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기준으로 서향운동을 했던 서방교회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멀고도 먼 선교의 여정인 것이다.
이제껏 \'교회사\'라고 한다면 지중해와 서유럽의 역사였다.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이지만 나의 세계관은 유럽에 갇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수업을 듣고 이 책을 읽고 나서는 교회사의 지평이 넓어지며, 나의 세계관의 지도 또한 넓어진 것이 분명하다.
동방교회는 1500년 즈음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그렇다면 그것으로 동방교회는 소임을 다한 것인가? 이 책은 그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제국주의와 함께 들어오는, 서구 문화와 함께 들어오는 기독교를 어떻게 받아낼 것인가했었던 문제, 어떻게 발전시켜야 할것인가 하는 문제가 바로 오늘날 동방교회, 아시아 기독교가 해야할 일인 것이다.
본 과제물의 마지막은 \'토착화\'에 대해서 다루어지는데 나는 이 분야에 굉장한 관심을 갖고 있다. 실천신학, 그 가운데서도 예배학에 대한 욕심이 있는 나의 고민은, 어떻게 하면 한국의 정서와 문화에 맞게, 그리고 전통과 현대를 포괄하는 그릇에 기독교를 담아 낼 것인가 하는 것이 나의 고민이다. 그러기에 나는 특별히 제국주의적 냄새가 나는 \'토착화\'라는 단어보다도 박근원 교수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inculturation\' \'문착화\'라던지 \'주체적 표현\'이라던지 \'한국 문화적 표현\'이 더 반갑다.
나는 앞으로 나의 목회를 위해서 이 분야에 대해 부단히 공부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서구중심적 사고관을 뒤엎고 이 inculturation에 대해 더욱더 주체적으로 사고할 동력을 얻은 것같아 이 책과 이 클래스가 너무나도 값지다.
이제껏 \'교회사\'라고 한다면 지중해와 서유럽의 역사였다. 대한민국에 사는 사람이지만 나의 세계관은 유럽에 갇혀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 수업을 듣고 이 책을 읽고 나서는 교회사의 지평이 넓어지며, 나의 세계관의 지도 또한 넓어진 것이 분명하다.
동방교회는 1500년 즈음으로 자취를 감추었다. 그렇다면 그것으로 동방교회는 소임을 다한 것인가? 이 책은 그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제국주의와 함께 들어오는, 서구 문화와 함께 들어오는 기독교를 어떻게 받아낼 것인가했었던 문제, 어떻게 발전시켜야 할것인가 하는 문제가 바로 오늘날 동방교회, 아시아 기독교가 해야할 일인 것이다.
본 과제물의 마지막은 \'토착화\'에 대해서 다루어지는데 나는 이 분야에 굉장한 관심을 갖고 있다. 실천신학, 그 가운데서도 예배학에 대한 욕심이 있는 나의 고민은, 어떻게 하면 한국의 정서와 문화에 맞게, 그리고 전통과 현대를 포괄하는 그릇에 기독교를 담아 낼 것인가 하는 것이 나의 고민이다. 그러기에 나는 특별히 제국주의적 냄새가 나는 \'토착화\'라는 단어보다도 박근원 교수가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inculturation\' \'문착화\'라던지 \'주체적 표현\'이라던지 \'한국 문화적 표현\'이 더 반갑다.
나는 앞으로 나의 목회를 위해서 이 분야에 대해 부단히 공부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으면서 서구중심적 사고관을 뒤엎고 이 inculturation에 대해 더욱더 주체적으로 사고할 동력을 얻은 것같아 이 책과 이 클래스가 너무나도 값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