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관찰학습의 4단계 관찰학습모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 관찰학습의 4단계 관찰학습모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I. Bandura의 관찰학습

II. Bandura의 관찰학습 4단계
1. 주의집중단계
2. 파지단계
3. 재생단계
4. 동기화의 단계

III. 관찰학습의 모형
1. 직접모방 모형
2. 동일시 전형
3. 무시행학습 전형
4. 동시학습 전형
5. 고전적 대리조건형성 전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델이 할 때, 관찰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관찰자의 행동과 같은 행동을 하는 모델이 있을 때 행동이 촉진되는 형상을 동시학습이라고 한다. 동시학습은 관찰자로 하여금 학습과제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무시행 학습과 다르며, 모델의 행동이 정확하든 정확하지 않든 간에 관찰하게 되고, 관찰한 행동을 그대로 정확하게 복사했다고 해서 반드시 보상을 받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직접모방 학습과도 다르다. 예를 들면 학교 학습 상황에서 다른 아이들이 학습하는 것을 보고 자기도 학습하게 되는 경우와 같이, 타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득을 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5) 고전적 대리조건형성 전형
관찰학습은 작동적 행동의 학습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고 정서적 반응의 습득에도 일어나는 행동이다. 타인이 정서적으로 경험하는 것을 관찰하고 그와 비슷한 정서적 반응을 학습하는 것을 고전적 대리조건형성이라고 한다.
어떤 정서적 반응은 주변에 있는 다른 사람의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조건화되고 그런 반응이 나중에 점차 강화되는 경우가 많다. 슬픈 영화를 보면서 눈물을 흘리는 경우가 바로 이러한 예이다. Berger(1962)는 이런 상태를 대리선동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관찰자가 다른 사람이 무조건정서반응(uncoditioned emotional response)을 일으키는 것을 목격하고 그에 대해서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관찰자의 정서적 반응이 모델의 반응과 같을 때를 감정이입(empathy)이라고 하고, 다를 때를 동정(sympathy)이라고 말한다.
정서적 반응은 때로는 극히 미묘한 방법으로 다른 사람에게 전염된다. 관찰만으로도 정서적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관찰자의 대리학습은 모델이 학습하는 것과는 그 종류나 양에 있어서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0.19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54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