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집단사회복지실천
I. 집단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이해
1. 집단사회복지의 정의
2. 집단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고려사항
3. 집단역동의 이해
II. 집단체계의 사회복지실천관계
1. 집단사회복지실천의 분류
2. 집단사회복지실천과정
3. 집단사회복지실천모델
1) 사회적 목표모델
2) 치료적 모델
3) 상호작용적 모델
* 참고문헌
I. 집단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이해
1. 집단사회복지의 정의
2. 집단사회복지실천을 위한 고려사항
3. 집단역동의 이해
II. 집단체계의 사회복지실천관계
1. 집단사회복지실천의 분류
2. 집단사회복지실천과정
3. 집단사회복지실천모델
1) 사회적 목표모델
2) 치료적 모델
3) 상호작용적 모델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원을 선별, 전체 집단 과정을 지도하기 때문에 전문가, 변화 대리인, 조력자, 중개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함.
3/ 집단구성원의 개인적 욕구와 집단사회복지사의 허용 및 제한이 균형을 이룬다는 점.
4/ 사회복지사에 의한 진단, 평가, 계획된 치료적 목적이 강조되므로 상당한 권위를 갖게 되지만 집단구성원 개인에 강조점을 두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개인의 심리와 치료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반드시 집단구성원의 욕구에 적응해야 함.
(3) 상호작용적 모델(Reciprocal Model)
상호작용적 모델은 일반적으로 정서적인 문제나 행동상의 문제와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 등을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들이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정이나 집단 내의 역동성을 활용해 집단구성원이 갖고 있는 문제와 갈등이 해결되고 경감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으로 비슷한 문제를 갖고 있는 집단구성원들이 집단에 참여하여 집단 내에서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상대방으로부터 도움을 받기도 하고 상대방에게 도움을 제공하기도 하면서 자긍심의 고취가 이루어져 문제해결에 도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치료적 모델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상호작용적 모델은 개인의 부적응 문제를 변화시키는 데 개별 치료보다 효과적이며 유사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여러 명의 클라이언트를 한꺼번에 치료한다는 면에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는 전문적인 지식을 활용해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그 과정에 개입함으로써 집단구성원의 변화를 유도하도록 정보제공자와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1/ 치료적 목적이나 사회변화목표를 사전에 설정하지 않고 상호작용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과 집단 내 상호작용과정을 통해 결정함.
2/ 집단은 상호원조 시스템으로 기능하게 됨.
3/ 사회복지사는 이를 중개하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됨.
4/ 보다 넓은 정의를 목표로 하며 방법론의 통합화를 추구함.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3/ 집단구성원의 개인적 욕구와 집단사회복지사의 허용 및 제한이 균형을 이룬다는 점.
4/ 사회복지사에 의한 진단, 평가, 계획된 치료적 목적이 강조되므로 상당한 권위를 갖게 되지만 집단구성원 개인에 강조점을 두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개인의 심리와 치료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며 반드시 집단구성원의 욕구에 적응해야 함.
(3) 상호작용적 모델(Reciprocal Model)
상호작용적 모델은 일반적으로 정서적인 문제나 행동상의 문제와 대인관계에서의 어려움 등을 갖고 있는 클라이언트들이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정이나 집단 내의 역동성을 활용해 집단구성원이 갖고 있는 문제와 갈등이 해결되고 경감될 수 있도록 하는 활동으로 비슷한 문제를 갖고 있는 집단구성원들이 집단에 참여하여 집단 내에서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상대방으로부터 도움을 받기도 하고 상대방에게 도움을 제공하기도 하면서 자긍심의 고취가 이루어져 문제해결에 도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치료적 모델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상호작용적 모델은 개인의 부적응 문제를 변화시키는 데 개별 치료보다 효과적이며 유사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 여러 명의 클라이언트를 한꺼번에 치료한다는 면에서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는 전문적인 지식을 활용해 집단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그 과정에 개입함으로써 집단구성원의 변화를 유도하도록 정보제공자와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한다.
1/ 치료적 목적이나 사회변화목표를 사전에 설정하지 않고 상호작용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과 집단 내 상호작용과정을 통해 결정함.
2/ 집단은 상호원조 시스템으로 기능하게 됨.
3/ 사회복지사는 이를 중개하는 매개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됨.
4/ 보다 넓은 정의를 목표로 하며 방법론의 통합화를 추구함.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론]집단사회복지실천 요약정리
(집단사회복지실천) 사회적목표모델 이론 및 사례적용 보고서 - 집단사회 사업의 개념, 사회...
집단중심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개입(중간)단계의 특징을 설명하고 집단과 집단성원의 특성에...
집단사회복지실천의 오해에 따른 여러분의 생각을 피력하고 관심영역의 집단사회복지실천에서...
집단사회복지실천에서 집단의 구성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한 ...
집단사회복지실천에서 집단의 구성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정리하고 그에 따라 바람직한 ...
집단사회사업과 사회적목표모델 보고서(집단사회복지실천, 집단발달단계, 집단사회사업서비스...
(집단사회복지실천기술) 집단사회복지실천기술의 준비~종결에 관한 서술.
집단사회복지실천과 관련된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아동, 청소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사...
한국 사회복지실천에서 집단사회복지실천이 차지하는 위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