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공운송의 중요성 및 비중 증대
2. 항공운송의 개념 및 특성
3. 항공기의 종류
4. 항공화물의 탑재방식
5. 항공화물의 운송절차
6. 항공운임
7. 국제택배의 개념 및 특징
8. 항공운송에 관한 국제조약 및 기구
2. 항공운송의 개념 및 특성
3. 항공기의 종류
4. 항공화물의 탑재방식
5. 항공화물의 운송절차
6. 항공운임
7. 국제택배의 개념 및 특징
8. 항공운송에 관한 국제조약 및 기구
본문내용
이다.
(3) 항공화물 운임의 종류
1) 일반화물요율(general commodity rate; GCR)
일반화물 요율은 특정품목 할인요율 또는 품목분류요율을 적용하지 않는 모든 항공화물의 요금에 적용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요율로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최저운임(minimum charge) : 화물 한 건당의 최저운임이다. 화물의 중량 또는 용적이 기본 보다 작을 때 적용하며 운임 부과의 가장 낮은 최저선이 되며 요율표에 ‘M'으로 기재한다.
-기본요율(normal rate) : 45kg 미만의 화물에 적용하는 요율로서 ‘N'으로 표기한다.
-중량단계별 할인요율(chargeable weight) : 항공운임은 중량이 커짐에 따라 적용 운임률이 낮아진다. 즉 45kg 이상, 100kg 이상 과 같이 몇 단계로 구분하고 중량이 커질수록 할인율을 적용한다.
2) 특정품목 할인요율(Special commodity rate: SCR)
특정구간에서 동종품목이 반복운송되는 경우에 대해 일반요율(GCR)보다 낮은 요율을 적용하며 품목에 따라 운임률이 다르다. 다른 운송과 경쟁관계에 있을 때 항공화물을 보다 많이 유치하는데 목적이 있다.
3) 품목분류 요율(Class rate : commodity Classification rate; CGR)
몇 가지 특정품목에 대해서 할인 또는 할증하여 적용하며, 특정구간 또는 특정 지역에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4) 종가운임
신고가액이 화물 1kg당 $20을 초과하는 경우 적용된다. 실 가액이 이를 초과하더라도 종가운임을 지불하지 않으려면 신고 가격란에 ‘NVD'로 기재하면 되지만 사고시의 항공사 책임액은 kg당 $20불로 한정되게 된다.
종가운임의 경우 귀중품의 경우는 신고가 총액의 0.1%를, 귀중품이 아닌 경우 kg당 $20을 초과한 부분에 대해서 0.4%의 종가운임이 부과된다.
5) 단위탑재용기 요금(Bulk Unitization Charge; BUC)
우리나라에서 미주행 항공화물에 적용하는 요금체제이다. 팔레트 또는 컨테이너와 같은 9종류의 크기에 따라 분류된 unit load device에 적입된 상태로 송하인이 항공사에 화물을 인도하고, 항공사는 그대로 수하인에게 인도하는 화물에 대해 적용하는 요금으로 화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각 단위탑재용기 별로 한계중량(pivot weight)을 설정해 놓고 그에 따른 요금을 최저요금으로 미리 책정, 적입중량이 이에 미달하면 최저요금, 초과분에 대해서는 초과요율을 곱해 산출한다. 유통과정에서 다림질의 필요가 없어지는 이점을 살리기 위해 의류의 운송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7. 국제택배의 개념 및 특징
(1) 개념
국제택배란 서류 및 소형ㆍ경량 물품을 항공기를 이용해 문전에서 문전까지 수령 ㆍ배달해 주는 서비스이다. 국제택배는 외국의 택배업체와 제휴하여 우편법의 제한적용을 받지 않는 운송서류, 계약서 및 각종 업무서류, 카달로그, 설계도 등의 서류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서류송달(courier) 서비스와 상품의 견본, 선물, 기계부품 등의 소형ㆍ경량 물품을 취급하는 탁송품배달 서비스로 대별할 수 있고 중량 45kg 이하의 시장판매용이 아닌 물품만을 영업대상으로 했었다.
(2) 특징
1) 스피드를 생명으로 일정기간 내에 인도를 보장한다.
2) Door to Door (or Desk to Desk )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일괄요금 ( package fee ) 으로 수령에서인도까지 풀 서비스한다.
4) 이용자는 거의 기업이고 90% 이상이 서류 등의 쿠리어 화물이다.
5) 항공화물의 8할 정도가 45kg 이하의 소형화물인 만큼 탁송물의 신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3) 운영방식
1) 자사혼재방식-단독으로 탁송물을 일정단위로 모아 항공사에 직접 탁송하는 것이다. 특히 서류 등의 쿠리어 화물은 쿠리어 전문 업자에게 중계된다.
2) 타사혼재방식-대부분의 택배업자가 취하는 방법으로 타사와 연계하여 상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혼재운송는 것이다. 탁송품의 경우 통상 이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3) On Board 방식-택배품을 탁송수하물로 항공사에 탁송하는 방법으로 쿠리어(서류수송)에서 볼 수 있다. On Board 택배품은 간이통관(여행용구통관)이 인정되고 있다.
8. 항공운송에 관한 국제조약 및 기구
(1) 국제조약
1) 바르샤바 조약
국제 항공운송의 발전에 따라 국제적으로 적용할 법규 및 운송계약 조건에 대한 국제적 통일안으로 1929년 바르샤바에서 체결된 조약으로 국제항공 운송인의 책임을 일정한도로 제한하여 민간항공 운송업의 발전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항공운송인은 승객의 사상, 화물의 손상 및 여객과 화물의 지연에 의한 손해에 대한 책임을 규정하고 있다.
2) 헤이그 의정서 (개정 바르샤바 조약)
항공기술의 발달에 따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바르샤바 조약상의 항공 운송인의 책임 한도액을 수정, 여객에 대한 책임한도액을 US$1,000에서 UD$ 2,000로 인상하는 등의 개정이 이뤄졌다.
3) 몬트리얼 협정
1966년 국제항공 운송협회(IATA)가 미국과의 협의로 만든 협약이다. 여객에 대한 책임한도($ 75,000)를 규정하고 운송인의 책임을 절대 책임주의로 채택하였다.
(2) 국제기구
1) 국제 민간 항공 기구 ( ICAO ; international civel aviation orag.)
1947 년 발족한 유엔 산하 전문기관으로 민간항공 산업의 발전, 비행기의 안전 증진 등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운에 있어 IMO에 비견할 수 있다.
2) 국제 항공 운송 협회 ( IATA : int. air transport assoc. )
1945년 설립 순수 민간 항공당체로서 민간 항공산업의 국제적 협력과 항공산업의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각종 표준 운송약관, 항공권, 화물 운송장 등의 표준화와 운임 협정을 통한 상호연대 운송계약을 통해 타 회사 노선도 자사노선과 함께 이용가능하게 하고 있다.
3) 국제 항공 연맹 ( FAI : federation aeronautique internationale )
민간항공 단체의 연합으로 항공정책의 방향, 문제점, 새 사업 등을 건의 등을 맡고 있다.
(3) 항공화물 운임의 종류
1) 일반화물요율(general commodity rate; GCR)
일반화물 요율은 특정품목 할인요율 또는 품목분류요율을 적용하지 않는 모든 항공화물의 요금에 적용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요율로서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최저운임(minimum charge) : 화물 한 건당의 최저운임이다. 화물의 중량 또는 용적이 기본 보다 작을 때 적용하며 운임 부과의 가장 낮은 최저선이 되며 요율표에 ‘M'으로 기재한다.
-기본요율(normal rate) : 45kg 미만의 화물에 적용하는 요율로서 ‘N'으로 표기한다.
-중량단계별 할인요율(chargeable weight) : 항공운임은 중량이 커짐에 따라 적용 운임률이 낮아진다. 즉 45kg 이상, 100kg 이상 과 같이 몇 단계로 구분하고 중량이 커질수록 할인율을 적용한다.
2) 특정품목 할인요율(Special commodity rate: SCR)
특정구간에서 동종품목이 반복운송되는 경우에 대해 일반요율(GCR)보다 낮은 요율을 적용하며 품목에 따라 운임률이 다르다. 다른 운송과 경쟁관계에 있을 때 항공화물을 보다 많이 유치하는데 목적이 있다.
3) 품목분류 요율(Class rate : commodity Classification rate; CGR)
몇 가지 특정품목에 대해서 할인 또는 할증하여 적용하며, 특정구간 또는 특정 지역에 적용하는 경우도 있다.
4) 종가운임
신고가액이 화물 1kg당 $20을 초과하는 경우 적용된다. 실 가액이 이를 초과하더라도 종가운임을 지불하지 않으려면 신고 가격란에 ‘NVD'로 기재하면 되지만 사고시의 항공사 책임액은 kg당 $20불로 한정되게 된다.
종가운임의 경우 귀중품의 경우는 신고가 총액의 0.1%를, 귀중품이 아닌 경우 kg당 $20을 초과한 부분에 대해서 0.4%의 종가운임이 부과된다.
5) 단위탑재용기 요금(Bulk Unitization Charge; BUC)
우리나라에서 미주행 항공화물에 적용하는 요금체제이다. 팔레트 또는 컨테이너와 같은 9종류의 크기에 따라 분류된 unit load device에 적입된 상태로 송하인이 항공사에 화물을 인도하고, 항공사는 그대로 수하인에게 인도하는 화물에 대해 적용하는 요금으로 화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각 단위탑재용기 별로 한계중량(pivot weight)을 설정해 놓고 그에 따른 요금을 최저요금으로 미리 책정, 적입중량이 이에 미달하면 최저요금, 초과분에 대해서는 초과요율을 곱해 산출한다. 유통과정에서 다림질의 필요가 없어지는 이점을 살리기 위해 의류의 운송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7. 국제택배의 개념 및 특징
(1) 개념
국제택배란 서류 및 소형ㆍ경량 물품을 항공기를 이용해 문전에서 문전까지 수령 ㆍ배달해 주는 서비스이다. 국제택배는 외국의 택배업체와 제휴하여 우편법의 제한적용을 받지 않는 운송서류, 계약서 및 각종 업무서류, 카달로그, 설계도 등의 서류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서류송달(courier) 서비스와 상품의 견본, 선물, 기계부품 등의 소형ㆍ경량 물품을 취급하는 탁송품배달 서비스로 대별할 수 있고 중량 45kg 이하의 시장판매용이 아닌 물품만을 영업대상으로 했었다.
(2) 특징
1) 스피드를 생명으로 일정기간 내에 인도를 보장한다.
2) Door to Door (or Desk to Desk )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일괄요금 ( package fee ) 으로 수령에서인도까지 풀 서비스한다.
4) 이용자는 거의 기업이고 90% 이상이 서류 등의 쿠리어 화물이다.
5) 항공화물의 8할 정도가 45kg 이하의 소형화물인 만큼 탁송물의 신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3) 운영방식
1) 자사혼재방식-단독으로 탁송물을 일정단위로 모아 항공사에 직접 탁송하는 것이다. 특히 서류 등의 쿠리어 화물은 쿠리어 전문 업자에게 중계된다.
2) 타사혼재방식-대부분의 택배업자가 취하는 방법으로 타사와 연계하여 상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혼재운송는 것이다. 탁송품의 경우 통상 이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3) On Board 방식-택배품을 탁송수하물로 항공사에 탁송하는 방법으로 쿠리어(서류수송)에서 볼 수 있다. On Board 택배품은 간이통관(여행용구통관)이 인정되고 있다.
8. 항공운송에 관한 국제조약 및 기구
(1) 국제조약
1) 바르샤바 조약
국제 항공운송의 발전에 따라 국제적으로 적용할 법규 및 운송계약 조건에 대한 국제적 통일안으로 1929년 바르샤바에서 체결된 조약으로 국제항공 운송인의 책임을 일정한도로 제한하여 민간항공 운송업의 발전에 목적을 두고 있다. 항공운송인은 승객의 사상, 화물의 손상 및 여객과 화물의 지연에 의한 손해에 대한 책임을 규정하고 있다.
2) 헤이그 의정서 (개정 바르샤바 조약)
항공기술의 발달에 따른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바르샤바 조약상의 항공 운송인의 책임 한도액을 수정, 여객에 대한 책임한도액을 US$1,000에서 UD$ 2,000로 인상하는 등의 개정이 이뤄졌다.
3) 몬트리얼 협정
1966년 국제항공 운송협회(IATA)가 미국과의 협의로 만든 협약이다. 여객에 대한 책임한도($ 75,000)를 규정하고 운송인의 책임을 절대 책임주의로 채택하였다.
(2) 국제기구
1) 국제 민간 항공 기구 ( ICAO ; international civel aviation orag.)
1947 년 발족한 유엔 산하 전문기관으로 민간항공 산업의 발전, 비행기의 안전 증진 등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운에 있어 IMO에 비견할 수 있다.
2) 국제 항공 운송 협회 ( IATA : int. air transport assoc. )
1945년 설립 순수 민간 항공당체로서 민간 항공산업의 국제적 협력과 항공산업의 발전을 목적으로 한다. 각종 표준 운송약관, 항공권, 화물 운송장 등의 표준화와 운임 협정을 통한 상호연대 운송계약을 통해 타 회사 노선도 자사노선과 함께 이용가능하게 하고 있다.
3) 국제 항공 연맹 ( FAI : federation aeronautique internationale )
민간항공 단체의 연합으로 항공정책의 방향, 문제점, 새 사업 등을 건의 등을 맡고 있다.
추천자료
항공운송의 특성과 장단점 및 수요 전망
[항공운송산업][항공화물운송]항공운송(항공운송산업, 항공화물운송)의 환경변화, 발달, 실태...
[항공화물운송사업]항공화물운송산업 중요성, 항공화물운송산업 특성, 세계 항공화물운송산업...
항공운송산업의 구조의 특성
공항마케팅 The Air Transport Value Chain - 항공운송가치사슬
WTO의 항공운송권 협상에 대한 우리 나라의 대응전략(항공산업)
항공화물 보험 (AIR CARGO INSURANCE) 항공화물, 항공운송의 이해, 항공화물보험, 보험처리, ...
Air Carriers 세계3대 항공사 제휴동맹, 항공운송, 저가항공사마케팅, 항공산업, 비용구조, ...
국제물류실무(항공화물)기초 - 항공운송(Air Transportation)
항공운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