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전혈
농축적혈구
냉동적혈구
혈소판
신선냉동혈장
알부민
냉동동결침전물
검사항목(문진,체중체온측정,시진,촉진,청진,타진,혈액,소변,대변검사,x선검사,심전도검사,복부초음파검사,검사결과설명
농축적혈구
냉동적혈구
혈소판
신선냉동혈장
알부민
냉동동결침전물
검사항목(문진,체중체온측정,시진,촉진,청진,타진,혈액,소변,대변검사,x선검사,심전도검사,복부초음파검사,검사결과설명
본문내용
의 산소 운반 기능은 혈액이 단순히 냉장보관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쉽게 손실되지만 냉동 적혈구는 헌혈 즉시 냉동보관됨으로써 산소 운반 능력을 그대로 높게 유지합니다. 또한 냉동 적혈구는 해동과정 중 세척을 통해 단백질, 백혈구, 칼륨 등 수혈에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해 주는 장점도 있습니다.(2006년 1월부터 시약 공급에 차질이 생겨서 일시적으로 중단이 되었습니다.
적응증 : 자가수혈, 수혈 중 이전에 발열 반응에 대한 기왕력이 있는 경우, 필터에 의해 디부분의 백혈구가 제거되기 때문에 흔히 사용되지는 않음
- 해동 후 24시간 이내에 반드시 사용해야 함
- 식염수로 계속 씻어내면 대부분의 백혈구와 혈장 단백이 제거됨
만드는방법 : 의뢰인의 혈액을 채혈하고, 혈장을 제거한 후 동결보호제인 글리세롤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서 고농도에 이르게 하여 영하 80°C의 냉동고에 보관합니다. 즉 냉동적혈구를 이용한 자가수혈의 진행은 혈액을 채취->냉동->해동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혈소판
혈액의 유형성분인 혈구의 하나로 혈액의 응고나 지혈작용에 관여한다.
골수 내에 있던 큰 세포로부터 세포질이 갈라져 나온 지름 2∼3㎛의 세포 조각으로 혈액의 응고와 지혈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한 형태가 없으며 핵을 가지고 있지 않고 수명은 10일 정도이다. 지라에서 파괴된다.
혈관이 손상되어 피부나 점막 등에 출혈이 생겼을 경우 가장 먼저 활성화된다. 혈소판이 손상된 혈관벽에 붙어 공기와 맞닿게 되면 트롬보키나아제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혈장단백질 중 하나인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바꾸고, 트롬빈이 다시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변화시켜 피브린이 혈액을 응고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혈액이 응고된다.
혈소판이 부족하면 작은 점상 출혈이 나타나게 되며, 멍이 잘 들고 코피가 잘 나게 된다.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 혈액 1㎣ 속에 약 30만~50만 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가장 먼저 감소하므로 방사선장해의 지표로 쓰이기도 한다.
- 적응증 : 혈소판감소증이나 비정상적인 혈소판 기능으로 인한 출혈
(platelet<10,000~20,000/㎣)
?- 혈소판분리반출을 통해 한 공여자로부터 여러 단위의 혈소판을 얻을 수 있다.
- 수집형태나 사용된 저장맥에 따라 실온에서 1-5일간 보관 가능
- 혈액백을 주기적으로 흔들어야 한다.
- 1 단위의 수혈로 약 ?10,000/㎣의 혈소판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승되지
적응증 : 자가수혈, 수혈 중 이전에 발열 반응에 대한 기왕력이 있는 경우, 필터에 의해 디부분의 백혈구가 제거되기 때문에 흔히 사용되지는 않음
- 해동 후 24시간 이내에 반드시 사용해야 함
- 식염수로 계속 씻어내면 대부분의 백혈구와 혈장 단백이 제거됨
만드는방법 : 의뢰인의 혈액을 채혈하고, 혈장을 제거한 후 동결보호제인 글리세롤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서 고농도에 이르게 하여 영하 80°C의 냉동고에 보관합니다. 즉 냉동적혈구를 이용한 자가수혈의 진행은 혈액을 채취->냉동->해동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혈소판
혈액의 유형성분인 혈구의 하나로 혈액의 응고나 지혈작용에 관여한다.
골수 내에 있던 큰 세포로부터 세포질이 갈라져 나온 지름 2∼3㎛의 세포 조각으로 혈액의 응고와 지혈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정한 형태가 없으며 핵을 가지고 있지 않고 수명은 10일 정도이다. 지라에서 파괴된다.
혈관이 손상되어 피부나 점막 등에 출혈이 생겼을 경우 가장 먼저 활성화된다. 혈소판이 손상된 혈관벽에 붙어 공기와 맞닿게 되면 트롬보키나아제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혈장단백질 중 하나인 프로트롬빈을 트롬빈으로 바꾸고, 트롬빈이 다시 피브리노겐을 피브린으로 변화시켜 피브린이 혈액을 응고시키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 혈액이 응고된다.
혈소판이 부족하면 작은 점상 출혈이 나타나게 되며, 멍이 잘 들고 코피가 잘 나게 된다.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 혈액 1㎣ 속에 약 30만~50만 개가 포함되어 있으며, 방사선에 노출되었을 때 가장 먼저 감소하므로 방사선장해의 지표로 쓰이기도 한다.
- 적응증 : 혈소판감소증이나 비정상적인 혈소판 기능으로 인한 출혈
(platelet<10,000~20,000/㎣)
?- 혈소판분리반출을 통해 한 공여자로부터 여러 단위의 혈소판을 얻을 수 있다.
- 수집형태나 사용된 저장맥에 따라 실온에서 1-5일간 보관 가능
- 혈액백을 주기적으로 흔들어야 한다.
- 1 단위의 수혈로 약 ?10,000/㎣의 혈소판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승되지
추천자료
혈액검사의종류와임상적의의
핵심기본간호술 - 수혈요법 (수혈의 목적, 수혈 시 필요한 혈액검사 결과, 혈액성분의 종류, ...
검사의 종류 (혈액검사, 요검사, 호르몬검사, 효소검사, 콜레스테롤, 인슐린, 호르몬, 지방, ...
유아 지능검사종류를 세 가지이상 제시하고 다음의 항목으로 소개하시오.
수혈요법 레포트 {수혈, 수혈의 목적, 수혈 준비물품, 수혈 전 검사 혈액의 종류, 수혈 절차 ...
유아 지능검사종류를 세 가지 이상 제시하고 다음의 항목으로 소개하시오.
수술전 기본 검사의 종류와 판독법 - Chest X-ray 와 폐기능검사, 심전도, 혈액검사
비파괴검사법의 종류 및 특성(장단점)에 대한 조사
유아발달-유아 지능검사종류를 세 가지이상 제시하고 다음의 항목으로 소개하시오.
영유아발달 ) 영유아발달검사의 종류와 그 특징에 대해 조사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