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혈의 부작용과 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수혈

Ⅱ. 수혈의 부작용

Ⅲ. 수혈의 부작용 시 간호

Ⅳ. 수혈의 부작용 종류에 따른 간호수행

Ⅴ. 수혈에 의한 질환

본문내용

할 수 있다.
3. 후천성 면역결핍증 (AIDS)
AIDS는 혈액제제의 수혈과 관련이 있다. 많은 상대와의 성행위, 항문 성교, 정맥을 통한 마약 주입으로 인해 AIDS에 걸릴 확률이 높은 대상자, AIDS의 위험이 높은 사람과 성행위를 한 자, 이 질병이 의심되는 증상이나 징후가 있는 사람은 절대 헌혈하면 안 된다. 공여된 혈액은 모두 AIDS 바이러스 항체 유무를 반드시 검사해야 한다.
4. 이식편 대 숙주질환 (Graft versus host disease)
수혈 공여자의 림프구는 면역이 저하된 대상자에게 이식편 대 숙주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혈액제제를 방사선조사 하면 공여자의 림프구를 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5. 거대세포 바이러스증 (Cytomegalovirus, CMV)
CMV 항체가 없는 산모에게서 태어난 조산아나 면역장애 대상자가 혈액성분을 수혈받았을 때 발생한다. 이 바이러스의 전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혈액성분 중 백혈구를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2005, 현문사, 전시자 외)
생리학 (2005, 정담미디어,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네이버 백과사전
http://blog.naver.com/wltjsl20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7.09.06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