발적, 열감, 부종, 통증, 화농성 삼출물은 감염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감염의 징후를 사정하였다.
외상 부위에는 발적과 부종은 살짝 보였으나 화농성 삼출물은 나타나지 않았다.
체온의 유의미한 상승이 보이지 않았다.BT d d d 시간
검사수치
10AM
36.2
11AM
36.4
MD
36.2
1PM
37.1
2PM
36.8
봉합 부위 dressing을 관찰한다.
상처 봉합 부위를 dressing 하며 화농성 배액물이 없는지 관찰하였다.
종류 : semiocculusive(반폐쇄),
방법 : 상처 세척 후 wet dressing
형태 : cover
재료 : gauze
드레싱 교환, 상처 관리 등의 상황에서 무균법을 유지하도록 한다.
무균법의 사용은 병원균의 전파 및 전염의 기회를 줄인다.
드레싱 교환, 삼출물 확인할 때 등 대상자의 상처부위를 접촉하는 상황에 손위생을 실시하고 장갑을 끼고 무균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돌봄제공자 모두에게 손 씻기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손 씻는 것은 신체의 한 부위로부터 병원균이 다른 부위로 전파되는 위험성을 줄여준다. - 일회용 장갑을 사용한다고 해서 손 씻기의 필요성이 감소하는 것은 아니다.
대상자에게 다가갈 때 손에 있는 세균이 혹시나 상처에 감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손을 씻고 들어갈 것을 권유하였다.
처방에 따라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하고 파상풍 예방접종을 한다.
항생제는 병원성 미생물을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시킨다.- 균 배양이 불가능한 경우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한다.
대상자에게 처방된 항생제인 Cefazoline과 Yamatetan을 투여하였다.
대상자에게 파상풍 예방을 위하여 Hypertet을 접종하였다.
평 가:
(기대되는결과)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유의한 체온의 상승이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상처에서 감염의 증상(발적, 부종, 발열, 삼출물)이 나타나지 않았다.
대상자의 백혈구 수치가 퇴원 시까지 정상으로 유지되었다.
6. 참고문헌
- 김금순, 최경옥 외 공저. (2015). 일곱 번째 성인간호학Ⅱ. 경기도 파주시 : 수문사.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in/healthInfoMain.do
- Kims 의학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 Meg Gulanick, Judith L. Myers.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서울 : 현문사.
- 차영남 외 13명 공저. (2013). 제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 현문사.
추천자료
[척추협착증 Spinal Stenosis] 간호과정, Case Study입니다.
CASE STUDY-NICU Diffuse axonal injury 간호과정
노인 치매 간호과정 Case study.ppt
고빌리루빈혈증 (Hyperbilirubinemia) 간호과정 고위험신생아 케이스 case study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ICH - Intracerebral Hemorrhage,뇌내 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Schizophrenia 정신 분열증 정신간호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포함
bipolar disorder 조울증 정신간호학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수면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