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 1년이 되지 않았지만 형수님은 정말로 색다르고 이색적인 존재로 나에게는 느껴졌다. 가족이 아니였던 사람이 가족이 되었을 때 받았던 느낌의 처음은 이질감 이였다. 모르는 사람이면서 말 그대로 피 한방울 섞이지 않은 남이였다. 그런데 이러한 형수님이라는 존재는 우리가족에게 정말로 많은 것을 변화시켰다. 아들 둘 뿐인 집안에서 어머니는 언제나 홀로 외로우셨는데 형수님은 딸과 같은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하신다. 뿐만 아니라 아버지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다정다감한 며느리의 역할을 해내고 있으시고 나에게 있어서는 누나이면서 동시에 형님의 부인인 형수님의 역할도 훌륭히 해내고 계신다. 이러한 형수님의 등장은 우리가족 사이의 수많은 관계를 긍정적으로 바꾸셨고 여러 많은 긴장감의 해소와 신선함을 가지고 오셨다. 내가 요즘 가족이라는 개념에 호기심을 가지게 하고 이런 주제를 가지고 글을 쓰고자 했던 이유도 바로 이러한 형수님의 등장 때문이였다. 오랫동안 얽혀 있던 관계들 속에 우리 가족만의 가족관과 규칙 등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많은 가치 기준들이 다른 누군가의 즉 타인의 개입으로 또 다시 가꾸어지고 변화되는 것이 마치 어떤 생물이 환경에 따라 적응해 나가는 듯 한 진화적인 느낌을 받게 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가족은 관계들 속에서 숨겨져 있는 많은 의미들이 존재하는 집단이다. 그러한 의미들을 발견해 나가고 찾아내는 것이 나에게는 마치 예술작품 하나를 곱씹으며 뜯어보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했다. 내가 가족을 명작이라고 표현한 이유 또한 이것과 같다. 가족이라는 그 속에는 구도적인 배치는 없지만 그 대신 수 많은 감정선들과 긴장감이 존재하고 색감의 배열은 없지만 관계들 속에서 나오는 숨겨진 의미들이 존재한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아름다움은 미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미적인 아름다움이 가장 기본적인 아름다움이라 말한다면 여기서 말하는 아름다움이란 퍼즐을 맞춰 나갈 때의 짜임새적인 구조와 서로가 접점을 가질 때 보여주는 완벽함을 말하고 싶었다. 마치 정말 호흡 잘 맞는 두 명의 연주자의 합동 공연을 볼 때의 느낌이라고 표현하면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타인 인듯 타인 아닌 타인 같은 구성원들이 모인 가족은 가장 완벽한 집단이며 그러한 완벽은 나에게 아름답게 비쳐지고 있다.
**참고문헌**
1. 가족관계학. (유영주, 김순옥, 김경신 지음)
2. 미학의 경계를 넘어. (볼프강 벨슈 지음)
3. 현대사회와 가족.
이처럼 가족은 관계들 속에서 숨겨져 있는 많은 의미들이 존재하는 집단이다. 그러한 의미들을 발견해 나가고 찾아내는 것이 나에게는 마치 예술작품 하나를 곱씹으며 뜯어보는 듯한 느낌을 가지게 했다. 내가 가족을 명작이라고 표현한 이유 또한 이것과 같다. 가족이라는 그 속에는 구도적인 배치는 없지만 그 대신 수 많은 감정선들과 긴장감이 존재하고 색감의 배열은 없지만 관계들 속에서 나오는 숨겨진 의미들이 존재한다. 내가 말하고자 하는 아름다움은 미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싶다. 미적인 아름다움이 가장 기본적인 아름다움이라 말한다면 여기서 말하는 아름다움이란 퍼즐을 맞춰 나갈 때의 짜임새적인 구조와 서로가 접점을 가질 때 보여주는 완벽함을 말하고 싶었다. 마치 정말 호흡 잘 맞는 두 명의 연주자의 합동 공연을 볼 때의 느낌이라고 표현하면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 타인 인듯 타인 아닌 타인 같은 구성원들이 모인 가족은 가장 완벽한 집단이며 그러한 완벽은 나에게 아름답게 비쳐지고 있다.
**참고문헌**
1. 가족관계학. (유영주, 김순옥, 김경신 지음)
2. 미학의 경계를 넘어. (볼프강 벨슈 지음)
3. 현대사회와 가족.
소개글