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혈의 목적
2. 수혈 시 필요한 혈액검사 결과
3. 혈액성분의 종류
4. 정맥주입방법
5. 수혈 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6. 출처
2. 수혈 시 필요한 혈액검사 결과
3. 혈액성분의 종류
4. 정맥주입방법
5. 수혈 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6. 출처
본문내용
혈세트 교환: 기관의 방침에 따라 매 4~6단위마다
5. 수혈 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반응
원인
임상증상
용혈반응
대상자와 공혈자의 혈액간에 부적합
오한, 열, 두통, 요통, 호흡곤란, 흉통, 빈맥, 저혈압, 쇼크, 핍뇨, 청색증
간호
수혈 즉시 중단⇒주의사항: 수혈을 중단 할 때, 혈액 주입선도 제거되어야 한다. N/S 주입을 위해서는 새로운 주입선을 사용해야 한다. 수혈 시 N/S를 제외하고는 같이 투여해서는 안된다.
N/S 주입을 위해 정맥개방성을 유지해야 한다.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V/S를 측정한다.
수분 I/O check 한다.
남은 혈액, 혈액백, 필터 대상자의 혈액 검체, 소변검체를 검사실에 보낸다.
발열반응
대상자의 혈액이 백혈구, 혈소판, 혈장단백질에 대해 민감한 반응
열, 오한, 따뜻하고 붉은 피부, 두통, 불안, 근육통
간호
수혈 즉시 중단
처방대로 해열제를 준다.
의사에게 알린다.
N/S 주입으로 정맥개방성을 유지한다.
알레르기반응
(약한정도)
주입되는 혈장단백질에 대한 민감성
홍조, 가려움,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
간호
수혈을 중단하거나 천천히 투여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처방대로 투약한다.(항히스타민제-ex. 페닐아민)
알레르기반응
(심한정도)
항원-항체 반응
용혈반응
호흡곤란, 흉통, 순환허탈(혈압감소), 심장마비
간호
수혈 즉시 중단
N/S주입으로 정맥개방성 유지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V/S를 측정한다. 필요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처방대로 약물 및 산소를 투여한다.
순환과잉
수용할 수 있을 정도보다 혈액을 빠르게 공급
기침, 호흡곤란, 악설음(나음), 경정맥 팽창, 빈맥, 고혈압
간호
다리를 내리고 대상자를 똑바로 앉게 한다.
N/S수혈을 천천히 또는 중단한다.
의사에게 알린다.
처방대로 이뇨제와 산소를 투여한다.
패혈증
오염된 혈액의 수혈
고열, 오한, 구토, 설사, 저혈압
간호
수혈을 중단한다.
N/S주입으로 정맥개방성 유지
의사에게 알린다.
수액, 항생제 투여
검사실에 남은 혈액을 보낸다.
혈액배양을 위해 대상자로부터 혈액 검체를 채취한다.
6. 출처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2, 현문사, 2012, 740~743쪽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3, 1060~165쪽
이미지
http://kr.gobizkorea.com/blog/kr_catalog_view.jsp?blog_id=bdkorea&co_lang=1&group_code=&obj_id=124321
5. 수혈 부작용의 종류 및 간호
반응
원인
임상증상
용혈반응
대상자와 공혈자의 혈액간에 부적합
오한, 열, 두통, 요통, 호흡곤란, 흉통, 빈맥, 저혈압, 쇼크, 핍뇨, 청색증
간호
수혈 즉시 중단⇒주의사항: 수혈을 중단 할 때, 혈액 주입선도 제거되어야 한다. N/S 주입을 위해서는 새로운 주입선을 사용해야 한다. 수혈 시 N/S를 제외하고는 같이 투여해서는 안된다.
N/S 주입을 위해 정맥개방성을 유지해야 한다.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V/S를 측정한다.
수분 I/O check 한다.
남은 혈액, 혈액백, 필터 대상자의 혈액 검체, 소변검체를 검사실에 보낸다.
발열반응
대상자의 혈액이 백혈구, 혈소판, 혈장단백질에 대해 민감한 반응
열, 오한, 따뜻하고 붉은 피부, 두통, 불안, 근육통
간호
수혈 즉시 중단
처방대로 해열제를 준다.
의사에게 알린다.
N/S 주입으로 정맥개방성을 유지한다.
알레르기반응
(약한정도)
주입되는 혈장단백질에 대한 민감성
홍조, 가려움, 두드러기, 기관지 천식
간호
수혈을 중단하거나 천천히 투여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처방대로 투약한다.(항히스타민제-ex. 페닐아민)
알레르기반응
(심한정도)
항원-항체 반응
용혈반응
호흡곤란, 흉통, 순환허탈(혈압감소), 심장마비
간호
수혈 즉시 중단
N/S주입으로 정맥개방성 유지
의사에게 즉시 알린다.
V/S를 측정한다. 필요시 심폐소생술을 실시한다.
처방대로 약물 및 산소를 투여한다.
순환과잉
수용할 수 있을 정도보다 혈액을 빠르게 공급
기침, 호흡곤란, 악설음(나음), 경정맥 팽창, 빈맥, 고혈압
간호
다리를 내리고 대상자를 똑바로 앉게 한다.
N/S수혈을 천천히 또는 중단한다.
의사에게 알린다.
처방대로 이뇨제와 산소를 투여한다.
패혈증
오염된 혈액의 수혈
고열, 오한, 구토, 설사, 저혈압
간호
수혈을 중단한다.
N/S주입으로 정맥개방성 유지
의사에게 알린다.
수액, 항생제 투여
검사실에 남은 혈액을 보낸다.
혈액배양을 위해 대상자로부터 혈액 검체를 채취한다.
6. 출처
손정태 외, 기본간호학2, 현문사, 2012, 740~743쪽
김금순 외, 성인간호학2, 수문사, 2013, 1060~165쪽
이미지
http://kr.gobizkorea.com/blog/kr_catalog_view.jsp?blog_id=bdkorea&co_lang=1&group_code=&obj_id=124321
추천자료
향기 요법
산소요법 (Oxygen therapy)
산소요법
고위험 신생아의 교환수혈과 수혈
[외과]수혈
수액과 수혈
흉부 물리요법(chest physiotherapy)
[식사요법] 식사요법(식이요법)의 의의와 목적, 우리나라 국민영양섭취실태, 식사계획
산소요법 (nasal cannula, simple mask, 산소독성) A+
Nebulizer, 분무요법 (1. Nebulizer 2. 분무요법 3. 아동의 분무요법)
1)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생활과건강 2017년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1)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생활과건강 2)제2형 당뇨병 환자를 위한 ...
생활과건강 2017년>당뇨의 합병증을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여 정리 생활과건강4공통 제2형 ...
호르몬요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