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수혈
2.수혈의목적
3.수혈과정
4.성분수혈의 종류 및 적응증
참고) 외과병동에서 많이 사용하게되는 혈소판수혈에 대한 내용들
5.수혈전검사
-교차적합시험(ABO혈액그룹, Rh혈액그룹)
6.수혈부작용및 대처법
7.수혈시 간호
<참고자료> 골수이식과 관련된 내용들 (항암치료)
2.수혈의목적
3.수혈과정
4.성분수혈의 종류 및 적응증
참고) 외과병동에서 많이 사용하게되는 혈소판수혈에 대한 내용들
5.수혈전검사
-교차적합시험(ABO혈액그룹, Rh혈액그룹)
6.수혈부작용및 대처법
7.수혈시 간호
<참고자료> 골수이식과 관련된 내용들 (항암치료)
본문내용
식'이라는 점에서 다른 장기이식과 달리 환자와 공여자간의 완벽한 유전적인 일치가 요구됩니다. 즉, 골수가 이식되면 환 자의 면역체계는 이식된 골수가 환자자신에게 적합한지를 인식하고 공여자의 골수세포와 숙주(환자)의 면역세포 사이에 광범위한 상호작용을 일으키 게 됩니다. 이 때, 환자의 면역계가 공여자의 세포를 거부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공여자의 세포들도 환자의 조직을 공격할 수 있다. 이 후자 의 경우가 바로 이식편대 숙주질환입니다.
따라서 환자와 공여자간의 보다 정확한 유전적인 일치, 즉 조직적합성항원(HLA)의 일치로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을 줄여야 합니다.
동종골수이식
형제간에 조직적합항원(HLA)이 일치할 가능성은 1명당 25%이다. 그러나 오늘날 형제 수가 적어지는 추세여서 선진국에서는 골수은행을 통한 타인 골수이식이나 조직적합항원 부분 불일치 형제간 이식 등을 시행하고 있다. 이 이식은 신장이식 등 다른 이식과는 달리 환자와 공여자의 혈액형이나 성별이 다른 경우라도 큰 지장이 없다. 우선 이 치료법으로만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중증재생불량성빈혈·만성골수성백혈병·선천성면역결핍증 등에 적용하고, 다른 치료법도 있으나 골수이식의 성적이 우수하다고 인정되고 있는 급성백혈병과 수이형성증후군의 일부 등에도 적용한다.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환자의 40~80%는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과정은 먼저 환자와 일치하는 조직적합항원을 가진 형제를 선택한다. 환자 및 공여자의 이식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건강 상태를 점검한 후 환자의 악성 세포를 완전히 제거하고 면역억제 효과와 새로운 골수세포가 성장할 공간을 만들어줄 목적으로 많은 양의 항암제나 방사선 조사로 전처치를 실시한다. 전신 또는 척추마취 후 공여자에게서 골수를 1L정도 채취하여 그대로 주입하거나 약간의 처리 과정을 거쳐 주입한다. 골수 공여자는 이식일 1~2일 전에 입원하여 골수이식 당일에 수술실에서 전신마취를 한 후 엉덩이뼈에서 1,000~1,500㎖의 골수를 채취한다. 입원기간은 2~3일이며, 채취 부위에 1~2일 뻐근한 느낌이 들고, 대개 1주일 이내에 호전되며 부작용은 없다.
채취 후 공여자의 골수는 빠르게 회복되며 2~3주 후면 정상화된다. 최근에는 골수 대신 말초혈액을 걸러서 사용하기도 한다. 환자는 약 3주 후 이식된 골수의 조혈모세포가 생착되어 새로운 혈구들을 생성함으로써 회복되는데, 이 기간 동안 심한 백혈구 감소와 면역억제로 인한 감염과 거부반응, 새로운 골수가 환자의 몸을 공격하는 이식편대 숙주반응 등을 극복하여야 한다. 그 후에도 일정기간 동안 면역억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형제간 조직적합항원이 100% 일치하는 경우에만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형제간에 일치자가 없는 경우에는 한국골수은행협회나 가톨릭골수은행에 타인간 일치자가 있는지 의뢰하게 되며, 일치자가 있는 경우에는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백혈병이란?
'하얀 피의 병'이라 기술, 'leukemia'
백혈구를 생산하는 조직인 골수 또는 림프망내계에 나타난 종양(암)세포 즉 백혈병 세포가 이상증식하여 전신의 모든 장기에 침윤증식하면서 말초 혈액에도 출현하고, 정상적인 혈액세포의 성장과정을 저해하여 적혈구, 혈소판이 감소되어 출혈성 합병증 그리고 정상 백혈구 세포의 생산 감소로 감염의 위험증가를 일으키는 조혈과정의 장애로 생기는 혈액암의 일종입니다.
<참고문헌>
최신기본간호학(하권) 현문사/ 기본간호의 실제 현문사/ 한마음혈액원 헌혈 카페 게시글/
조석구(1994).임상수혈, 고려의학/ 네이버 검색
외과 실습 Report
수 혈
2008년 5월 21일
OO대학교 OO과
이 름
따라서 환자와 공여자간의 보다 정확한 유전적인 일치, 즉 조직적합성항원(HLA)의 일치로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을 줄여야 합니다.
동종골수이식
형제간에 조직적합항원(HLA)이 일치할 가능성은 1명당 25%이다. 그러나 오늘날 형제 수가 적어지는 추세여서 선진국에서는 골수은행을 통한 타인 골수이식이나 조직적합항원 부분 불일치 형제간 이식 등을 시행하고 있다. 이 이식은 신장이식 등 다른 이식과는 달리 환자와 공여자의 혈액형이나 성별이 다른 경우라도 큰 지장이 없다. 우선 이 치료법으로만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중증재생불량성빈혈·만성골수성백혈병·선천성면역결핍증 등에 적용하고, 다른 치료법도 있으나 골수이식의 성적이 우수하다고 인정되고 있는 급성백혈병과 수이형성증후군의 일부 등에도 적용한다. 질환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환자의 40~80%는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과정은 먼저 환자와 일치하는 조직적합항원을 가진 형제를 선택한다. 환자 및 공여자의 이식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건강 상태를 점검한 후 환자의 악성 세포를 완전히 제거하고 면역억제 효과와 새로운 골수세포가 성장할 공간을 만들어줄 목적으로 많은 양의 항암제나 방사선 조사로 전처치를 실시한다. 전신 또는 척추마취 후 공여자에게서 골수를 1L정도 채취하여 그대로 주입하거나 약간의 처리 과정을 거쳐 주입한다. 골수 공여자는 이식일 1~2일 전에 입원하여 골수이식 당일에 수술실에서 전신마취를 한 후 엉덩이뼈에서 1,000~1,500㎖의 골수를 채취한다. 입원기간은 2~3일이며, 채취 부위에 1~2일 뻐근한 느낌이 들고, 대개 1주일 이내에 호전되며 부작용은 없다.
채취 후 공여자의 골수는 빠르게 회복되며 2~3주 후면 정상화된다. 최근에는 골수 대신 말초혈액을 걸러서 사용하기도 한다. 환자는 약 3주 후 이식된 골수의 조혈모세포가 생착되어 새로운 혈구들을 생성함으로써 회복되는데, 이 기간 동안 심한 백혈구 감소와 면역억제로 인한 감염과 거부반응, 새로운 골수가 환자의 몸을 공격하는 이식편대 숙주반응 등을 극복하여야 한다. 그 후에도 일정기간 동안 면역억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형제간 조직적합항원이 100% 일치하는 경우에만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형제간에 일치자가 없는 경우에는 한국골수은행협회나 가톨릭골수은행에 타인간 일치자가 있는지 의뢰하게 되며, 일치자가 있는 경우에는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백혈병이란?
'하얀 피의 병'이라 기술, 'leukemia'
백혈구를 생산하는 조직인 골수 또는 림프망내계에 나타난 종양(암)세포 즉 백혈병 세포가 이상증식하여 전신의 모든 장기에 침윤증식하면서 말초 혈액에도 출현하고, 정상적인 혈액세포의 성장과정을 저해하여 적혈구, 혈소판이 감소되어 출혈성 합병증 그리고 정상 백혈구 세포의 생산 감소로 감염의 위험증가를 일으키는 조혈과정의 장애로 생기는 혈액암의 일종입니다.
<참고문헌>
최신기본간호학(하권) 현문사/ 기본간호의 실제 현문사/ 한마음혈액원 헌혈 카페 게시글/
조석구(1994).임상수혈, 고려의학/ 네이버 검색
외과 실습 Report
수 혈
2008년 5월 21일
OO대학교 OO과
이 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