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코닉스의 성공적인 글로벌 경영전략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이코닉스의 성공적인 글로벌 경영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주제선정 동기
(2) 기업 소개 및 현황

Ⅱ. 본 론

(1) 해외 캐릭터 산업환경
(2) 아이코닉스의 글로벌 마케팅 믹스 전략(4P)
(3) 아이코닉스의 성공요인 분석

Ⅲ. 결 론

(1) 향후 전략
(2) 시사점

본문내용

닉스는
① 분량을 줄여 몰입을 유도했다.
짧은 시간 유아가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기껏해야 7분 정도라는 연구 결과에 주목했다. 당시 애니매이션의 분량은 한 회당 최소 10분이었다. 아이코닉스는 이를 5분으로 줄이고 유아가 집중할 수 있는 시간 안에 애니메이션을 보여주려고 했다.
② 우스꽝 스러운 ‘슬립스틱‘을 사용하여 동작만 보더라도 아이들이 웃을 수 있도록 했다. 유아들이 어떤 장면에서 좋아하는지 분석하고 그 부분을 중점적으로 보여주어 호감을 가지도도록 노력했다. 뽀로로가 밑으로 툭 떨어지는 것이 아닌 잠시 멈추고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은 다음 다시 빠른 속도로 떨어지는 장면을 예로 들 수 있다.
③유아들에게 친숙한 2등신 캐릭터를 사용하여 사랑받을 수 있도록 했다.
2) 소비자행동분석
시장에 나가 성공하려면 먼저 소비자, 고객부터 알아야 한다. 그들이 무엇을 좋아하며 어떤 행동적 특성을 가지는지 알아야 한다. 뽀로로는 목표 고객의 행동을 잘 분석한 것으로 보인다. 타깃 고객들이 오래 집중하지 못한다는 점을 착안하여 ‘방영 시간=5분’으로 승부했고, 자신과 비슷한 것을 좋아한다는 점에 착안해 비슷한 모습의 캐릭터를 제공한 것이 성공 포인트로 보인다. 이를 위해 뽀로로를 만드는 직원들을 자신들의 자녀의 행동변화를 유심히 관찰했고 세부적인 묘사를 위해 2등신 캐릭터의 행동에도 세심한 디자인을 거쳐 ‘뽀로로와 친구들’캐릭터를 만들어냈다.
3) 적용가능성을 높여서 세계화에 성공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네이밍과 콘텐츠를 구성한 것이 성공 포인트였다.
캐릭터 이름부터 콘텐츠 내용(영어 자막 포함)까지 외국 소비자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초기부터 개발한 것은 ‘적용 가능성’을 생각해 시장을 조기에 넓혀간다는 측면에서 ‘역발상적 포인트’로 보인다. 그리고 한국시장이 유난히 외국 시장의 반응에 민감하다는 것을 역 이용하여 프랑스에서의 성공적인 공중파 방영을 언론에서 다룰 수 있도록 했다. 이는 학부모의 신뢰도에 영어교육뽀로로 외에도 영향을 미쳤다.
4) 성공적 브랜드 관리로 '브랜드 프리미엄'효과 지속
품질 중심의 라이선스 관리가 프리미엄 브랜드를 가능케 했다고 판단된다.
뽀로로는 브랜드 이미지 관리를 위해 위해가되는 요소는 철저히 배제하는 전략을 사용했고, 이런 전략은 장기적으로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라이선스를 무분별하게 남발하지 않아 희소성 원칙을 지켰다는 측면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서 위상을 가질 수 있었다. 또 품질 중심으로 엄격한 라이선시 관리를 한 것은 성공 브랜드가 되기 위한 첫 출발이라는 측면에서 고무적이다. 주변을 보면, 처음 잘 나갈 때 품질 자격을 갖추지 못한 라이선시에게 무분별하게 라이선스를 남발하였다가 실패한 사례가 많다
Ⅲ. 결 론
(1) 향후 전략
뽀로로는 7세로 글로벌 캐릭터인 헬로 키티, 푸우, 미키 마우스 등과 같은 글로벌 캐릭터와 어깨를 견줄 만한 장수 캐릭터로 판단하기에는 이르다. 뽀로로가 지금의 성과를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하느냐가 뽀로로의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이다.
1) 브랜드 시리즈 전략이 필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아들이 어떠한 것에 관심을 기울여 가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에피소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켜 나가야 한다.
브랜드 액세서리 전략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장수 인형인 바비 인형은 바비에서 출발해 남자친구 켄, 집, 자동차 등 다양한 ‘캐릭터 부속물’을 붙여나가는 전략으로 성공한 사례이다.
늘 새로운 자극물을 붙여나감으로써 지겹지 않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 액세서리 관련 상품의 출시로 매출 증대 효과를 동시에 꾀할 수 있기에 브랜드를 롱런시킬 수 있는 유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겸비한 브랜드 전략이다. 뽀로로도 주변 캐릭터 외에, 지금보다도 훨씬 다양한 부속물(생활용품, 패션, 액세서리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들자면 뽀로로 모자나 고글, 펭귄 옷 등 가격면이나 제품의 질 측면에서 좀 더 실용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묘사해야 한다. 소리나는 닭 인형을 뽀로로 처럼 만들어 낸다거나 단순하지만 다각도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고려해야 한다.
2) 로열티 수입 확대의 돌파구 필요
뽀로로 캐릭터 상품 관련 매출액은 2004년은 2009년 대비 491.8%로 폭증한 뒤 2005년 89.6%, 2006년 38.0%, 2007년 81.3%, 2008년 50.1%, 2009년 11.1%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 회사로 치자면 2009년의 성장률이 낮지는 않지만, 그간의 성장률과 비교했을 때에는 비교적 정체 상태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콘텐츠 산업의 수익구조에서 라이선스 수익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은 점을 감안하면, 뽀로로는 현재 로열티 수입 확대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 유력한 대안은 해외 시장이다.
지금도 해외에 애니메이션이 수출되고는 있지만, 해외에서 라이선스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있다.
(2) 시사점
아직까지 뽀로로는 7세로 글로벌 캐릭터인 헬로 키티, 푸우, 미키 마우스 등과 같은 글로벌 캐릭터와 어깨를 견줄 만한 장수 캐릭터로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생각된다. 뽀로로가 지금의 성과를 얼마나 오랫동안 유지하느냐가 성공 여부를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아들이 어떠한 것에 관심을 기울여 가는지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에피소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켜 늘 새로운 자극물을 붙여나감으로써 지겹지 않게 해주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뽀로로는 현재 로열티 수입 확대의 돌파구를 찾아야 한 것 같다. 유력한 대안은 해외 시장으로 볼 수 있다. 지금도 해외에 애니메이션이 수출되고는 있지만, 해외에서 라이선스 매출이 본격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있다. 부가 상품 수익을 올리려면 지속적인 콘텐츠 생산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 뽀로로 시즌 1,2,3가 방영된 것처럼 해외에서도 뽀로로 시리즈를 방영하고 세계적인 캐릭터 브랜드 확립과 스테디 셀러의 입지구축을 해나가면서 유통전략에서의 직접방문방식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면 해외에서도 국내 못지 않은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가격2,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8.10.19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54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